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문화가 - 전시
<광주 문화가 소식>
◇전시
▲`2010 광주비엔날레'(11월7일까지, 광주비엔날레전시관, 양동시장 등) = `만인보'를 주제로 전 세계의 다양한 이미지가 한자리에 선보인다. 이미지와 인간, 이미지와 삶의 관계를 탐구하는 이번 비엔날레는 31개국에서 134명의 작가가 참여해 이미지의 모든 것을 보여준다. 신디 셔만, 워커 에번스, 앤디 워홀 등 거장들의 작품과 이데사 헨델스의 대작 `테디베어 컬렉션'은 놓쳐서는 안 될 전시다. 양동시장 등 광주시내 25곳에서 열리는 시민참여프로그램 `만인보+1'도 눈길을 끈다. (☏ 062-608-4228)
▲제8회 광주비엔날레기념 특별기획전 `디저트'(11월14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 강 운, 권진희, 박상화, 박 설, 박정용, 신양호, 신호윤, 양문기, 유재명, 이재길, 이정기, 이조흠, 이호동, 조광석, 진시영, 최제헌, 황정후 등 지역작가들이 일상 속에 스며든 예술의 의미를 보여준다. `예술은 디저트다'를 주제로 전시공간도 평면적인 전시관에서 벗어나 계단과 전시관 옥상 등을 활용해 공공미술을 지향한다. (☏ 062-613-7141)
▲동아시아 현대미술전 `황색의 문'(31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 광주비엔날레를 기념해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 작가라고 할 수 있는 김기라(설치)와, 이이남(영상), 정운학(설치), 정정주(설치)를 비롯, 일본의 젊은 작가인 카네우지 테페이(설치), 코이즈미 메이로(영상), 중국의 종비아오(회화), 루 펑(회화) 등 8명의 작품이 선보인다. (☏ 062-613-5391)
▲하정웅 컬렉션 특별전 `민주 인권, 그리고 광주'(2011년 2월13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 한일강제합병 100주년과 5.18 민주화운동 30주년을 맞아 민주화와 인권, 반제국주의 등 역사적 의미를 다룬 전시회로 송영옥, 박불똥, 홍성담의 회화, 판화작품 80여점이 선보인다. (☏ 062-613-7100)
▲`밥-오늘'전(15일까지, 광주 남도향토음식박물관) = 현실 속에서 밥이 가진 의미와 내용을 다양한 시각으로 표현한 `밥-오늘' 기획전으로 권 산, 김병하, 김보수, 김화순, 김희련, 박광수, 박태규, 양갑수, 전정호, 전상보, 천현노, 홍성민 등 민중미술작가들이 참여해 회화와 설치, 사진, 도예 등 4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 062-575-8883)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 `한.일.싱 현대미술 -NOW AND NEXT-'(11월12일까지, 국립광주박물관) = 국립광주박물관 재개관을 기념하는 기획전시로 일본 다카하시 마사루, 싱가포르 제이슨 림, 한국 김종일 등 52명의 동아시아 작가가 최신 현대미술을 선보인다. (☏ 062-570-7061)
▲다섯개의 샘(11월7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 김영화, 박동신, 박주하, 이정석, 정상섭 등 광주지역 작가 5명이 무미건조한 현실을 작가 특유의 화법으로 그려낸 오아시스 같은 작품들을 선보인다. (☏ 062-613-5382)
▲이영재 도예전(11일까지, 광주 신세계갤러리) = 1972년 독일로 건너가 40년간 실용도자기의 전문가로 유럽과 일본 등에서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도예가 이영재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 062-360-1630)
▲갤러리 D 개관 1주년 기념전(20일까지, 광주 동구 대의동 갤러리D) = 갤러리 D가 선정한 `내 것'만큼이나 아름다운 '그들의 것'을 소개하는 자리로 변웅필, 손진아, 신동원, 최울가, 줄리안 오피 등 5명의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 062-222-8011)
▲2010 전국 레지던스 작가 교류전(14-20일, 광주 금남로4가역 메트로갤러리) = 광주와 부산, 전주에서 활동중인 레지던스 작가들의 첫 교류전으로 회화와 조각, 설치 등 작품을 만날 수 있다. (☏ 062-226-8057)
▲우리 멋으로 풀어본 명인 명품전(13-29일,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 광주비엔날레를 기념해 우리 지역의 전통미술의 명인과 명품이야기를 선보이는 자리로 서예와 청자, 공예 작품 등이 소개된다. (☏ 062-223-6677)
- 연합뉴스 2010.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