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0

굿사진가 故김수남 日서 첫 개인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평생 굿 사진을 찍은 사진가 고(故) 김수남의 작품전이 일본에서 열린다.
지난 2006년 2월 태국의 소수민족 신년행사를 취재하다 뇌출혈로 별세한 그의 사진전 '영혼을 불러, 영혼과 속삭이다'가 오는 16일부터 30일까지 도쿄 요쓰야의 한국문화원 갤러리에서 개최된다.
김수남기념사업회와 김수남사진전실행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번 사진전에는 고인이 생전에 찍은 아시아 각국의 굿과 한국의 전통 굿 등 생생한 현장을 담은 작품이 전시된다.
첫날 16일에는 한국문화원 내 한마당홀에서 제주도 신방을 초대한 전통 굿 공연도 열린다.

-연합뉴스 2009.10.7

14~25일 마니프 서울국제아트페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월급쟁이 등 소시민들도 미술품을 살 수 있도록 기획한 마니프(MANIF·로고)서울국제아트페어가 14~25일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다.

1995년 시작해 15회째를 맞는 행사로 올해는 국내·외 작가 165명의 작품 2500여점이 정찰제로 판매된다. 과장 명함을 가진 개인이나 동반 가족 등을 무료로 입장시키는 ‘김과장, 전시장 가는 날’ 행사와 참여작가들이 출품한 100만원 소품전도 열린다.

지난해 마니프 참여 작가 중에서 관객들의 투표와 미술 전문가의 자문으로 선정한 유희영(대상)과 김만근(우수작가상) 등 마니프서울국제아트페어 수상작가들의 작품도 전시된다. 매일 관람객 2명을 추첨해 10호 크기의 판화를 선물하는 행사도 진행된다.

마니프 조직위 사무국측은 “이번 전시는 위축되고 있는 한국화와 조각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이 부문의 젊은 작가를 모셨다.”고 설명했다.

마니프측은 “현재 블루칩 작가로 불리는 안성하, 도성욱, 박성민, 윤병락, 이길우, 이정훈 등 젊은 스타작가들이 탄생했다.”고 밝혔다. 입장료 일반 5000원. (02)514-9292.

-서울신문 2009.10.8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특별채용시험 서류전형 합격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제한경쟁특별채용시험 서류전형 합격자 및 면접시험 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09년 10월 7일
국립현대미술관장



1. 서류전형 합격자 명단
【 학예연구실장(일반계약직4호) : 6명 】
02 주연X, 03 이지X, 04 김성X, 05 이성X, 06 안소X, 07 강승X

2. 면접시험 시행일시 및 장소
2009. 10. 8(목) 14:00~ 덕수궁미술관
※면접당일 사정에 따라 면접시간·장소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국 공연전통예술과장 신은향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 <과장급 보직 부여>▦문화예술국 공연전통예술과장 신은향 <과장급 전보>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산업정책과장 김철민 ▦문화예술국 예술정책과장 유병채 ▦국립중앙박물관 관리과장 안상근 ▦국무총리실 서기관 용호성


- 2009. 10. 07. 서울경제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장 이인세 보유자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장' 이인세(李仁世, 향년 81세) 보유자가 2009.10.6(화), 16:03 노환으로 별세했다.

고인은 전통공예인 소반 제작 기능의 전승을 위하여 평생을 헌신해 오셨다.

생년월일: 1928. 4. 3

빈 소: 서울 노원구 을지병원 장례식장 1호(02-970-8444)
발 인: 2009. 10. 8(목), 10:00(을지병원 장례식장)
장 지: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선영

주요경력
- 1992.11.10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장 보유자 인정

전승자 현황: 전수교육조교(1명)
연 락 처: 전수교육조교 이종덕(010-4510-2990)

※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장(1992.11.10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소반이란 음식을 담는 그릇을 받치는 작은 상을 말하며, 소반장은 소반을 만드는 기능이다. 소반의 종류는 지역·형태·용도에 따라 다양하며, 크게 해주반, 나주반, 통영반, 충주반, 강원반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다리 형태에 따라 경상도는 죽절형(竹節形), 전라도는 호족형(虎足形), 강원도·경기도는 구족형(狗足形)으로 특징 지워진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