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외부컬럼

고충환 / 부산 출생

인명사전 바로가기 : www.daljin.com/author/641
미술평론가 고충환(b.1961)은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부문 장려상(2006)을 수상하였으며, <비평의 쟁점전> 포스코미술관(2005), <조각의 껍질 혹은 허물전> 모란미술관(2008)를 기획한바 있다.

총1004
컬럼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수
김지혜/ 세상과 존재의 불완전한 관계, 그러므로 어쩌면 경계 위에 선 고충환 2021-04 1729
릭 프롤, 비극적 영혼의 화신 고충환 2021-04 1661
박미연, 작가의 사과에는 어떤 향기가 나는가 고충환 2021-04 1774
백덕현, 예술은 태생적으로 다중인격이었다 고충환 2021-04 1743
정창기/ 자두, 상실된 고향을 일깨워주는 고충환 2021-04 1641
순천 생태예술 포럼_지구가 품은 예술 2부 고충환 2021-02 1746
순천 생태예술 포럼_지구가 품은 예술 1부 고충환 2021-02 2004
강정헌/ 빛바랜 흑백사진 속 사람들, 픽셀인들, 그리고 화성인들 고충환 2021-02 1963
박상희, 회화와 일상을 매개하고 간섭하는 시트지 고충환 2021-02 1794
오현주/ 밥상 위의 수사학, 밥그릇에 존재의 집을 짓는 고충환 2021-02 1583
오흥배/ 다시, 바니타스와 메멘토모리를 생각하다 고충환 2021-02 1597
윤덕환/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꿈꾸는, 짓는 고충환 2021-02 1742
이점원/ 시간 조각, 발견된 오브제로부터 고충환 2021-02 1764
정풍성,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 것들 고충환 2021-02 1622
한혜림/ 미술은 어떻게 존재를 돕는, 그러므로 연민하는 도구가 되는가 고충환 2021-02 1544
김영구/ 섬을 그리워하는, 섬처럼 고독한 도시 고충환 2020-12 1444
김진/ 예술은 질문의 기술이다 고충환 2020-12 1594
김희진/ 회화는 어떻게 애도의 형식이 되는가 고충환 2020-12 1418
라인석/ 사진과 회화 사이, 회화 같은 사진 고충환 2020-12 1456
문민/ 익명성과 개별성, 페르소나와 아이덴티티 고충환 2020-12 1537
공모등록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