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부산비엔날레 출품작가 데니스 오펜하임 타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08부산비엔날레와 2010부산비엔날레 두 번의 영구설치작품 출품을 통해 부산시민들에게 친숙한 현대미술작가인 데니스 오펜하임(1938~2011, Dennis Oppenheim)이 지난 1월 22일 간암으로 별세했다.

세계적인 조각가이자 개념미술의 대부인 데니스 오펜하임이 지난 1월 22일 간암으로 현대미술의 역사 속에 잠들었다. 일생을 온전하게 작품 활동에 쏟은 열정적인 작가이자 그가 일평생 추구했던 개념미술을 통해 예술성을 인정받아 세계적으로 추앙을 받은 작가이다. 특히 그는 70세가 넘는 나이와 지병에도 불구하고 왕성한 작품 활동을 통해 세계 수 많은 작가들의 귀감이 되기도 했다.
그는 영국의 테이트 갤러리, 미국의 휘트니 미술관, 현대미술관 등 세계 유수의 갤러리와 미술관을 순회하며 280여회의 개인전과 550여회의 단체전에 참가하는 등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해왔다. 특히 그의 작품은 코펜하겐 발레롭 꼬뮨, 베를린 국립미술관, 미국 휘트니 미술관, 한국 올림픽공원과 APEC나루공원 등 전세계 명소에 설치되어 있다. 데니스 오펜하임은 그의 평생을 작품에 온전히 쏟은 열정적인 작가였으며, 퍼포먼스와 조각, 사진을 포함한 개념미술 전반에 걸친 그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2007 벤쿠버 조각 비엔날레에서는 특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데니스 오펜하임은 1988년 올림픽 공원에 'IMPERSONATION STATION'라는 작품을 설치하면서 한국과 처음 인연을 맺었으며, 2008부산비엔날레에 'ELECTRIC KISS', 2010부산비엔날레에 'CHAMBER'라는 작품을 출품하였다.

[부고]권종갑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권종갑 한학서예가 별세

-동아 2011.1.25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사립미술관협회장 취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명옥 사비나미술관 관장이 25일 사단법인 한국사립미술관협회 제3대 회장에 취임했다. 이명옥 신임 회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대학로 `예술가의 집` 3층 다목적홀에서 취임식을 가졌다.

사립미술관협회는 전국 사립미술관들이 미술관문화 확산 등을 위해 지난 2005년 출범시킨 단체다. 이명옥 회장은 2009년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유공자로 포상돼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으며 `팜므파탈`, `명화 속 흥미로운 과학이야기`, `그림 읽는 CEO` 등 20여 권의 책을 쓴 베스트셀러 저자이기도 하다.

-매일경제 2011.01.26

故 백남준 선생 5주기 추모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고(故) 백남준 선생 5주기 추모식이 29일 오후 3시 경기도 용인시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유족, 경기문화재단 관계자, '백기사(백남준을 기리는 사람들)' 회원들이 참석한다. 가야금 명인 황병기 선생이 거문고를 연주하고, 한국몽골학회 박원길 회장이 아시아 문명의 가치를 강조했던 그를 기려 '초원의 바람'을 주제로 강연한다.

-조선일보 2011.01.26

광화문 현판 제작위 발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광화문 현판을 다시 제작하기 위한 현판제작위원회를 구성하고 제1차 회의를 오는 26일 오전 11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최한다고 24일 말했다. 위원회는 현판 재(再) 제작을 위한 목재 구입과 그 건조, 각자(刻字) 등의 제작 과정 전반을 지도ㆍ자문하고 점검하게 된다. 위원은 12명이며 분야별 명단은 다음과 같다.

▲전통건축 시공 전문가 : 김동현(전 문화재위원)ㆍ김봉건(한국전통문화학교 총장)
▲한국건축사 전문가 : 김동욱(경기대 교수)ㆍ박언곤(문화재위원)ㆍ박강철(문화재위원)
▲목재조직 전문가 : 박상진(경북대 명예교수)ㆍ정성호(산림인력개발원 연구원)
▲목재 건조 전문가 : 강호양(충남대 교수)ㆍ차재경(국민대 교수)
▲문화재수리기능장 : 박찬수(목조각장)ㆍ박명배(소목장)ㆍ오세종(칠공, 수리기능자)

-연합뉴스 2011.01.2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