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의 세계화 전략과 관련 정책을 두루 점검하는 포럼이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주관하는 ’제5회 전통문화의 한류 동반진출 전략 연구 포럼’이 14일 오후 2시 종로구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이 연구 포럼은 전통문화의 세계화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자 기획됐으며 이날 지금까지 열린 네 차례 논의와 5개 분야별 토론회 결과를 종합해 전통문화 진흥을 위한 정책 대안을 도출하게 된다. 포럼에서는 이원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이 ’전통문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관련 정책을 전반적으로 짚어본다.
발제 이후 김동윤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를 비롯해 김창규 한국전통문화대문화재관리학과 교수, 윤중강 국악평론가, 이상현 안동대 민속학과 교수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전통문화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토론한다.
- 매일경제 2013.01.14
◆계간 문학지 ‘21세기문학’을 발행하는 디엔피(대표 김상철)가 다음 달 충북 증평에 문을 여는 ‘21세기문학관’ 집필실을 등단 문인, 번역가들에게 창작공간으로 무료 제공한다. 신청은 27일까지 인터넷 홈페이지(21stbook.co.kr)에서 받는다.
◆설치미술가 최선(40)씨가 제12회 송은미술대상을 수상했다.
우수상에는 백정기(설치)·윤보현(영상설치)·하태범(미디어)씨가 선정됐다. 수상 작가들의 작품은 다음 달 28일까지 서울 청담동 송은아트스페이스에서 전시된다. 02-3448-0100.
-중앙일보 2013.01.14
국내 최초의 TV와 자동차, 88서울올림픽 굴렁쇠 등 시대를 대표하거나 희소성을 지닌 근현대 문화유산은 건설·제작된 지 50년이 안 됐더라도 ‘예비 문화재’로 지정돼 보존·관리된다. 문화재 주변 지역 지정이 서로 다른 법으로 이원화돼 이중으로 신청·허가를 받아야 했던 행정절차도 ‘역사문화환경보존지구’로 일원화되는 등 규제가 대폭 완화된다.
정부는 11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문화재 주변지역의 지나친 규제와 사유재산 침해 논란을 해소하고, 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 활용을 위해 이런 내용의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문화재보호법)과 ‘역사문화환경보존지구’(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로 나눠져 있던 문화재 주변 지정범위는 역사문화환경보존지구로 일원화된다. 건축물 높이 외에는 구체적인 건축물 허용기준이 없어 심의기간이 장기화됐던 폐단을 없애기 위해 건축물 용도범위 등 문화재별로 구체적인 허용기준도 제시하기로 했다. 문화재 조사기관 선정 시 종전에는 기술능력, 경영상태보다 가격에 의해 결정했지만 앞으로는 ‘매장문화재 조사용역 적격심사 기준’을 마련해 조사기관 선정 시 문화재와 기관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키로 했다.
- 문화일보 2013.01.11
서울 관악구(구청장 유종필)는 서울대와 ‘문화복합시설 건립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구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관악구와 서울대가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해 대학동 등 서울대 주변지역 학생과 주민이 다양한 문화, 공연 등을 즐길 수 있는 문화복합시설을 마련하기 위해 이뤄졌다.
특히 문화복합시설 건립을 통해 캠퍼스 내부에 국한됐던 서울대 학생들의 활동을 캠퍼스 밖 대학촌까지 확장해 고시촌의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고 지역경제도 활성화한다는 것이 구의 계획이다.
유종필 구청장은 “서울대와의 문화복합시설 건립추진 협약이 민간기업과 대학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지역발전을 모색하는 새로운 모델이 돼 침체된 대학 고시촌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문화일보 2013.01.11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