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0

[2013.08.27]1·4 후퇴 때 예술가 사랑방 '밀다원 다방' 재개장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동리 소설 '밀다원 시대', 박화목 작시 '보리밭' 창작된 곳


6·25 전쟁 당시 부산으로 피란 온 예술가들의 사랑방으로 유명했던 '밀다원 다방'이 다시 문을 연다.


부산 중구는 "부산항이 내려다보이는 산복도로에 있는 영주동 244의 1에 문화·소통 등 '밀다원 다방'의 정신을 살린 '밀다원 시대'를 완공, 29일 개장한다"고 26일 밝혔다. '밀다원 다방'은 6·25 당시 1·4 후퇴 때 부산으로 피란 온 예술가들이 서로 만나 가난·굶주림 등의 시름을 잊고 대화를 나누던 아지트였다.


작곡가 윤용하가 이 다방에서 시인 박화목을 만나 가곡 '보리밭'을 만든 것을 비롯해 화가 이중섭·김환기, 소설가 김동리 등 피란 시절의 많은 예술가가 이곳에서 창작열을 이어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동리는 '밀다원 다방'을 소재로 한 '밀다원 시대'란 소설을 쓰기도 했다. 이 소설 제목을 딴 '밀다원 시대'는 밀다원 다방이 있던 원래 자리와 그다지 멀지 않다.


'밀다원 시대'는 2층 건물에 연면적 98㎡ 규모. 1층에는 지역 어르신들의 취업 교육·상담 등을 해주는 '노인 일자리 지원센터'가, 2층에는 책을 보면서 커피 등을 마실 수 있는 '밀다원 시대(북카페)'가 있다. 부산항 쪽으로 난 대형 통유리 창문이 있어 바다를 감상할 수도 있다.


- 조선일보 2013.08.27


[2013.08.27]대장경 제작 추정 건물터, 남해 고현면 일대서 확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팔만대장경의 제작 장소인 대장도감(大藏都監)이 경남 남해에 있었다는 유력한 증거 자료〈본지 26일자 A1면〉가 나온 가운데, 남해군 고현면 일대에서 대장경 판각지로 추정되는 대형 건물터가 확인됐다.


고현면 일대 전(傳) 선원사지와 백련암지를 발굴하고 있는 경남발전연구원은 전 선원사지에서 고려시대 별서(別墅·농장이나 들 근처에 따로 지은 집) 건물로 추정되는 미음(ㅁ) 자형 가옥을 발굴했다고 26일 밝혔다. 이곳에서는 정원·연못과 원숭이 모양 연적도 나왔다.


경남발전연구원 측은 "유물과 명문 등을 분석할 때 12~13세기 고려 중앙 관료나 호족이 기거했을 것으로 보이며, 당시 대장경 제작과 관련 있는 시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조선일보 2013.08.27

[2013.08.26]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에 김봉렬교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제7대 총장에 김봉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를 임명했다. 임기는 4년. 서울대 건축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받은 김 신임 총장은 문화재 위원,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인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로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학자다.



- 문화일보 2013.08.26

[2013.08.26]'韓紙匠' 류행영 명예보유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요무형문화재 제117호 한지장(韓紙匠) 명예보유자인 류행영(柳行永·81)씨가 지난 24일 별세했다. 고인은 2004년 전주대 한지문화산업과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2005년 한지장 보유자로 인정됐다. 유족은 부인 우정자씨와 아들 인규씨 등 3남 3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 적십자병원, 발인은 26일 오전 6시, (02)2002-8479


- 조선일보 2013.08.26

[2013.08.26]성신여대, 고교 아트 어워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성신여대(총장 심화진ㆍ사진)는 24일 서울 돈암동 캠퍼스에서 `아시아 고교생 아트 어워드 2013`을 개최했다. 


한국ㆍ일본ㆍ중국 고교생의 미술ㆍ디자인 분야 재능 발굴을 통하여 미래의 예술가를 육성한다는 취지로 열린 이번 대회는 대상ㆍ금상 수상자에 대해 입상일로부터 2년 이내에 성신여대 미술대학에 입학 시 1년간 입학금 포함 전액 장학금을 지급한다.


- 매일경제 2013.08.2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