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국보 `백제금동대향로`, 5년 만에 서울서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 새단장

백제문화의 정수인 백제금동대향로(국보 제287호)가 5년 만에 서울로 왔다. 고려의 문익점이 들여온 목화보다 800년이나 앞선 부여 능사리 절터 출토 면직물도 함께 공개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용산 개관 5주년을 기념해 선사고대관의 백제실을 새단장,28일 공개하면서 선보이는 유물들이다.

새로 단장한 백제실은 지금까지의 주제별 전시 대신 한성기에서 웅진기,사비기로 이어지는 백제의 역사를 시간 흐름에 따라 살펴보는 통사적 전시로 구성했다. 문헌에 나와 있는 백제의 실체를 고고학 자료로 이해할 수 있도록 무령왕릉 관 꾸미개를 비롯한 국보 3점,보물 1점 등 모두 530여점을 전시한다.

한성기와 관련해서는 백제의 건국 및 발전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등 중앙과 지방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한다. 공주 수촌리 유적에서 출토된 금동관모는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특히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부여 쌍북리 출토 '좌관대식기(佐官貸食記)' 묵서명 목간은 백제의 환곡제도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 고려 문익점의 목화보다 800년이나 앞선 부여 능사리 절터 출토 면직물은 백제인의 독특한 직조기술을 보여준다.

-한국경제,2010.10.28

‘성북동 예술가’ 흔적 따라가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ㆍ내달 25일까지 매주 수·목요일

서울 성북구립미술관이 성북동과 관련된 미술가들의 흔적을 따라가 보는 탐방프로그램 ‘성북동을 걷다-예술가의 길’을 다음달 25일까지 매주 수·목요일 오전 10~12시에 개최한다. 탐방은 한성대입구역 인근의 성북전시관 앞에서 출발해 조선 말기의 화가 장승업의 집터와 4대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낸 미술사가 고 최순우의 옛집, 화가 운보 김기창과 아내인 우향 박래현 화백의 집터에 세워진 운우미술관, 문화재 수집가였던 간송 전형필이 세운 간송미술관, 성북구립미술관, 소설가 상허 이태준의 고택, 만해 한용운이 말년을 보냈던 심우장 등을 미술관 도슨트와 함께 둘러보는 코스로 진행된다.

이밖에 화가 변종하가 생전에 살았던 집을 고쳐 만든 변종하미술관, 조각가 권진규의 아틀리에 등 성북구 내 다른 미술 관련 장소에 대한 설명도 들을 수 있다. 참가비는 1만원이며 회당 10명씩 선착순 접수한다. 접수기간은 11월22일까지이며 성북구립미술관 홈페이지(sma.gongdan.go.kr)나 e메일(shymiae@naver.com) 등으로 신청할 수 있다. (02)6925-5011

-경향신문, 2010.10.28

[인사]부천문화재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영지원본부장 금영수 ▷감사팀장 천상식 ▷행정지원팀장 송준호 ▷경영전략팀장 김성훈 ▷고객지원팀장 정미경 ▷문화정책팀장 김기석 ▷문화교육팀장 심재연 ▷문화사업팀장 김영란 ▷창조산업팀장 임혜진

-헤럴드경제, 2010.10.27

문화체육관광부 청사 이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는 창경궁옆 국립서울과학관 본관으로 청사를 이전한다고 26일 밝혔다.

문화부는 국립서울과학관 본관 리모델링공사를 마치고, 10월 말까지 청사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현 광화문 청사는 1961년 10월 준공돼 86년 2월까지 내각사무처, 국가재건최고회의, 경제기획원 등에서 사용했고, 문화부는 86년 3월부터 현재까지 24년8개월 동안 사용해왔다.

현 문화부 청사는 리모델링해 ‘대한민국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조선 개항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발전사를 전시하는 공간이다.

국민일보 2010.10.27

정부대전청사서 천연기념물 특별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이달 28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정부대전청사 지하 중앙홀에서 2010년 천연기념물 특별전시회를 개최한다고 26일 말했다.

이 자리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ㆍ식물과 지질ㆍ천연보호구역, 그리고 명승 관련 사진 패널 50점, 박제 33점이 선보이며 홍보 영상과 희귀조류 10여 종의 생활상을 담은 영상자료도 상영된다.

- 연합뉴스 2010.10.2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