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장창익 씨(56)는 스물한 살의 나이에 지뢰를 밟았다. 입대한 지 넉 달 만에 벌어진 일이다. 왼쪽 눈과 왼쪽 발을 잃은 그에게 세상은 칠흑 그 자체였다. 고향인 전남 여수로 돌아왔지만 방황은 계속됐다. 그때 형이 물었다. "그림에 소질이 있으니 화가의 길을 걷는 것은 어떨까?"
그는 남농 허건의 문하로 들어가 2년간 사숙하고, 예술대학에 입학했다. 그러나 시련은 계속됐다. 졸업 직전 다시 교통사고로 엉덩이뼈가 부서지는 중상을 입고 낙향했다.
그에게 그림은 분노와 증오의 표현이었다. 적어도 30년 전에는 그랬다. 그런데 이제 그에게 그림은 진통제이자 치유다. 그가 커다란 장지에 그리는 것은 활짝 핀 꽃과 나무들이다.
"꽃은 피워보지 못한 내 젊음을 형상화한 것이지요. 꽃을 반복적으로 그리면서 절망 속에 갇혀 있던 내 마음도 치유된 걸 느껴요."
여수에서 주로 활동하던 그가 첫 서울 개인전을 평창동에서 열어 눈길을 끈다. `갤러리평창동`에서 `꽃피는 봄날에`라는 주제로 `낙화` 시리즈 등 신작 20여 점을 건다.
패션 브랜드 누브티스가 후원하는 이 전시는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스카프와 넥타이 등 아트 상품도 선보인다. 전시는 11일부터 6월 30일까지. (02)396-8744
- 매일경제 2013.05.09
우정사업본부는 8일 숭례문이 5년간의 복구 작업을 통해 우리 품으로 돌아온 것을 기념하고 국민과 함께 영원하기를 기원하며 기념우표 1종
120만장을 10일 발행한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2013.05.09
뮤지컬·연극 제작사인 신시컴퍼니(대표 박명성)가 사옥 1층에 갤러리를 연다. 신시컴퍼니는 서울 서초구 논현로에 전시공간 ‘갤러리신시’를 마련하고 오는 13일부터 6월30일까지 ‘걸레스님-중광(重光)’을 개관 기념전으로 마련한다. 서화와 현대미술, 도자기와 행위예술, 시, 영화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활동한 중광 스님의 회화작품 40여점이 전시된다. 갤러리신시 측은 “앞으로 중견 작가의 기획전시는 물론, 창의력과 실력을 갖춘 제도권 밖의 젊은 작가들에게도 발표의 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관식은 13일 오후 4시에 열린다.
- 경향신문 2013.05.09
부산의 현안사업인 국립부산과학관 건립 공사가 시민 제안으로 발의된 지 11년 만에 시작된다. 부산시와 기장군은 9일 오후 기장군 기장읍 석산리 동부산관광단지 내에 국내 유일의 특성화 과학관인 국립부산과학관 기공식을 열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2015년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이 과학관은 11만3100㎡의 부지에 연면적 2만4906㎡ 규모로 1310억 원(국비 917억 원, 지방비 39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시는 이 과학관을 특화해 ‘수송시스템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기술 체험관’을 주제로 첨단 전시관과 교육시설, 캠프관, 천체관 등을 갖출 예정이다. 특히 동남권 전략산업(자동차, 항공, 선박, 에너지, 생명) 등의 과학적 원리를 설명하는 수송과학관, 스마트 과학관 등을 통해 시연과 실험, 공연이 함께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과학관 건립사업은 지난 2002년 4월 처음 제안돼 시의 과학관 건립 대정부 건의(2005년), 100만 명 서명운동(2006년), 부산과학기술인 371명의 국회 청원운동(2006년) 등의 과정 끝에 건립이 확정됐다.
- 문화일보 2013.05.08
인천시립박물관 이전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시립박물관 측은 교통 접근이 어렵고 포화 상태에 달한 현 연수구 옥련동에 위치한 박물관을 이전할 부지를 물색 중이라고 8일 밝혔다. 현재 유력한 이전 부지로는 중구와 동구 등 원도심 지역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시립박물관이 처음 문을 열었던 자유공원 일대, 대한제국 당시 영국대사관이 자리잡았던 현 인천파라다이스호텔 인근, 최근까지 이전설이 나돌았던 제물포고 부지 등이 집중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립박물관 측이 이전을 추진키로 한 데는 우선 현 박물관 부지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현 박물관은 인근에 지하철역이 없는 데다 버스 정류장에서도 700m 이상 떨어져 있다. 장소도 협소해 더 이상 전시와 소장 공간을 확장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시립박물관 관계자는 “원도심을 중심으로 이전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 문화일보 2013.05.08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