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4월 1일 콕콕 이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눈힘으로 이국 도시의 풍경을 읽는다 선뜩한 색채의 역사화를 그려온 작가 서용선씨는 과거, 현재 풍경에서 한 시대를 읽는 시선의 근육을 키우는 데 애써왔다. 서울 소격동 학고재화랑 근작전에 그가 누볐던 뉴욕, 베를린 등 이국 도시들의 강퍅한 일상 풍경들이 울렁거린다. 그 풍경 속에 작가가 읽어낸 현대 문명의 황량한 뒤안길이 있다. 원색이 물결치는 그림 속 뉴욕 지하철 기둥들은 마치 감옥 창살처럼 눈을 옭아맨다.(도판) 10일까지. (02)739-4937.
80년대 청춘들 절규를 보라 격동의 1980~90년대 이땅 젊은이들 내면에 꿈틀거렸던 울분과 결기의 실체는 무엇이었나. 서울 관훈동 나무화랑의 80~90년대 목판화전은 그 시절 청년 군상 판화들로 당대의 고독, 결핍, 열정을 말한다. 퀭한 눈, 이글거리는 표정으로 채운 김진하, 윤여걸, 이섭씨 등 당시 열혈작가들의 목판화. 4일까지. (02)722-7760.

사진에서 긁어낸 휴머니즘 작가 이길렬씨는 풍경, 사람을 찍은 사진 표면을 긁어 윤곽선만 남기는 ‘포토 스크래치’ 작업을 한다. 처음엔 재미로, 나중엔 갈수록 빠져든 작업들을 서울 관훈동 갤러리룩스에 내놓았다. 긁어낸 화면이 빚어내는 인간적 질감, 세월의 흔적 등이 아릿하다. 5일까지. (02)720-8488.

거뭇한 달밤 생기 넘치는 소나무 서울 통의동 갤러리아트사이드의 이재삼씨 개인전. 거대 화폭에 꼼꼼하게 목탄을 칠하며 채워넣은 달밤 소나무의 꿋꿋한 자태와 기운이 뻗쳐나온다. 3일까지. (02)725-1020.

늙은 여자의 뒷모습을 주시하라 서울 팔판동 공근혜 갤러리에 내걸린 장숙씨의 사진들은 할머니들의 쪼그라든 맨몸 뒷모습이다. 노쇠한 그들 몸은 삶과 죽음의 접점으로써 울림을 던진다. 10일까지, (02)738-7776.

-한겨레 2011.4.1

도예가 신동수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도예가 신동수 개인전 도예가 신동수씨의 개인전이 30일부터 4월 5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 4 층에서 열린다. 신씨는 '바라보다'란 제목으로 조합토 소재에 조명기구를 접목시킨 도예작품을 발표한다.

- 문화일보 2011.3.31

팍팍한 일상에 ‘꿈’을 불어넣는 박형진,이서미의 작업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화가 박형진과 이서미가 서울 가회동 이목화랑에서 2인전을 연다. 오는 4월 17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2인전에서 박형진은 날로 팍팍해지는 현대의 삶 속에서도 흙과 동식물, 즉 자연의 건강한 생명력을 전해주는 상쾌한 작품들을 출품했다.

이서미는 일상에서 느낀 갖가지 감상을 스토리가 있는 화면으로 구성한 색다른 회화를 내놓았다. 삭막한 일상에서 또다른 세계를 꿈 꾸는 두 작가의 실험이 싱그럽고 유쾌하다. 02)514-8888

- 헤럴드 경제 2011.3.31

동양화가 허진,성곡미술관서 ‘억압된 일탈’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견 동양화가 허진(50, 전남대 교수)이 서울 신문로의 성곡미술관(관장 박문순)에서 개인전을 열고 있다. 허진은 성곡미술관의 ’중견 중진작가 집중조명 기획시리즈’의 여섯번째 작가로 초대받아, 고도로 물질화되고 있는 현 시대 속 인간과 문명을 비판적 시각으로 표현한 대작 40여점을 선보이고 있다.

전시부제는 ‘억압된 일탈’. 작가는 날로 첨단으로 치닫는 현 과학문명시대에 흔들리고 절규하는 현대인의 내면을 강렬하면서도 독특하게 표현한 다양한 작품을 출품했다.

디지털 유목민의 삶을 다룬 ‘노마드/안티-노마드’, 미래의 이상적 세계와 현실을 대비시킨 ‘유토피아/디스토피아’ 등이 평면및 설치작업을 통해 관객과 만나고 있다. 또 ‘생태순환’ 등은 유전공학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과학에 대한 맹신을 떨쳐내고 대자연과 공생하며 슬기롭게 살아가는 자세가 필요함을 시각적으로 강하게 피력한 작품들이다. 전시는 4월 24일까지. (02) 737-7650

- 헤럴드 경제 2011.3.31

[알립니다]동아일보 신문박물관 무료 개방합니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동아일보 신문박물관 무료 개방합니다
창간 91주년 기념 4월 1일부터 10일까지

동아일보사 부설 신문박물관(프레시움·PRESSEUM)은 본보 창간 91주년과 제55회 신문의 날을 맞아 4월 1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종로구 세종로 동아미디어센터 3,4층 전시실을 무료 개방합니다.
또 4월 1일부터 5월 1일까지 4층 기획전시실에서는 '동아희평(東亞戱評)33년-백인수'전을 개최합니다. 이 전시회에서는 고 백인수 화백이 33년간 동아일보에 연재했던만평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신문 박물관 홈페이지(www.presseum.or.kr)를 참조하거나 전화(02-2020-185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람 바랍니다.

'동아희평(東亞戱評)33년-백인수'전
전시 기간:2011년 4월 1일~5월 1일
관람 시간:오전 10시~오후6시(월요일 정기휴관)
전시 장소:신문박물관 기획전시실(동아미디어 센터 4층)

-동아일보 2011.3.3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