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만화가 이향원씨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떠돌이 검둥이'로 유명한 만화가 이향원 화백이 지난 17일 뇌졸중으로 별세했다. 향년 67세.

처남인 김태범 씨는 "이달 초 뇌졸중으로 이대목동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으시던 중 17일 새벽 갑작스럽게 돌아가셨다"면서 "작품을 준비 중이셨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1944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난 이 화백은 서라벌예대 사진과를 졸업하고 1960년 '의남매'로 만화계에 입문했다.
'떠돌이 검둥이' '이겨라 벤' '사랑해 샤샤' 등 개와 인간의 우정을 그린 가슴 따뜻한 작품으로 1970-80년대 힘겨웠던 시절 사람들에게 감동을 안겨줬다. 1991년 YMCA우수만화 작가상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영숙 씨와 인혜, 수경, 인경 씨 등 3녀가 있다.

빈소는 이대목동병원 7호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9일 오전 9시.

- 연합뉴스 2011.2.18

[부음] ‘이겨라 벤’ 만화가 이향원씨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만화가 이향원 화백이 지난 17일 뇌졸중으로 별세했다. 향년 67세. 1944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난 이 화백은 ‘떠돌이 검둥이’ ‘이겨라 벤’ ‘사랑해 샤샤’ 등 개와 인간의 우정을 그린 가슴 따뜻한 작품으로 1970∼80년대 힘겨웠던 시절 사람들에게 감동을 안겨줬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영숙씨와 인혜, 수경, 인경씨 등 3녀가 있다. 빈소는 이대목동병원 7호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9일 오전 9시

-세계일보 2011.02.19

시사만화 ‘나대로 선생’ 작가 이홍우 화백 상명대 교수 임용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동아일보 시사만화였던 ‘나대로 선생’의 작가 이홍우 화백(62·사진)이 상명대 문화예술대학원 만화영상과 교수에 임용돼 3월부터 후진을 양성한다. 이 신임 교수는 1967년 서라벌예대 2학년 때 대전 중도일보에 ‘두루미’를 그리면서 시사만화를 시작했고 1973년부터 전남일보에서 ‘미나리 여사’를 그렸다. 1980년 11월 12일 동아일보에 ‘나대로 선생’ 연재를 시작한 후 2007년 12월 26일 마지막 회까지 27년간 8568회를 게재했다. 동아일보 편집위원(국장급), 한국시사만화가협회장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미스앵두’ ‘오리발’ ‘나대로 간다’ 등이 있다. 고바우만화상, 대한언론인상 공로상 등을 받았다.

그가 꼽은 나대로 선생의 대표작은 ‘외교 굽신, 경제 망신, 치안 불신, 정책 등신, 날치기 귀신, 국민 배신’이라는 말로 6공화국의 실정을 풍자하며 ‘6공6신’이라는 신조어를 만든 1991년 11월 29일자. 그는 “권력 감시라는 시사만화의 역할이 여전히 크지만 요즘 영향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풍자만화연구’ 등의 과목을 강의할 이 교수는 “가요계에 ‘서태지’란 가수가 튀어나와 세상을 놀라게 했듯이 감각적이고 역량 있는 시사만화계 후진을 키워내겠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2011.02.19

2월 23일까지 김수옥 개인전 ‘축복’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아름다운 꽃 그림으로 따스한 서정을 선사하는 김수옥 작가가 23일까지 서울 평창동 갤러리 인(仁)에서 ‘축복’이라는 타이틀로 개인전을 연다. 작가는 얼마 전 양재동 꽃시장에서 히야신스를 샀다. 어느 날 갑자기 꽃을 피우고 향기까지 내뿜는 것을 보고는 그 기쁜 마음을 사람들에게 전하겠다며 그림을 그렸다.

특정한 꽃을 그리되 모두 ‘축복’이라는 제목을 붙인 작가는 사계절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작업을 한다. 봄에는 생명의 꽃, 여름엔 번성한 꽃, 가을엔 아름다운 단풍, 겨울에는 눈꽃 등으로 가득한 세상이야말로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축복이라는 것이다. 유난히도 추웠던 겨울을 딛고 피어난 꽃들을 그린 20여점이 전시된다(02-391-1058).

-국민일보 2011.02.19

MS본사에 그림 6000점 있는 까닭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술관에 간 CEO
김창대 지음
304쪽·1만5000원·웅진지식하우스

마이크로소프트의 미국 시애틀 본사에는 미니멀리즘의 거장 솔 르윗의 작품을 비롯해 80여 개 사무실에 6000여 점의 미술 작품이 전시돼 있다. 애플을 이끄는 스티브 잡스는 회사 외부 벽면 전체를 피카소의 얼굴로 덮었다. 국내에서도 삼성전자 이재용 사장은 해박한 미술 지식을 뽐내고 있고,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과 GS 허용수 전무는 ‘박물관의 젊은 친구들’이란 문화예술 후원단체의 회원이기도 하다.

바쁜 기업가들이 시간을 쪼개 미술관에 가고 예술 활동에 관심을 갖는 이유가 단순한 기호 때문만은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소비자들은 이제 필요(need)에 의해서가 아닌 욕망(wants)에 따라 소비하기 때문에 기업이 과거 성공공식에서 벗어나 혁신에 나서야 한다는 것. 예술은 이런 창조경영을 하기 위한 훌륭한 교과서가 된다는 조언이다. 책은 예술가들의 사고방식, 창조성, 혁신, 발상전환 등을 8개의 키워드로 제시하며 그에 해당하는 경영 사례들을 소개한다.

-동아 2011.2.1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