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8

‘부보상(보부상), 다시 길을 나서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신광섭)은 충남민속문화의 해 기념 특별전인 ‘부보상(보부상), 다시 길을 나서다’와 관련한 일반인 현장 답사 프로그램을 24일 진행한다. 특별전 관람으로 시작해 충남 예산의 현존 부보상 단체인 예덕상무사의 부보상 놀이 참관, 덕산장터 관람과 시골장터 음식체험, 홍도원 부보상 묘역 관람 등으로 이어진다. 접수는 22일까지 박물관 홈페이지(www.nfm.go.kr)에서 받는다. 참가비 2만원. 02-3704-3105.

인도네시아 전통 섬유예술-바틱’전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인도네시아 전통 섬유예술-바틱’전이 21일까지 서울 순화동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밀랍 방염법으로 만든 직물 120여 점을 선보이고 제작 과정도 소개한다. 02-2151-6520.

[화제의 전시] 박철 전, 화폭에 흐르는 감미로운 선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박철 전

한지에 악기를 구현하는 작가 박철의 작품을 보고있노라면 화음(畵音)의 선율에 감미로움이 느껴진다. 맷방석 와당 등 전통 문양과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등 동서양의 악기를 조화롭게 구성하는 그의 부조회화가 독특한 미감을 선사한다.

그가 한지 부조회화에 매달린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 “당시 안동댐 건설로 인해 수몰될 위기에 처한 시골마을을 자주 찾아가곤 했는데, 주민들이 버리고 간 멍석 기와 문짝 등을 보고 ‘바로 이것이다’ 싶었죠. 곰삭은 한지의 이미지와 악기의 선율이 어우러진 그림 모티브가 됐어요.”

서정적인 감성을 표출하는 그의 개인전이 15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청담동 갤러리서림에서 열린다.



치자 도토리 낙엽 등 천연염료로 채색한 작품에서는 은은한 내음이 전해지고, 나뭇잎을 소재로 한 최신작에서는 자연의 생명력이 풋풋하다. 작가는 최근 미국 뉴욕 김포스터갤러리의 러브콜을 받는 등 세계미술무대 진출을 앞두고 있다(02-515-3377).

100만원전 ‘착한그림’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00만원전 ‘착한그림’展
일시 3월 29일까지 | 장소경향갤러리 | 관람료 무료

경향갤러리에서 2010년 특별기획 판매전을 준비했다. 이번 전시는 국내 최정상 화가들의 작품을 100만원에 판매하는 자리로, 경향신문이 기획하고 국내 미술계 거장이 흔쾌히 뜻을 모아 마련했다. 이번 전시회는 미술애호가들에게 국내 작가들의 좋은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판매수익금의 일부는 경향신문이 펼치고 있는 천사운동에 기부한다. 갤러리 1~2층 전관에서 진행되며, 수준 높은 작품 300여 점이 전시된다. 02-6731-6750

-2010.03.23 위클리경향

앙코르와트 밖의 세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앙코르와트 밖의 세계
임종진의 사진전 ‘캄보디아-흙, 물, 바람’

“봉쁘로 찐! 썩써바이?”(진 삼촌, 안녕.)

15개월 동안 캄보디아에 눌러앉아 때론 장애인 학교 학생들의 친구로, 때론 마을 사람들의 친구로 정겨운 인사말을 주고받으며 살다 온 사진작가 임종진이 세 번째 사진전 ‘캄보디아-흙, 물, 바람’을 연다.

4월2~15일 서울 종로 금호아트갤러리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삶의 의지를 잃지 않는 사람들과 이들의 소소하지만 아름다운 삶의 터전을 찍은 사진을 공개한다. 그간 앙코르와트의 나라 캄보디아를 포착한 사진은 많았지만 사람 사는 동네로 깊숙이 들어가 그들과 함께하며 온몸과 마음으로 담아낸 사진이 드물었다는 점에서 이번 전시회는 따뜻한 세상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임종진 작가는 월간 <말>과 <한겨레>에서 사진기자로 일했고, 오랫동안 한겨레문화센터·홍익대 상상마당 등에서 사진 강좌를 진행해왔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귀국해 현재는 서울 혜화동의 개인작업실 ‘달팽이사진골목’을 열고 캄보디아로 돌아갈 날을 그리워하고 있다. 문의 02-6303-1919.

- 2010. 04.02 한겨례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