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콕콕 이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서울 이태원에 나타난 야심작들 중견 작가 전수천씨의 신작전 ‘사물로부터 차이를 읽다’(11월6일까지 서울 이태원 표갤러리, 02-543-7337)와 젊은 작가 김태진씨의 ‘이태원 오바로크’전(30일까지 서울 한남동 공간 해밀톤, 031-420-1863). 전씨의 전시는 소비사회에 대한 성찰을 담은 조화, 생화 섞인 ‘꽃사진’ 시리즈와 꽃 설치작업(사진)들로 채워진다. 김씨는 군복에 계급장을 박는 자수의 일종인 ‘오버로크’ 작품과 다문화 공간 이태원의 정체성을 담은 기록·퍼포먼스 영상들을 내놓았다.

■ 북촌의 야릇한 전시 셋 생선뼈로 목걸이, 핸드백 명품 등을 만든 최찬미씨의 ‘리바이벌’ 전(11월2일까지 서울 안국동 사이아트갤러리, 02-3141-8842)과 실과 바늘로 삶 속 꽃 이미지를 옮긴 작가 달분의 자수 전시 ‘꽃이다’(11월10일까지 서울 인사동 이즈낫 갤러리, 02-7725-6751)는 색다른 눈길로 미술 언저리를 돌아보게 한다.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가 차린 ‘극락정토, 미타의 미소’전(11월2일까지 서울 관훈동 더 케이 갤러리, 02-764-1389)은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중진 작가 8명이 각자 그려보는 그들만의 극락정토 세상을 보여준다.


■ 노원희전 1월5일까지 부산 온천동 수가화랑. 용산 철거 참사와 서민 생활고 등의 사회 문제들을 풀숲, 검은 혀, 새떼들의 함축적 이미지로 풀어낸 지적인 이야기 그림들. (051)554-9184.

-한겨레, 2010.10.29

한경혜씨 ‘물속 풍경’ 개인전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계곡물속 풍경을 그리는 한경혜씨가 제5회 개인전을 11월3~9일 서울 갤러리이즈에서 연다. 주제도 ‘물속 돌을 그리다’이다. 한지에 수묵담채로 물과 돌을 표현해온 작가는 지난해 홍익대 대학원에서 ‘동양회화에 나타난 물 표정 연구’로 미술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홍대 동양화과에 출강하고 있다. 02-736-6669

문인상씨 ‘생명-율’ 개인전

야생화를 통해 자연을 표현해온 문인상씨의 개인전이 27일부터 11월2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2층에서 열린다. 작가는 ‘생명-율’시리즈에서 수건재료 등을 활용해 꽃, 풀잎의 이미지를 생동감 있게 펼친다. 02-736-1020

-문화일보, 2010.10.28


[새책]길 위에서 美문화의 원류 만나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국사의 이정표적 사건이나 중요한 문화유산 현장을 일일이 찾아 역사적 순간을 재구성한 발로 쓴 미국 문화유산 답사기. 미국학 권위자인 신문수 서울대 교수는 미국인의 삶을 ‘노마드적’으로 규정한다.

서부로 가는 여로의 종착지인 샌프란시스코에서 태동한 비트문학 운동의 주역들이 대부분 동부 출신이란 사실이야말로 이동, 변화, 동요를 특징으로 하는 미국 문화의 한 단면이란 얘기다.

1권 ‘멋진 신세계의 꿈’은 월터 롤리의 로어노크 식민지 건설에서부터 남북전쟁 이전까지, 2권 ‘팍스 아메리카나의 길’은 남북전쟁 무렵부터 20세기 후반 민권운동 시대까지 중요한 역사체험을 담았다. 피상적으로 알고 있거나 일정한 틀로 일반화한 미국이 아닌 다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시간의 노상에서/신문수 지음/ 솔

-헤럴드경제, 2010.10.28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서기관 전보 ▲대통령실 파견 이영열

- 연합뉴스 2010.10.28

몽골 前대통령 백남준아트센터 초청강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푼살마긴 오치르바트 전 몽골 대통령이 29일 오후 4시 30분 백남준아트센터에서 특별초청강연을 한다.

한·몽수교 20주년을 기념해 자신의 회고록을 출간하고,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오치르바트 전 몽골 대통령은 이날 '세계속의 몽골'이라는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오치르바트 전 대통령은 전형적인 테크노크라트(기술관료) 정치인으로서 격동의 1990년에 인민대회 간부회의장과 초대 간선 대통령으로 취임했고, 이후 70여년간 계속돼 왔던 몽골국의 공산주의를 포기하는 등의 개혁정책을 추진한 인물이다.

1993년 51세에 몽골국의 국민 직선에 의한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돼 정치적으로는 중립 및 비동맹 국가체제를,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에 기초한 개혁정책을 추진한바 있다. 1990년 한·몽 수교 당시 몽골의 최고지도자였으며, 지난 2000년에는 한·몽수교 10주년을 기념해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현재는 몽골 의회 의원으로 활동중이다.

백남준아트센터 관계자는 "몽골은 세계 10위의 자원대국으로 최근엔 이러한 몽골의 자원에 눈독을 들여, 세계의 열강들이 몽골과의 정치·경제적 유대관계를 맺기 위해 부단히 공을 들이고 있는 현실"이라며 "우리로서는 양국 관계의 진전에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는 때이고 이번 오치르바트 전 몽골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양국의 문화관계가 더욱 발전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031)201-8500

-경인일보 2010.10.2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