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국립전주박물관, 석전기념실 재개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악필의 대가' 석전 황욱 선생 작품들 전시작성

국립전주박물관(관장 김영원)이 22일 석전기념실을 재개관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황욱 선생의 초기부터 94세까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손바닥으로 붓을 잡고 쓰는 악필의 대가였던 석전 황욱 선생(1898~1993)의 깊고 완숙한 경지의 예술혼을 만나볼 수 있다. 고창 출신인 황욱 선생은 이재 황윤석 선생의 7대손으로 환갑 이후 수전증이 찾아오자 왼손 악필로 전환해 노년의 마지막 꽃을 피워냈다. 쌍구법의 해서·행서·초서 등을 즐긴 석전 선생은 자기극복과 정진으로 삶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켜 진정한 예술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받는다.

94세에 쓰신 '운학유천(雲鶴遊天)'은 가로가 306cm에 달하는 대작. 좌수악필(左手握筆)로 힘차고 굳센 악필이 구름과 학이 움직이는듯 하다. 그의 아들 황병근씨가 수집한 고창 출생 김정회의 '묵죽도'와 김제 출생 유영완의 '묵죽도' 등과 함께 145점이 함께 전시됐다.

석전기념실은 황씨가 1999년 국립전주박물관에 고서, 회화, 간찰 등 5000여점 유물을 기증한 것을 기리기 위해 2002년 개관됐으며, 매년 더 많은 관람객과 만나기 위해 교체 전시를 열고 있다.

-전북일보 2010.6.23

북수원도서관, 디지털미술관 설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도 수원시 북수원도서관은 도서관 2층 문헌자료실에 디지털미술관을 설치했다고 22일 밝혔다.

디지털미술관은 자료실 벽면에 46인치 벽걸이 TV를 설치하고 3D 가상현실을 구축, 관람객이 TV스크린을 터치하면 미술관을 실제 돌아다니며 작품을 감상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에 따라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 밀레의 '만종', 고흐의 '해바라기' 등 외국 유명 작가 24명의 작품 50점과 수원지역 향토 미술작가 8명의 작품 40점 등 90점을 생생한 화면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도서관은 작품을 감상하면서 작가의 작품세계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작품과 작가에 대한 소개도 음성화해 안내받을 수 있도록 했다.

북수원도서관은 미술특화 전문도서관으로 6천여권의 도서, 400여 점의 비도서, 정기간행물, 학회지 등 미술관련 자료를 소장하고 있고 상설 전시회를 개최하고 미술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kcg33169@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kcg33169

-연합뉴스 2010.06.22

신간 소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근현대미술사학 = 최열 지음. 미술사학자 겸 미술평론가인 저자가 30여년간 써온 미술사 관련 글들을 한데 모아 묶었다.

미술사를 인식하는 시각과 관점을 논한 '미술과 사학', 근현대 미술사를 연대기순으로 다룬 '미술과 역사' 등 2부로 나눠 한국 근현대미술사를 종합적으로 살핀다.

항일ㆍ진보ㆍ친일계열 미술사의 계보와 인물사(人物史), 화랑ㆍ미술 관련 관료ㆍ미술관ㆍ미술시장ㆍ 미술출판 등 미술제도사(美術制度史), 지역 미술사, 미술사 연구자의 역사 등 기존 미술사학 관련 책에서 잘 다루지 않는 분야까지 꼼꼼히 다뤘다.

청년사. 928쪽. 5만원.

▲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 박이문ㆍ임태승ㆍ이광래ㆍ조광제 지음. 아르코미술관이 진행했던 '미술관에서 만나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책.

철학자 박이문과 임태승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HK교수, 이광래 강원대 철학과 교수, 조광제 철학아카데미 상임위원 등 인문학자들이 예술철학과 후기구조주의, 동양미학과 매체미학 등을 주제로 16주간 강연했던 내용이 실려 있다.

미술문화. 270쪽. 1만4천원.

▲예술가의 탄생 = 유경희 지음. '뮤즈'(Muse.예술의 여신)를 열쇳말로 삼아 예술가들에게 창조적 영감의 근원이 무엇인지를 이야기한다.

존 레논에게는 아내 오노 요코가 뮤즈였으며 구스타프 클림트에게는 동생의 처제였던 에밀리 플뢰게라는 여인이 영감의 원천이었다.

이밖에 툴루즈 로트렉과 프리다 칼로, 잭슨 폴록, 폴 고갱, 앤디 워홀, 마르셀 뒤샹, 폴 세잔 등 여러 예술가들의 뮤즈가 소개된다.

2003년 출간됐지만 절판됐던 '예술가와 뮤즈'의 개정판이다.

아트북스. 320쪽. 1만6천원.

zitrone@yna.co.kr

-연합뉴스 2010.06.22

부산근대역사관 '청운 윤상은의 일생' 특별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부산근대역사관은 7월3일부터 8월29일까지 '부산의 근대 자본가, 청운 윤상은의 일생'을 주제로 한 특별 기획전을 연다고 22일 밝혔다.

윤상은은 일제 강점기에 국내 최초 지방은행인 구포은행을 설립하고,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에 특별융자 형식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으며 구포구명학교(현 구포초등학교)를 설립해 후학 양성에 이바지하는 등 부산의 대표적인 근대 인물이다.

또 광복 후에는 초대 재무부 전매국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부산근대역사관 개관 7주년을 기념해 개최하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윤상은의 성장 과정과 활약상 등을 5개 부문으로 나눠 선보이고, 윤상은의 자서전과 초대 전매국장을 맡을 당시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임명장 등 200여점이 전시된다.

youngkyu@yna.co.kr

-연합뉴스 2010.06.22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새 소장품 공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2008년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기증받은 자료 중 연구 가치가 높고 희귀한 자료 200여 점을 선보이는 '신(新)소장품전'을 열고 있다.

1917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발간된 프란시스 고야의 판화집과 1930년 일본에서 고등여학교용으로 발간된 '일본도화'(日本圖畵), 1939년 일본 육군미술협회가 전쟁 관련 그림들을 모아 발간했던 '성전미술'. 1957년 대만에서 발간된 일종의 인물화 교본인 '고금인물화보'(古今人物畵譜) 등이 전시된다.

아울러 최근 박물관이 구입, 소장한 근대미술 자료들도 공개한다.

지금의 덕수궁미술관인 이왕가미술관 소장의 일본미술품을 소개했던 '이왕가미술관진열일본미술품도록'(1920년대 발간), 북한의 미술잡지인 '조선미술' 창간호(1958년 발간)와 '조선예술'(1973~1996년 발간분), 지금은 구하기 어려운 북한 소재 유적ㆍ유물의 도판들이 수록된 '조선유적유물도감' 1~20집 등이다.

전시는 9월11일까지. ☎02-730-6216.

-연합뉴스 2010.06.2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