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6

국제도시브랜드 디자인展 부산 벡스코서 23일부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광규 사단법인 한국브랜드협회 회장(사진)은 23일 오후 5시부터 오는 25일까지 3일간 부산 벡스코전시장에서 부산국제광고제 `제1회 국제 도시브랜드 디자인전`을 개최한다.

한국현대디자인협회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이번 디자인전에는 모두 13개국에서 출품한 120점의 국제 도시브랜드 디자인 작품이 전시된다.

 

 

-매일경제 2012. 8. 15


창덕궁 주합루 · 연경당 보물 지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창덕궁 주합루와 연경당이 각각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14일 고궁 건조물문화재 중 역사ㆍ예술ㆍ건축적 가치가 큰 창덕궁 주합루와 창덕궁 연경당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창덕궁 주합루(보물 제1769호)는 정조가 즉위한 해인 1776년 창덕궁 후원에 어제(御製ㆍ임금이 몸소 지은 글)와 어필(御筆) 보관을 위해 건립한 2층 건물이다.

 

- 헤럴드경제 2012.8.14

엉터리 문화재 영문표기 바로잡는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그동안 통일된 기준이 없어 교육ㆍ홍보ㆍ검색 등에 혼란을 빚었던 문화재 영문 표기에 대한 공청회를 마련한다.

문화재청은 오는 17일 오후 2시 서울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 기준안’ 정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연구용역을 맡은 박희선 (주)팬트랜스넷 책임연구원이 주제발표를 한 후 김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한다. 이 밖에 곽중철 한국외국어대 교수, 김지명 한국문화유산교육원장 등 8명이 토론자로 나선다.

문화재청 측은 “2010년부터 관련 학계ㆍ종교계ㆍ주한 외국인 등과 지속적인 검토와 논의를 거쳐왔다”며 “공청회를 통해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 기준안’을 공표하고 전문가와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이번 공청회에서 공표한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 기준안’을 30일 동안 문화재청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고한 후 10월 중 최종안을 확정한다.

이어 12월 말까지 행정 규칙으로 정해 내년부터 시행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 헤럴드경제 2012.8.14

[브리핑] ‘헤리티지 투모로우 프로젝트3’ 시상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통문화의 현대적 계승을 위해 활동하는 재단법인 아름지기(이사장 신연균) 주최 건축설계공모전인 ‘헤리티지 투모로우 프로젝트3’ 시상식이 14일 오후 4시 서울 인사동홍보관에서 열린다. 1등상인 송률·크리스티안 슈바이처(오스트리아)를 비롯해 10개팀이 수상한다. 수상작 전시는 같은 장소에서 20일까지 열린다. 올해로 3회째인 이 공모전은 ‘기억의 장소, 윤리의 건축’이라는 주제로 서울 종로구 서인사마당에 신축될 전통문화복합시설을 대상으로 열렸다. 02-741-8373.


- 중앙일보 2012.8.14


내년 55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에 김승덕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권영빈)는 내년도 베니스 비엔날레의 한국관 커미셔너로 김승덕(58·사진)씨를 선정했다고 13일 발표했다. 김씨는 프랑스 디종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르 콩소르시움(Le Consortium)’의 국제 전시기획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카타르 도하의 도시개발 프로젝트 디렉터와 파리의 현대미술 전시공간 팔레 드 도쿄의 프로그램 자문위원도 맡고 있다. 김씨는 “음악·영상 등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협업하는 다원 예술제로 구상중”이라고 밝혔다.

 구체적 전시 계획과 참여 작가는 연말쯤 확정한다. 그는 뉴욕대 대학원, 헌터컬리지 대학원을 졸업하고 파리 제1대학 판테옹 소르본에서 미술사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제55회 베니스 비엔날레 미술전은 2013년 6월 1일부터 11월말까지 열리며 총감독은 이탈리아 출신의 마시밀리아노 지오니다. 


- 중앙일보 2012.8.1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