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인사] 송파구 5급전보 미래비전기획단장 황대성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송파구 △문화체육과장 인금철

국민일보, 2010. 7. 22

[새책]유년의 추억속 명화를 매만지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그림값은 주관적이란 게 법원의 판결이고 보면 그림에 대한 느낌과 태도는 각양각색일 수밖에 없다. 그림해설서도 마찬가지다. 누가 어떻게 풀어내느냐에 따라 그림의 이해도 달라진다.

미술사가 정석범의 미술에세이는 군인 아버지를 따라 전국 방방곡곡으로 옮겨다니며 생활해야 했던 어린시절 얘기부터 아버지의 취향까지 생활 얘기 속에 그림을 집어넣어 거실 벽 그림처럼 친근하다. 가볍게 읽히지만 저자가 그림 속에서 읽어낸 것들은 예사롭지 않다. 어린시절 강에 빠진 기억과 콜비츠의 ‘죽음의 위로’, 원주천의 범람과 안도 히로시게의 ‘쇼노’ 등 경험과 그림의 만남이 흥미롭다.

아버지의 정원 / 정석범 / 루비박스

-헤럴드경제, 2010.7.22

나혜석 생가거리 미술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우리나라 최초 여류 서양화가이자 여성운동가인 나혜석(18 96~1948)을 기리기 위한 ‘제2회 나혜석 생가거리 미술제’가 23~30일 그의 생가가 있던 수원시 화성행궁광장 일대에서 열린다.
수원의제21추진협의회, 화성역사문화마을만들기협의회 등 9개 단체와 미술작가 62명이 참여하는 이번 미술제는 전시회와 체험예술활동, 영화상영, 벽화그리기, 퍼포먼스 등 다채로운 행사로 꾸며진다.

23일 오후7시 열리는 전야제는 ‘나혜석, 기억을 걷는 시간’이란 주제로 화성행궁 화령전 옆 나혜석 생가터에서 장안문, 화홍문, 못골시장, 방화수류정을 따라 걷는다. 이어 오후9시부터 방화수류정에서 차를 마시며 시를 낭송하는 등 나혜석을 추모하는 행사를 마련한다.

서울신문 2010.7.22






[팝업] 상여 목조각품 꼭두 살아나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꼭두라는 목조각품이 있다. 보통 망자의 저승길을 수호한다. 한국인은 자신을 닮은 꼭두를 만들어 상여를 장식하곤 했다. 꼭두는 정지돼 있다. 조각품인 까닭이다. 독립애니메이터 감독 전승일씨는 이런 꼭두에게 동작을 부여했다. 24일 서울 동숭동 꼭두박물관에서 개막하는 ‘꼭두가 움직여요’ 전시에서다. 전시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을 접목한 설치예술품을 선보인다. 이른바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다.

여기서 애니메이션은 흔히 알고 있는 ‘만화영화’가 아니다. 조이트로프(일련의 연속그림을 원통형의 안쪽에 넣어 회전시켜 시각적 운동감을 부여하는 장치), 페나키스티스코프(원반에 그려진 그림들이 돌아가는 장치) 등 정지된 사물을 움직이게 하는 서양의 예전 기법을 말한다.

그럼에도 전 감독의 ‘움직이는 꼭두’(사진)는 유쾌하다. 관객들은 다양한 모습으로 움직이는 꼭두들을 만날 수 있다. 타이머 스위치를 이용해 직접 작품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전씨는 “오랜 세월 민초들의 친구였던 꼭두들을 오늘날에도 놀게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11월 30일까지. 02-766-3315.

중앙일보 2010.7.22

[인사] 화성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화성시 ▷문화예술과장 김계순

헤럴드 경제, 2010. 7. 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