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0

‘근대 100년, 한국인의 삶’5개 박물관 연합 특별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쇳대박물관·떡박물관·북촌생활사박물관·옹기민속박물관·춘원당한방박물관 등 서울 종로에 소재한 5개 사립박물관이 참여하는 연합 특별전 ‘근대 100년, 한국인의 삶’이 다음달 14일까지 열린다. 떡살·옹기·한약재·대패 등 한국인의 다양한 삶의 흔적을 보여주는 전시물들이 나온다. 전시는 24일까지 서울 대학로 아르코미술관 2층에서 열리고 25일부터는 각 박물관에서 진행된다.

- 중앙일보 2009.9.23

부천산업진흥재단 '로보아트전' 29일 개막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도 부천산업진흥재단은 오는 29일부터 10월18일까지 로봇 상설전시장인 '로보파크'에서 예술 작가들이 로봇 모양으로 만든 작품을 보여주는 '로보아트전'을 연다고 27일 밝혔다.
행사에는 폐품이나 쓰레기 등으로 작품을 만드는 에코 작가인 채수만, 주복동, 석준기 등의 작품 20여점을 선보인다.
50㎝∼2m의 크기의 이들 작품에는 깡통으로 로봇을 형상화해 만든 피노키오, 농기계 부품으로 만든 로봇 조각, 플라스틱 조각으로 조립한 로봇 모형 작품 등이 있다.
또 행사 기간 매일 7차례 25대의 인간형(휴모노이드) 로봇으로 한국의 국민체조, 중국의 황비홍 군무, 인도 전통춤 등을 연출한다.
재단은 행사가 끝난 뒤 관람객들의 작품 감상 소감을 받아 20명에게 채수만 작가의 '캔 로봇'을 줄 예정이다.
입장료는 어른 5천원, 청소년 4천원, 어린이 3천원이다.
자세한 내용은 로보파크 홈페이지(www.robopark.org)를 참고하거나 전화(070-7094-5474)로 문의하면 된다.

-연합뉴스 2009.9.27

[전시회 산책] ‘잔혹한 문명의 슬픔’ 시리즈 소개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화의 계보를 새롭게 이어가고 있는 작가 허진(47)씨의 최근작에는 동물과 인간의 형상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그의 관심은 문명의 타락이다. 인간 이성의 우월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친환경적인 생태론에 관심을 보이며 현대 문명이 어디로 흘러갈 것인지를 묻고 있다. 서울 관훈동 갤러리 스페이스 이노의 개관 기념 기획초대전으로 그의 최근작이 선보인다. ‘잔혹한 문명의 슬픔’이란 제목 아래 그의 ‘유목동물+인간(사진)’ 시리즈가 소개된다. 16일 시작한 전시는 29일까지 계속된다. 02-730-6763.

◆사진가 김동욱(47)씨가 조선 후기 대표화가 겸재 정선(1676~1759)의 구도를 카메라에 담았다. 겸재의 화폭에 그려진 서울과 김씨 앵글에 포착된 서울 사이에는 300년 시간적 거리가 존재한다. 시간적 거리를 뛰어넘는 것은 작가의 문제의식이다. 그의 카메라에는 ‘백악과 인왕 사이’ ‘현대아파트’ ‘아차산과 쉐라톤 워커힐 호텔’ 등이 새롭게 잡혔다. 그의 사진전 ‘강산무진(江山無盡)’이 서울 인사동 노암갤러리에서 18일 개막해 27일까지 계속된다. 02-720-2235.

- 2009. 09. 23. 중앙일보

꽃과 여인이 만나면 행복의 극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연희씨 27일부터 개인전


한국화가 김연희씨의 개인전이 오는 27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서울 영등포동 경방타임스퀘어 단지 1층 나무그늘갤러리에서 열린다. 김씨는 주로 여성 이미지와 다양한 꽃,나무를 소재로 전통 한지에 금분과 분채를 활용한 한국적인 조형세계를 구축해온 작가. 초기에는 선과 불교 철학 사상을 화면에 되살려냈지만 최근 들어서는 한국 여인의 참모습과 자연의 순환을 찰지게 풀어내고 있다. '행복한 여인'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에는 화려한 꽃으로 한국 여인의 참모습을 담아낸 근작 20여점이 걸린다.

작가의 작품은 꽃이나 여인의 이미지를 다소 몽환적으로 묘사하지만 실제 회화의 주제를 성스러움에서 일상적인 언어 '행복'으로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생명의 유한성 속 절정의 순간에 피워낸 꽃과 성숙한 여인의 결합은 삶과 죽음이 만나는 에로티시즘을 상징한 듯하다.

김연희씨는 "이번 전시에는 종교적 성스러움의 극치인 관음보살을 어머니,그리고 자신의 모습과 같은 일상적인 대상물로 변환시킨 작품을 내걸 것"이라며 "꽃은 제 조형어법에 의해 탄생된 꽃이며 기억 속에 부유하는 표현적인 꽃이라 정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02)2638-2002


- 2009. 09. 25. 한국경제

[부음] 섬유미술가 백태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 이화여대 미술대학 백태호 교수 9월 22일 타계

이은신 주부 남편상, 형선 연세대 치과대학병원장·영순 주부·영은 단국대 음악대 교수 부친상, 민응기 동국대 일산병원 진료부장 장인상
=22일19시10분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발인 25일7시, (02)2019-4004

- 조선일보 2009.9.2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