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비엔날레재단이 국제큐레이터코스 5기 참가자를 오는 10일까지 모집한다.
국제큐레이터코스는 ‘예술과 후원자’(Arts and Patrons)를 주제로 8월12일부터 9월7일까지 27일간 진행된다.
지도교수는 국제적 전시 기획자이자 교육자인 스웨덴 스톡홀름 텐스타 쿤스트홀(Tensta Konsthall) 현대미술센터 마리아 린드(Maria Lind) 관장이 맡았다.
마리아 린드를 비롯해 2014광주비엔날레 제시카 모건 총감독과 2013광주디자인비엔날레 이영혜 총감독, 데얀 수디치 런던디자인미술관 관장 등이 강사로 나선다.
대상은 만 33세 이하의 전시 기획에 관심 있는 관련 분야 전공자, 활동가, 작가다. 전 과정은 영어로 진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재단 홈페이지(www.gwangjubiennale.org)를 참조하면 된다. 문의 062-608-4242.
- 광주일보 2013.05.03
우리나라 현존하는 서화교육기관으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영남서화원이 다시 개원한다.
영남서화원은 1922년에 대구에서 설립됐으며 개원 초기 10여 년은 석재 서병오 선생이 원장을 맡아 지도`운영했다. 이어서 죽농 서동균 선생이 40여 년간 주재하면서 근`현대 영남서단의 토대를 마련했다. 1974년부터는 야정 서근섭 선생이 부친인 죽농 선생의 유지를 이어 18년간 지도`운영을 맡아오다가 1992년 계명대학교에 서예과가 신설되고 교수로 부임, 잠정적 휴원 상태로 있다가 올해 교직 퇴임과 함께 서화원을 재개관하게 됐다.
서근섭 계명대 명예교수는 “지난 40년간 서예와 문인화를 연구, 지도한 지식과 경험을 살려 서화계에 보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원 기념으로 서 교수의 서예, 문인화 공개 특강이 3일과 4일 두 차례에 걸쳐 열린다. 3일 오후 7시 30분 ‘현대 서예의 개념과 표현’, 4일 오후 3시 ‘문인화 정신과 현대적 표현’을 주제로 진행된다. 영남서화원은 앞으로도 국내`외 저명작가들의 초청특강, 세미나 개최, 정기적인 작품 발표 등 다양한 행사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053)755-8875.
- 매일신문 2013.05.03
수원시 팔달문이 3년 만에 해체·보수공사를 마치고 중건된다.
수원시는 3일 팔달문 해체·보수공사를 완료해 중건한다고 2일 밝혔다.
보물 402호로 지정된 팔달문은 수원화성 4개의 성문 중 하나로 '사통팔달해 막힌 데가 없다'는 의미를 지닌 건축물로 원형이 남아있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팔달문은 지난 2007년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정밀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목부재의 변형으로 인한 원형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 2010년 해체 보수를 시작했다
해체 보수공사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인 전흥수 대목장을 비롯한 도편수 김용덕, 단청장 정세훈, 장정일, 석장 김건태, 와장 이유영씨 등 장인이 참여했다.
보수공사는 문루 1,2층을 해체 보수했다. 균열 및 부식이 심해 불가피하게 교체가 필요한 부재들은 새로운 목재를 치목해 교체하고 보강이 필요한 부재들은 내구성과 강도를 증진시켰다.
또 기존의 부재를 최대한 사용했으며 원형의 복원에 입각해 보수 보강했다.
수원시는 2011년 철골 가설덧집 설치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해체공사에 들어갔으며 지난해 7월에는 상량식을 개최했다. 이후 지붕공사, 주변 정비공사를 끝으로 공사를 완료했다. 총 공사비는 47억원이 소요됐다.
한편 수원화성박물관은 팔달문 준공 기념으로 '팔달문, 가까이 늘 우리 곁에'란 주제로 오는 7월21일까지 특별기획전을 연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팔달문의 전면 해체보수 공사과정과 팔달문의 건축형태 및 특징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파이낸셜 뉴스 2013.05.03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은 1일 문화재위원 79명과 전문위원 189명을 위촉했다. 임기는 2015년 4월까지다. 새로 위촉된 문화재위원은 전체의 51%인 40명이며, 평균연령은 60.6세다. 여성 비율은 23%에서 30%로 높아졌다. 문화재위원장과 분과별 위원장은 7일 전체 회의에서 선출한다. 다음은 분과별 명단.
△건축문화재=김동욱 김창준 박경립 이강근 이수곤 장석하 정명섭 정혜린 최성은 홍승재 △동산문화재=김명규 김영원 김재열 김정희 박문열 박은순 선주선 안귀숙 이주형 이해준 조선미 최성은 최응천 △사적=고혜령 김권구 김정배 김종일 노중국 박소현 손영식 이상필 이상해 이재근 임세권 채미옥 최성락 홍승재 △무형문화재=김영운 김운미 박성실 박형철 이삼길 이영희 임돈희 전경욱 최성자 최응천 함한희 △천연기념물=김학범 류제헌 박양우 백인성 성익환 양경모 이광춘 이두표 이상필 이은희 이재근 이흥식 전영우 정종수 △매장문화재=강현숙 김권구 박강철 박광춘 심정보 이상해 이현혜 최성락 최성자 △근대문화재=김성우 김영식 김용수 김정신 박문열 백영흠 오진경 윤경로 윤인석 한시준 한태식 △민속문화재=김명자 김용수 김창준 박강철 박상미 박소현 백영흠 장석하 정명섭 △세계유산=김동욱 김정배 김학범 노순관 노중국 박상미 우경식 이배용 이수곤 이주형 임돈희 이혜은 정종섭 채미옥
- 조선일보 2013.05.03
서울문화재단(대표 조선희)은 지난주 건축설계업체 공간그룹의 종로구 원서동 공간사옥에 대한 매수의향서를 공간그룹 측에 보냈다고 1일 밝혔다. 공간그룹은 서울문화재단의 매수의향서가 포함된 회생계획을 법원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간사옥은 지난 1월 모기업인 공간그룹의 부도로 매각될 위기에 처한 바 있다.
서울문화재단 관계자는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공간이 민간에 넘어가 의미가 퇴색하는 것을 막고 시민이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매수 의향을 밝힌 것”이라며 “공간사옥의 감정평가액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했는데 법원 결정을 기다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2013.05.02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