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3

[전시] `읽는 사진, 느끼는 사진`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읽는 사진,느끼는 사진'전(5월24일까지,서울 사당동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 분관)=국내 사진작가 25명의 작품 103점을 통해 다양한 사진 예술의 흐름을 보여주는 기획전.참여 작가는 김아타 이형구 김옥선 정연두 정은정 함진 이은종 강홍구 이수연 김종욱 김준 한정식 민병헌 배병우 정동석씨 등.(02)598-6247

▷'사물의 대화법'전(29일까지,서울 강남구 신사동 갤러리현대)=새 봄을 맞아 꽃,과일,생활 집기 등 다양한 정물 작품을 모아 보여주는 전시회.사진작가 구본창씨를 비롯해 김기라 김시연 박선기 배준성 유현미 정광호 홍경택씨 등 30~40대 젊은 작가 22명의 회화 · 사진 · 영상 설치작품 등 50여점 출품.(02)519-0800

▷'대한제국 황실 사진전'(7일~6월6일,서울 방이동 한미사진미술관)=2006년 근대사진들을 공개해 주목받았던 '우리 사진의 역사를 열다'전의 연장선상에서 마련된 사진전.순종의 친경식 장면을 찍은 사진을 비롯해 고종과 순종의 어진,의친왕의 차남 이우 공(公)의 초상사진,순종과 왕비가 함께 찍은 사진 등 총 100여점 전시.입장료는 5000원.(02)418-1315

▷'국토 세 가지 풍경'전(4월26일까지,서울 소격동 학고재화랑)=누런 양곡포대 위에 주름진 농민의 얼굴을 사실적으로 그려온 서양화가 이종구씨의 개인전.이번 전시에는 양곡포대 캔버스 대신에 한지를 사용해 소를 그린 '검은 대지' 시리즈를 비롯해 촌스러운 '몸빼 바지'나 플라스틱 대야를 그린 '살림' 시리즈등 근작 30여점이 걸렸다. (02)720-1524

▷'맥-한국현대회화 8인'전(7일~4월19일,경기도 파주 출판단지 내 갤러리박영)=한국 현대미술의 기틀을 다지는 데 앞장서온 하종현씨를 비롯해 김구림 이강소 곽훈 서승원 정보원 안정숙 김태호씨 등 60~70대 원로 추상화가 8명의 신작들로 꾸민 그룹전.화려한 색감으로 특유의 조형감각을 살린 작품 20여점 전시.(031)955-4071

▷'내일'전(7일~4월26일,서울 소격동 아트선재센터)=사회문제를 소재로 작품 활동을 벌여 온 작가 배영환씨(40)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전시. 관람료(학생 1500원,어른 3000원)는 컨테이너도서관 제작 및 도서 구입비로 쓰인다. (02)733-8945

- 한국경제 2009.3.7

클림트 싫다가 좋아진 까닭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구스타프 클림트, 정적의 조화〉

최근 열리고 있는 전시로 더욱 주목받고 있는 구스타프 클림트는 흔히 ‘숭고한 에로티시즘’, ‘열정적이고 몽환적인 황금빛 에로티시즘’을 그린 화가로 이해된다. 그와 비슷한 시대를 살았던 빈센트 반 고흐를 ‘노동자 화가’로 소개한 <내 친구 빈센트>를 쓴 바 있는 박홍규 교수(영남대·법학)가 클림트를 ‘다시’ 읽었다. <구스타프 클림트, 정적의 조화>는 고백으로 시작한다. “처음에는 에로 화가로 소개된 책을 보고 단순히 화려할 뿐인 에로틱한 화가로만 생각해 싫어했다.” 그가 클림트를 다시 본 계기는 마흔이 넘어 오스트리아에서 만난 <키스> 때문이었다. <키스>는 ‘성스러운 느낌의 성화’에 가까웠다. 다시 들춰본 클림트의 다른 그림들 속에서 지은이는 세기말 빈의 교조적인 전통, 양극화와 빈부갈등, 아무리 저항해도 벗어날 수 없는 강고한 체제의 벽에 절망을 느끼고 내적인 망명을 떠난 고독한 아웃사이더의 고뇌를 읽어냈다. 클림트 또한 ‘노동자 화가’였다. 최하층 금세공 노동자 가정 출신으로 귀족과 부르주아 중심의 건설 붐, 장식 붐 시대를 타고 화려한 그림들로 돈을 벌었으나, 서른이 되기 전 이를 그만두고 전통에서 떨어져나와 ‘분리파전’이라는 새로운 전시회를 열고 노동자를 위한 무료관람제를 실시하기도 했다. 지은이는 클림트가 비록 노동자를 그리거나 노동화로 세상을 바꾸려 하지 않았지만 그 자신이 평생 조용하고 강인한 노동자로 살았고, 세속의 권력이나 재산에서 초탈해 오로지 ‘정적의 조화’를 삶과 예술에서 추구했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위대하다고 말한다. /가산북스·1만5000원.

- 한겨레신문 2009.3.7

[부고] 안성유기 무형문화재 김근수 씨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 유기장(주물) 김근수 명예보유자(사진)가 6일 별세했다. 향년 93세. 일제강점기 주식회사 안성유기제조에서 유기 일을 시작한 뒤 1983년 유기장 보유자로 인정됐으며 2005년 명예보유자로 인정됐다.
유족으로 아들 수영 씨(유기장 보유자)와 딸 기묘 씨(주부)가 있다. 빈소는 경기 안성시 성요셉병원 장례식장, 발인 9일 오전 10시 011-9041-6262

- 동아일보 2009.3.7

[새로 나온 책] 통의동에서 책을 짓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통의동에서 책을 짓다(홍지웅 지음·열린책들)=열린책들 대표인 저자가 출판, 건축, 예술에 대한 생각과 책 마케팅에 얽힌 일화, 가정사 등을 꼼꼼히 기록한 2004년 일기를 책으로 묶어냈다. 1만9500원

- 동아일보 2009.3.7

세종문화회관 후원회장 이팔성 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재단법인 세종문화회관(사장 이청승) 후원회장에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65)이 취임했다.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이사를 역임한 이 회장은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이해가 높아 후원회장에 선임됐다.

-매일경제 2009.03.0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