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淸 건륭제 옥새 180억원에 경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국 청나라 건륭황제((乾隆帝)가 사용하던 '청옥 츠룽(靑玉 츠<벌레충변 離>龍)' 옥쇄가 대만 경매시장에서 4억8천250만 대만달러(180억 원)에 낙찰됐다고 반관영 통신 중국신문사를 비롯한 중국 언론들이 28일 보도했다.

지난 26일 대만에서 열린 경매에 매물로 나온 이 옥새는 최초 호가 1천200만 대만달러(4억5천만 원)로 경매가 시작돼 경합 끝에 수수료를 포함, 4억8천250만 위안을 써낸 입찰자에게 최종 낙찰됐다. 낙찰자의 신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청옥을 사용해 가로와 세로 각각 11.7㎝의 정사각형으로 제작된 이 옥새는 한문 전서체로 '건륭어람지보(乾隆御覽之寶)'라는 6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 옥새는 차이천난(蔡辰男) 대만의 전 궈타이(國泰)신탁투자회사 회장이 소장하던 것으로, 자금난에 몰린 천 전 회장이 이 옥새를 담보로 저당잡히는 바람에 경매 매물로 나오게 됐다.

이 옥새는 궈타이 미술관을 건립, 골동품을 수집했던 천 전 회장이 1984년 3만3천 달러(4천만 원)에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몸값'이 26년 만에 무려 450배가량 오른 것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11월 영국 소더비 경매시장에서 건륭제가 사용하던 또 다른 옥새 '바쩡마오녠'이 경매에 부쳐졌으나 낙찰가는 356만 파운드(69억 원)에 불과했다.

청나라 제6대인 건륭제는 1735년부터 1995년까지 재위했으며, 조부 강희제와 함께 청나라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가장 융성했던 `강희.건륭시대'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pjk@yna.co.kr
http;//http://blog.yonhapnews.co.kr/haohaor/

-연합뉴스 2010.06.28

中 현대미술 거장 우관중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세기 중국미술을 대표하는 화가 우관중(吳冠中)이 지난 25일 지병인 간암으로 별세했다고 신화통신등 중국 언론들이 27일 보도했다. 91세.

1919년 장쑤성 이싱현에서 태어난 우관중은 항저우 국립예술학교와 프랑스 파리 고등미술학교에서 공부한 뒤 칭화대, 베이징예술대 교수를 역임하며 창작과 교육활동을 병행했다.

평생을 중국 회화의 현대화에 바쳐온 그는 중국화를 서양 추상화에 접목시킨 독특한 장르로, 조국·고향·가정이라는 모티브를 세련된 중국화에 담아내 중국인들의 사랑을 받았다.

대표작으로는 ‘강삼협’ ‘루쉰의 고향’ ‘춘설’ 등이 있다. 1987년 홍콩 미술전에서 ‘자오허고성’이 4070만위안(약 73억원)에 팔려 중국 회화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문화일보,2010.6.28

한국미술평론가협회, 미술평단 2010 여름호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미술평론가협회는 6월 19일 미술평단 2010 여름 제97호를 발간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은 표지작가 차우희에 관한 김율희_차우희, 비움의 미학, 서성록_차우희의 내면탐사기행과 특집으로 2천년대 한국현대미술의 새 경향과 신예작가들이란 주제로 김병수, 고충환, 윤진섭, 장준석씨의 글이 실려있다. P.144, 1만원

中 현대미술의 최고 거장 우 관중 화백 노환으로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국 현대미술의 최고 거장으로 꼽혀 온 우관중(吳冠中·사진) 화백이 25일 밤 베이징(北京)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고 중국 언론이 보도했다. 향년 91세.

중국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유명한 우 화백은 중국 현대미술의 1세대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중국 장쑤(江蘇) 성 출신으로 1947∼1950년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미술학교에서 유학한 뒤 대학교수 겸 화가로 활동하며 중국 전통화법에 서양미술의 추상화 기법을 조합해 중국 현대미술을 개척했다.

-동아일보 2010.6.28

[보고 듣고 즐기세요] 미술·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불량 강아지, 세상을 조롱하다 7월14일까지 서울 청담동 표갤러리 사우스. 아기와 개를 소재로 익살스러운 조각 작품을 만들어내는 이승구의 국내 첫 개인전. (02)543-7337.

●신(新)소장품전 9월11일까지 서울 창성동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기증받은 미술 관련 자료 가운데 도록, 팸플릿, 북한 잡지 등 연구 가치가 높고 희귀한 자료 200여점을 선보인다. (02)730-6216.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박중현의 빅 히어로즈 7월6~16일 서울 이태원동 갤러리 두루. 신진작가로 선정한 박중현의 개인전으로 배용준, 강호동, 노홍철 등 대중스타를 다양한 매체로 새롭게 해석했다. (02)3444-9700.

-서울신문 2010.6.2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