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광주 문화가 소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광주 문화가 소식>
◇전시
▲'한 겨울에 花를 만나다'(2008년12월30일-2009년1월12일, 광주 신세계갤러리) = 신세계갤러리 신년 기획전으로 강동권, 박일구, 위진수, 유태준, 이일순, 한부철 등 젊은 작가들이 2009년 새해를 맞아 희망을 기원하는 의미로 '花'(꽃 또는 꽃 모양의 물건이나 초목)로 표현한 회화 및 사진 20여점을 선보인다. (☏ 062-360-1630
▲'초심(初心)'展(1-30일, 광주 시안갤러리) = 대불대와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등을 졸업한 33명의 예비작가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두려움과 설렘 속에 저마다 갈고 닦은 작품세계를 선보인다. (☏ 062-573-0177)
▲홍성민展-'생명의 숲'(19일-2월1일,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 중견작가 초대전으로 전통 수묵과 남종화에 바탕을 둔 회화와 설치작품 등 70여점이 선보인다. (☏ 062-369-3515)
▲광주시립미술관 소장작품전 '남도미술을 찾아서'(9일-5월31일, 광주시립미술관 본관3층) = 광주시립미술관이 소장 중인 의재 허백련과 아산 조방원, 오지호, 김환기 등 30여점이 소개된다. (☏ 062-510-0142)
▲옥장 장주원 '옥공예 작품전'(2월22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 중요무형문화재 제100호 옥장(玉匠) 장주원의 '옥공예 작품전'으로 신기(神技)에 가까운 옥공예 작품 70여점이 소개된다. (☏ 062-510-0142)
▲광주 상록미술관 개관기념전 '꼴라쥬'(2월1일까지, 광주상록미술관) = 옛 전남도지사 공관이 다목적미술관으로 새롭게 단장돼 개관 기념전이 열린다. 손봉채, 심영철, 이상필, 이이남, 오상조, 조덕현, 허회태 등 영상, 사진, 공예, 서예 작품이 선보인다.

▲하정웅 컬렉션 세계판화전(2월1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본관 3층 하정웅기증작품실) = 재일사업가이자 광주시립미술관명예관장인 하정웅씨의 컬렉션 가운데 걸작 판화작품이 선보인다. 피카소, 루오, 샤갈, 달리, 앤디 워홀, 쿠사마 야요이, 백남준, 이우환 등 세계 거장들의 판화와 일본 판화 등 60여점의 판화작품을 만날 수 있다. (☏ 062-510-0142)

- 연합뉴스 1. 4

[전시] 후안 미로-최후의 열정전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후안 미로-최후의 열정전'(2월22일까지,경기도 분당 성남아트센터)=스페인 출신의 초현실주의 화가 후안 미로(1893~1983년)의 에칭(동판화)작품 103점으로 꾸민 기획전.주요 전시 작품 중 '앨범' 시리즈는 특유의 문자상형,'아도니스''지옥' 시리즈는 환상성과 추상성이 특징.(031)783-8142

●'서울미술대전'(2월22일까지,서울시립미술관)=원로작가 권옥연씨를 비롯해 김종학 장리석 김흥수 변시지 심죽자 이석주 조덕현 주태석씨 등 국내 미술계를 이끄는 50대 이상 중견.원로들의 회화 작품전.한국 현대 구상회화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자리.(02)2124-8941

●'현대미술의 풍경,마음의 표정전'(31일까지,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롯데아트갤러리)=현대인들의 내면을 그림이나 사진으로 표현한 작품을 모은 새해 기획전.참여 작가는 김시연,김윤수,원성원,허윤희,서상익,이진주씨 등.명품관 에비뉴엘 1~5층에도 같은 주제에 맞춰 배병우 손진아 홍성철,네덜란드의 사진작가인 루드 반 엠펠,스페인 출신 작가인 마틴 부르굴로 등 13명의 사진,회화,조각 작품 30여점 전시.(02)726-4428

●'행복채집전'(12일까지,현대백화점 미아점 10층 갤러리H)=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에서 새해에 미술작품으로나마 기쁨과 즐거움을 선사하려고 기획한 전시.희망과 기쁨을 주는 동.서양화,판화,조각 등 20점 전시.(02)552-2233

●'그림과 시의 동행전'(23일까지,서울 견지동 본화랑)=한국 현대시 100주년을 기념하는 시화전.권옥연씨를 비롯해 김형근 박돈 이수동 전준엽 등 화가 22명의 그림 50여점과 한용운 김소월 정지용 김영랑 유치환 등 시인 24명의 시 50여편이 함께 걸렸다. (02)732-236

- 한국경제 2008.1.3

2009 주요 예정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2009년 주요 미술관 화랑 예정 전시 (서울아트가이드 1월호 70쪽 참조)

