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 서브메뉴
  • 본문바로가기
  • 하단

로고

유틸정보

  • 로그인
  • 회원가입

메뉴 목록

  • 뉴스
    • 언론
    • 동정
    • 학술/행사
    • 공모
    • 강좌
    • 외국소식
    • 문화소사
  • 전시
    • 전시 일정
    • 오늘 전시
    • 외국 전시
    • 전시 평론
    • 화제의 전시
  • 컬럼
    • 연재칼럼
    • 지난칼럼
    • 외부칼럼
  • 도서
    • 단행본
    • 연속간행물
    • 도서자료검색
  • 색인
    • 전시공간
    • 인명사전
    • 협회 · 단체
    • 웹사이트
    • 외국색인
  • 서비스
    • 서울아트가이드
    • 온라인홍보
    • DM스티커
  • 커뮤니티
    • 알림
    • 연구소Blog
    • 패널리뷰
    • 홍보
    • 게시판
  • 김달진미술연구소
    • 연구소소개
    • 연구소언론보도
    • 연구소 연혁
    • 사업소개
    • 축하메시지
    • 오시는길
    • 김달진 소장은

뉴스

  • 언론
  • 동정
  • 학술.행사
  • 공모
  • 강좌
  • 외국소식
  • 문화소사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6 건
게시판 내 검색

[2012.11.19]김흥수 화백 43세 연하 부인 장수현씨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원로화가 김흥수(93) 화백의 부인 장수현 김흥수미술관장이 지난 13일 서울 평창동 자택에서 별세했다. 50세. 고인은 난소암으로 수년째 투병생활을 해 왔다.

 장 관장은 덕성여대 미대에 다니며 사제지간으로 만난 김 화백과 8년여를 함께 산 뒤, 1992년 결혼식을 치렀다. 당시 30세 신부를 맞이한 73세 노화가는 이미 두 번의 결혼과 이혼 이력이 있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주례를 맡아 “만년 청년과 절세 가인의 결합”이라고 덕담하기도 했다. 장 관장이 세상에 알려진 건 90년 파리 뤽상부르미술관에서 열린 하모니즘 초대전 때 김 화백과 동행하면서다.

 김흥수 화백은 구상과 추상을 한 화면에 결합한 ‘하모니즘’ 회화로 이름났다. 장씨의 20년 결혼생활은 43세 연상의 남편이 예술세계를 온전히 펼칠 수 있도록 내조에 힘쓴 기간이었다. 결혼 이듬해 김 화백은 동양인 최초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주박물관서 초대전을 가졌다. 장씨는 2002년 서울 평창동에 김흥수미술관을 개관하고 함께 ‘꿈나무 영재 미술교실’을 운영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김 화백의 건강이 악화되자 휠체어를 끌어주며 곁을 지켰다. 평소 고인은 “김 화백은 나의 신이다. 그분의 그림을 지키는 게 화두”라고 했다. 투병 중에도 “선생님의 예술세계에 반해 함께 지냈으니 여한이 없다”고 했다는 게 미술계 인사들의 전언. 두 사람 사이에 자녀는 없다.


- 중앙일보 2012.11.19

[2012.11.19]소설가 김주영씨,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초대 이사장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객주'의 소설가 김주영(73)씨가 오는 22일 출범하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초대 이사장을 맡는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예술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이사장(비상임)의 임기는 3년이다. 파라다이스 문화재단 이사장이기도 한 김주영씨는 18일 전화통화에서 "문화체육관광부의 연락을 받고 놀랐지만 파라다이스 문화재단에서 했던 것과 같은 계통의 일이고 고통받는 예술인을 돕는 자리라서 기꺼이 수락했다"고 말했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예술인의 사회보장 확대 지원, 예술인의 직업안정·고용창출·직업전환 지원, 취약계층 예술인 지원, 예술인복지금고 관리·운영 등의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재단 출범식은 22일 대학로 소호빌딩에서 열린다.


- 조선일보 2012.11.19

[2012.11.19]“제주 레고레타 유작 살리자” 24일 홍대앞서 시민문화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멕시코의 세계적인 건축가 리카르도 레고레타의 유작(遺作)인 제주의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 철거를 반대하는 시민문화제가 24일 오후 3시 서울 홍익대 앞 걷고 싶은 거리에서 열린다.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 살리기 문화연대’와 주한멕시코인 모임이 마련한 이번 행사에는 건축가 승효상, 김광현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조한혜정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등이 건물 보존을 촉구하는 연설을 하고,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 ‘타카피’ ‘아폴로18’ 등 인디밴드와 멕시코 밴드, 성악가 박태종이 공연한다. 사진전과 철거 반대 서명 운동도 함께 진행된다.


