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9

제23회 예총예술문화상 수상자 명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부 문- 현 직, 이 름

◎ 대상-예술부문(한국예총 10개 회원협회)

건 축- (주)원도시건축 대표이사 변 용(卞 鎔)
국 악- 국립국악원 원로사범 정화영(鄭和泳)
무 용- 국립발레단 예술감독 최태지(崔泰枝)
문 학-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김남환(金南煥)
미 술- 호남대학교 교수 윤진섭(尹晉燮)
사 진- 한국사진작가협회 자문위원 김호선(金晧瑄)
연 극- 희곡작가 노경식(盧炅植)
연 예-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이사 방일수(方淸平)
영 화- 조명감독협회 아카데미 원장 박창호(朴昌浩)
음 악- 부산음악콩쿠르 운영위원장 제갈삼(諸葛森)


◎ 대상 지역부문(한국예총 16개 연합회)

경기(문인)- 한국예총 수원지회 지회장 김훈동(金勳東)
강원(음악)- 봉의고등학교 교장 서종호(徐種鎬)
충북(연극)- 씨어터 제이 대표 장남수(張南秀)
충남(음악)- 한국예총 충청남도연합회 회장 안수영(安壽永)
전북(문인)- 한국예총 군산지회 사무국장 오 현(吳 賢)
전남(미술)- 사단법인 예목회 회장 김영자(金永子)
경북(사진)- 한국예총 김천지회 지회장 박광제(朴光濟)
제주(무용)- 한국예총 서귀포지회 지회장 이연심(李姸心)
대구(연극)- 한국연극협회 대구광역시 지회장 김태석(金泰奭)
광주(문인)- 광주교육대 국어교육과 강사 조수웅(曺秀雄)


◎공로상-예술부문(한국예총 10개 회원협회)

건 축- 칸(問)건축 대표이사 곽재환(郭在煥)
국 악- 한국국악협회 경기도 지회장 송영철(宋榮喆)
무 용- 한양대학교 교수 손관중(孫官中)
문 학-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정대연(鄭大衍)
미 술- 해외 전업작가 주정애(JeongaeJu)
사 진- 한국사진작가협회 이사 이경래(李坰來)
연 극- 한국연극협회 경북지회 감사 심정규(沈鉦奎)
연 예-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이사 김덕성(金德城)
영 화- 영화음악 작곡가 방기남(方基男)
음 악- 한국음악협회 부이사장 오현규(吳賢奎)


◎공로상-지역부문(한국예총 114개 지회)

평택(문인)- 월간 한국시 운영이사 정성채(鄭晟采)
김포(문인)- 김포시 산림조합장 이준안(李俊安)
부천(사진)- 한국예총 부천지회 지회장 김정환(金正煥)
양평(음악)- 한국음악협회 양평 지부장 김영준(金永駿)
의정부(사진)- 한국사진작가협회 의정부 지부장 김덕기(金德基)
시흥(문인)- 구연동화 강사 안봉옥(安峯玉)
안산(영화)- 한국영화인협회 안산 지부장 이기원(李起元)
성남(국악)- 한국국악협회 성남 지부장 부명희(夫明姬)
화성(음악)- 백석대학 교수 윤왕로(尹旺老)
음성(연예)-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음성 지부장 남기천(南基天)
예산(음악)- 한국음악협회 충청남도 지회장 한상복(韓相福)
전주(문인)- 전주시 의회 의원 김상휘(金相暉)
목포(연극)- 한국연극협회 목포 지부장 강대흠(姜大欽)
광양(미술)- 예원예술대학교 교수 방우송(方雨宋)
경산(문인)- 한국예총 경산지회 지회장 김약수(金若秀)
사천(무용)- 한국무용협회 사천 지부장 문정아(文晶阿)
진해(미술)- 한국예총 진해지지회 고문 박을호(朴乙虎)


◎특별공로상

하동군수- 조유행
KTB자산운용(주) 대표이사- 장인환
한국실용무용연합회 회장- 안유진
한국예총 성남지회 지회장- 이영식
서울종합예술학교 음악학부 성악과장, 전임교수 고미현


-한국예술문화재단총연합회

[손에 잡히는 책] 근현대기 주거문화 변천사 일목요연 정리… ‘한국 주거의 미시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람이 공간을 만들지만 공간이 삶을 지배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에 주택은 집이자 일터였지만 개항 이후 도시가 형성되면서 주택은 일과 분리된 쉼의 공간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전남일 가톨릭대 교수 등 저자들은 ‘한국 근현대 주거의 역사’ 시리즈 두 번째인 이 책에서 한국 근현대기 주거공간을 일상생활의 변화를 중심으로 세밀하게 파헤친다. 한국 사회가 근대화·산업화되면서 가족 구조가 점차 핵가족 형태로 분화되자 그에 적합한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널리 보급된다. 또 가정에서 여성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부엌은 여성에게 편리한 공간으로 바뀌어 간다. 책에는 사진과 삽화, 평면도 등이 풍부하게 실려 있어 주거문화의 변천사를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돌베개·2만원).

- 국민 2009.12.11

[문화 단신] 서양화가 전호성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양화가 전호성씨가 15일까지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11번째 개인전을 열고 있다. 자연에서 길어 올린 빛과 생명을 주제로 한 작품 23점을 내놨다. 02-736-1020.

-중앙일보 2009.12.11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에 도예가 권순형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대한민국예술원은 10일 총회를 열고 도예가 권순형(80ㆍ왼쪽 사진)씨를 제34대 회장으로, 국악인 황병기(73ㆍ오른쪽)씨를 부회장으로 각각 선임했다.

- 한국일보 2009.12.11

전북민예총, '아시아 그리고 쌀' 전시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민예총 전북지회가 마련한 '2009 아시아 그리고 쌀'전이 12일 오후 5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18일까지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시장개방으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쌀의 의미를 국내외 작가들이 모여 미술로 재해석해 보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주최 측은 "쌀은 역사를 담고 있다. 쌀은 인류의 시작이며 끝이다. 쌀은 인류에게 삶이며, 죽음이며, 평화다. 쌀을 통해 인류의 문화를 볼 수 있으며, 쌀을 통해 인류의 예술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아시아 그리고 쌀’전시의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행위예술, 영상, 설치, 평면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 이 전시회에는 국내 34명, 일본 4명 등 모두 38명의 작가가 참여하고 있으며 작가마다 1점씩의 작품을 내놨다.

-2009.12.10 연합뉴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