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비주얼아트센터보다, 영문 미술계간지 POINT 창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비주얼아트센터 보다(www.artcenterboda.com)는 지난 10월 21일 영문 미술계간지 POINT _ Asia contemporary art magazine을 창간했다.

POINT는 10월에 한국, 중국, 일본의 아시아 젊은세대의 역량있는 작가들을 프로모션 하여 신선하고 주목받는 작가들을 선보이고 각 호마다 기획기사를 통해 동시대 아시안 시각예술의 이슈를 살펴 보고, 문제점과 그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1만 5천원/02-3474-0013)

[새책]건축, 생활 속에 스며들다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건축, 생활 속에 스며들다(조원용 지음/창의체험) = 유명 건축사인 저자가 건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쉽고 편안하게 설명했다. 하루도 빠짐없이 건축물 속에서 살아가면서도 우리가 잘 모르고 지나갔던 건축에 대한 궁금증을 사진을 곁들여 흥미롭게 풀어주고 있다. 1만3000원.

◆ 시각과 예술(마거릿 리빙스턴 지음, 정호경 옮김/두성북스) = 하버드 의과대학 신경생물학과 교수인 저자는 우리가 어떻게 눈과 뇌를 통해 예술을 보는지를 과학적 지식을 통해 검증한다. 예술작품을 볼 때 우리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이해함으로써 예술과 과학을 접목시키는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 있다. 2만8000원.

-문화일보,2010.11.26

우리 문화에 대한 저널리즘적 성찰… ‘문화의 풍경’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종합일간지 기자 생활의 대부분을 문화예술 분야에서 보낸 저자(손수호)가 20여년간 우리 문화에 대해 품었던 다양한 생각들을 정리한 일종의 우리 문화 해설 및 비판서다. 현대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해 우리 화단(畵壇)의 민얼굴을 스케치했다. 또 문화예술계에서 경지에 이른 인물들과의 대화를 기록하고 선인들의 발자취를 더듬으며 역사와 향토에 대한 사랑을 표현했다. 저작권에 대한 학문적 지향점도 고찰했다. 저자는 저널리즘적 시각에서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아카데미즘과 결합시켜 현장감있게 풀어냈다. 무조건적인 비판이 아니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면서도 쉽고 명쾌한 문체로 소재들을 다뤘다. 문화를 ‘격조 있고 가치 있는 삶의 충만한 형태’라고 정의한 저자의 우리 문화에 대한 사랑이 곳곳에 담겨있다(열화당·2만원).

-국민일보,2010.11.26

미술품 거래 양도세 쟁점토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KTV 한국정책방송원은 26일 오후 8시30분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쟁점토론 터놓고 말합시다’에서 미술품 거래에 대한 양도세 부과 논란을 다룬다고 25일 밝혔다.

미술품 양도세는 작고한 국내 작가의 작품 중 6000만원 이상의 미술품을 매매할 때 생기는 차익에 대해 20%의 세금을 부과하는 것으로, 2011년 시행을 앞두고 정부와 미술계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박찬숙 전 국회의원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에는 홍기용 한국납세자연합회 회장과 정준모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미술관·박물관학) 초빙 교수가 패널로 참여한다.

-국민 2010.11.26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 착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는 25일 서울 광화문 옛 청사에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착공식을 가졌다.

2012년 완공할 계획인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대한민국 태동, 대한민국 기초 확립, 대한민국 성장과 발전, 대한민국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이라는 4개의 대주제와 13개의 중주제를 보여주는 전시공간으로 꾸며진다. 착공식에는 김황식 국무총리와 유인촌 문화부장관, 김진현 건립위원장을 비롯한 정·관계 인사, 독립유공자, 정부수립유공자, 민주화운동 및 한국전참전 인사, 60∼70년대 구로공단 노동자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국민 2010.11.2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