▶본보 8월 20일자 A21면 레고레타 유작 가건물 보존방안 논의 본격화


2009년 제주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들어선 이 건축물은 인근 앵커호텔의 모델하우스로 지어진 가설건축물로 지난해 6월 존치 기간이 만료돼 철거 대상이 됐지만 문화계 인사들은 문화적 가치를 주장하며 철거에 반대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도 한국 정부에 철거를 재검토해 달라고 공식 요청한 상태다. 064-741-1884


- 동아일보 2012.11.19

[2012.11.19]예술인재 발굴 앞장선 기업에 賞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손병옥 사장

(재)성정문화재단(이사장·김정자)은 제1회 성정후원문화상 기업부문(석류상) 수상 기업에 푸르덴셜생명(사장·손병옥), EXR KOREA(대표이사·민복기), 예송이비인후과 음성센터(대표원장·김형태)를 선정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성정후원문화상'은 예술단체와 예술 인재 발굴을 위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지원 활동을 하며 대한민국의 문화가치를 높이는데 앞장서 온 후원기업에 대한 공적을 널리 알리고 후원기업들과 함께 미래의 꿈과 희망을 만들어가고자 올해 처음 제정됐다.

기업부분(석류상)과 개인부문(태극상)을 시상한다.

   
▲ 민복기 대표

성정후원문화상 심사위원회는 "대한민국 예술인재 발굴을 위해 개최하는 성정전국음악콩쿠르가 전국 최고의 콩쿠르로 성장하기까지 지속적인 후원과 성정문화재단의 각종 문화 사업에 기업메세나(Mecenat·문화예술지원활동)로 문화 나눔을 실천한 그 간의 공로를 인정해 수상기업을 선정했다"고 전했다.

시상식은 오는 21일 오후 6시30분 노보텔 앰베서더(강남)에서 열리며 시상식에 이어 제1회 Salon Concert가 진행된다.

   
▲ 김형태 원장

성정태극후원회(회장·박점식) 평생회원들의 후원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개최되는 살롱콘서트에는 소프라노 박정원 교수와 클래식기타리스트 배장흠, 피아니스트 박우길(제20회 성정전국음악콩쿠르 대상), 조이오브스트링스 등 세계적인 음악가와 국내 정상급 아티스트들이 재능 기부로 출연한다.

 

 

-경인일보 2012.11.19 

[2012.11.19]보스턴미술관 한국실 새단장 개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미 수교 100돌을 맞아 미국 보스턴미술관 한국실이 30년 만에 새로 단장해 16일(현지시각) 재개관했다.

국제교류재단(이사장 김우상)이 70만달러(7억7000여만원)를 지원해 어둡고 우중충하던 전시실의 조명을 밝게 하고 진열대도 전부 유리로 바꿨다. 재개관 행사에는 맬컴 로저스 미술관장과 제인 포털(사진) 아시아 담당 큐레이터, 김 이사장, 박강호 주보스턴 한국 총영사 등이 참석했다.

1982년 설치된 한국실은 청동기 시대 매장 유물을 포함해 고려·조선시대의 도자기·칠기·금속·나전·불화 등 1000여점의 한국 유물과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상감청자 기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청자죽조문상감매병이나 불경을 보관하는 자개 경전합, 백자 달항아리, 고려 시대 금속공예품인 은제 주전자와 받침 등은 국보급이다.

큐레이터 제인 포털은 “한국 소장품은 대영박물관보다 오히려 낫다고 본다”며 “고려청자나 나전칠기 등은 수준이 매우 높고 보전 상태도 최상급”이라고 말했다.  

 

-한겨레 2012.11.19 

이전[이전 10개]
  • [1351]
  • [1352]
  • [1353]
  • [1354]
  • [1355]
  • [1356]
  • [1357]
  •   [1358]
  • [1359]
  • [1360]
[다음 10개]다음

하단 정보

FAMILY SITE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 박물관후원회
  • 한국미술정보센터
  • 달진북닷컴
  • 연구소 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제휴문의
  • 이메일수집거부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