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0

[2013.12.04]반구대 암각화 앞에 공룡 발자국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수면에 잠겼다가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국보 제285호 울산 울주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전면 암반에서 공룡발자국 화석 81점이 확인됐다. 지난 10월29일 조사에서 나온 25점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암각화 보존을 위해 세우기로 한 ‘카이네틱 댐(이동식 방수벽)’ 설치 지점에서 발견돼 댐 건설 타당성을 두고 논란이 일 전망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3일 “암각화 앞쪽 강바닥과 구릉부 약 5000㎡를 발굴조사한 결과 암각화를 기준으로 동서 41m, 남북 14m 범위에 걸쳐 공룡발자국 총 81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암각화에서 앞쪽으로 9m 떨어진 암반에서는 30여개에 달하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집중적으로 발굴됐다. 


발견된 발자국 화석은 지난달 27일 열린 문화재위원회(천연기념물분과) 현지조사 의견에 따라 3차원(3D) 스캔 등으로 기초학술자료를 확보한 후 흙을 다시 덮어 보존한다.


이번 발굴 성과로 정부는 당초 예정했던 40m보다 넓은 80m 길이의 댐을 설치하는 방안을 강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문화재위원회 심의 의결을 앞두고 다시 한 번 찬반 논란이 예상된다.


- 한국경제 2013.12.04

[2013.12.03]이현숙 '미술계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현숙(64) 국제갤러리 회장이 미국 미술시장 전문지 '아트+옥션' 12월호가 선정한 '미술계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꼽혔다. 잡지는 "국제갤러리가 1980년대 개관 이후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뒀으며, 국내와 해외를 아우르는 현대미술작가들의 대표적인 등용문이 됐다"고 소개했다.


- 조선일보 2013.12.03

[2013.12.03]경북 업무보고 받은 朴 "문화융성 맞춤지원할것"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박근혜 대통령은 2일 경북 안동시를 방문해 김관용 경북지사를 비롯한 각계 대표들에게 경상북도 업무보고를 받았다. 박 대통령의 업무보고는 지난 7월 24일 강원도를 시작으로 인천시(8월 16일)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이날 안동문화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업무보고에서 경북도는 전통문화 자산을 활용한 지역문화 융성 실현, 창조경제와 투자 유치에 의한 일자리 창출 등의 계획을 보고했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지역 발전 전략도 창조경제와 문화 융성에 기반을 두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각 지역 특성과 역량을 가장 잘 아는 게 지자체와 주민인 만큼 지역에 필요한 발전 전략을 각 지자체와 주민이 주도해서 세우고, 중앙정부는 그 정책에 맞춤형으로 지원을 펼쳐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무보고 후 박 대통령은 경주에 위치한 불국사 석굴암(국보 제24호)을 찾아 관리ㆍ보존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 매일경제 2013.12.03

[2013.12.02] 사진작가 김중만 대표작 66점 기증해 '공유저작물' 등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진작가 김중만(59)씨가 자신의 대표작 66점을 기증해 '공유저작물'로 등재한다. 사진이 필요한 사람 누구나 저작권에 구애받지 않고 쓸 수 있게 된다. 문화체육관고아부는 4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와룡동 청사에서 유진룡 장관과 김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저작권 기증식을 갖는다.


- 세계일보 2013.12.02

[2013.12.02]골동품상 밀집 답십리 일대 고미술 복합문화공간 육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고미술 상가가 몰려있는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일대가 고미술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답십리동 498-7 상가 일부(581.8m²)를 내년 중 전시장과 판매장, 제작실 등으로 탈바꿈해 고미술 활성화 거점으로 삼을 예정이라고 1일 밝혔다. 


답십리동은 1980년대부터 황학동과 인사동, 이태원 일대 골동품 상인들이 모여들면서 고미술 거리로 조성됐다. 이곳에서는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중국과 일본의 다양한 고미술품을 구할 수 있다. 고미술 전시·판매장은 고미술품 가운데 재미있는 스토리가 있거나 기발한 아이디어를 담은 상품을 전시하는 공간과 공모를 통해 선정된 관광상품 판매장, 업종별 기획·전시 판매 공간 등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 동아일보 2013.12.0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