블럭버스터 전시는 ?
- 피사로와 인상파 화가들 1.6 - 3.25 고양 아람미술관
- 클림트의 황금빛 비밀 2.2 - 5.15 예술의 전당 미술관
- 행복을 그린 화가, 르누아르 5.28 - 9.20 서울시립미술관
- 페르난도 보테로 6월 - 9월 덕수궁미술관
- 앤디 워홀 인물전 12.12 - 2010. 4.4 서울시립미술관
- 에드바르 뭉크 12월 - 2010 덕수궁미술관

* 1월호 미술잡지 3종(12월31일 입수) 주요 내용
- 월간미술
세계 미술계의 최신 동향과 전망
러시아 현대미술
- 미술세계
2009년, 나는 소망한다!
중국근현대미술의 전개
- 퍼블릭아트
현대미술과 민화의 만남
그림이 말을 한다?

* 조선일보 미술담당 김수혜 기자 후임에 손정미기자
한국일보 문화사업단장 서순주 씨. 이사대우로 선임

변종필씨, 미술평론 당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에 변종필 씨
한국 근대 초상화의 표상 -‘석강(石江) 채용신(蔡龍臣)’이 그려낸 한국 초상화의 아이덴티티' 가 당선되었다.
--------------------------------------------------------------------------------

당선소식이 전해진 그날, 일흔세 번째 생신을 맞으신 어머니는 신춘문예가 무엇인지 모르시면서도 단지, 아들이 오랜만에 큰 웃음 짓는 모습에 생일날 큰 선물을 받았다고 기뻐하셨다. 그리고는 진짜 좋은 일이냐며 몇 번을 물으셨다.

신춘문예 당선은 미술평론가로서 활동하기 위한 하나의 통과의례로 삼았던 4년 전 나 자신과의 약속이었다. 그 약속을 지켰다는 한 가지만으로도 남다른 기쁨을 감출 수 없다. 그동안 올바른 미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비평가로서 안목을 키우는 것과 탄탄한 논리와 설득력 있는 글을 쓴다는 것이 나에게 얼마나 어렵고 고단한 일인가를 수없이 경험했다. 그 시간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

오늘의 기쁨은 내일의 희망이라고 했던가. 나에게 내일은 지금의 기쁨에 안주하지 않고, 정직하고, 올바른 가치관으로 묵묵히 정진하는 또 다른 첫날이 될 것이다. 이론적 소양이 미진함에도, 비평가로서의 가능성을 열어주신 심사위원 선생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그리고 항상 관심과 애정을 아끼지 않으신 교수님과 경희아트포럼 식구들, 그리고 친구들에게 때늦은 감사와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특히 윤 선배님와 성환에게는 고마울 따름이다. 이번 글을 쓰는 과정에서 채용신의 작품을 기꺼이 배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분들께도 감사인사를 드린다.

마지막으로 부족한 아들을 위해 밤낮으로 기도하시는 어머니와 사랑하는 지애, 가족들에게 감사함을 전하고 이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


1968년 광주 출생
경희대 미술교육과 및 동 대학원 석사
경희대 사학과 미술사 박사과정 수료






미술 전시 공간 광주 4곳 신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기사등록 : 2008-12-29 오후 8:01:42

올해 광주지역에 4곳의 갤러리가 문을 여는 등 전국에서 모두 140여곳의 미술 전시공간이 새로 생긴 것으로 조사됐다.

김달진미술연구소(소장 김달진)는 29일 “2008년 전시공간 변화 현황을 조사한 결과 새로 생긴 미술관, 화랑, 복합전시공간, 대안공간, 카페갤러리 등이 147곳이었다”고 밝혔다.

광주에서는 북구 매곡동 시안갤러리, 동구 충장로 충장갤러리 2관, 동구 궁동 SM갤러리, 서구 농성동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등 4곳이 문을 열었다.

타 지역은 서울 93곳, 부산 8곳, 인천 5곳 등이었다.

연구소가 전시공간 현황을 파악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올해 가장 많은 전시공간이 생겨났다.

1999년에는 1년간 신설된 공간이 25곳에 그쳤고, 2000년에는 32곳, 2001년 23곳, 2002년 26곳, 2003년 38곳, 2004년 49곳, 2005년 51곳, 2006년 63곳, 2007년에는 107곳이었다.

서울지역 구별로는 종로 40곳, 강남 34곳, 마포 6곳, 송파 5곳, 중구 4곳 등 순이었다.

반면 폐관한 전시공간은 C파인아트갤러리, 이화익갤러리 강남분점, 갤러리디자이너주, 세이갤러리, 스페이스판, 두산위브더제니스갤러리 등이다.

/오광록기자 kroh@kwangju.co.kr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