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오늘의 공공미술 토론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오늘의 공공미술 : 아트인시티를 말하다> 토론회 안내

일시: 1월 30일(수)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장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원예술매개공간

주제: "주민참여형 공공미술의 문제와 대안"

사회: 이명훈 (공공미술추진위원회 사무국 팀장)

발제: 박찬국(밀머리 미술학교 대표)
이선영(미술평론가)
윤 제(공공미술추진위원회 사무국차장)

지정토론: 박삼철(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추진단장)
윤태건(미술기획, 컨설팅)
조주연(시민문화네트워크 티팟 대표)

주관: 공공미술추진위원회

문의
공공미술추진위원회 사무국 _ 전화:02-723-2650 webmaster@artincity.org

토지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유물전시관 개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토지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가 최근 광주시 서구 치평동 신사옥 입주하면서 유물전시관을 개관했다.

이 유물전시관은 '생명의 땅, 역사의 땅 - 국토 개발과 문화유산의 보존'을 주제로 호남지역의 토지 이용과 삶의 모습을 다룬 고문서를 비롯한 토지박물관 소장 유물들을 모았다.

전시품 목록에는 호남읍지, 해동지, 고금도 가마구미 양안(토지문서 일종), 화순ㆍ장성 지역 명당도 등이 포함됐다.

호남읍지는 조선 정조 17년(1793) 전라도 지방 48개 군현의 상세 정보를 채색으로 담은 총 11권짜리 지도책. 이 중 광주 부분을 보면 8천366가구에 남자 1만6천240명, 여자 1만6천441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온다.

해동지는 조선 후기 팔도지도를 수록한 휴대용 지도책이다.
이 고문서들 외에도 고려시대 청동 9층탑, 조선시대 예조판서 정광한의 백자 묘지석과 묘지합, 광주전남 지역 발굴 조사품도 만날 수 있다.
전시기간은 올해 말까지이며 유물은 매년 교체 전시된다.

-연합뉴스 1.29

해외유출 불교문화현황 책 펴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단신] 해외유출 불교문화현황 책 펴내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 문화부(부장 수경 스님)는 일본으로 유출된 한국 불교문화재 현황을 담은 ‘해외유출불교문화재(일본)’를 최근 발간했다. 이 책에는 그동안 관계기관에서 조사한 자료들과 학자들이 조사한 학술보고서 등 관련자료들이 총망라돼 있다. 조사 결과, 일본소재 해외유출 불교문화재는 모두 1584건, 1만477점으로 집계됐다.

- 문화일보 1. 29 (화)

‘2008 보도사진 연감’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단신] ‘2008 보도사진 연감’ 발간

한국사진기자협회(회장 김낙중)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일어났던 뉴스현장에서 사진기자들이 취재보도한 사진들을 모은 ‘2008 보도사진 연감’을 최근 발간했다. 2권에 걸쳐 700여쪽에 이르는 사진화보집엔 17대 대선 과정과 2차 남북정상회담, 학력위조 파문 및 아프가니스탄 피랍사태, 태안 기름 유출사고 등이 담겨 있다.

- 문화일보 1. 29 (화)

‘한국세시풍속 전자사전’ 발간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단신] ‘한국세시풍속 전자사전’ 발간 등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신광섭)은 ‘한국세시풍속사전’ 5권을 DVD에 담은 ‘한국세시풍속전자사전’을 최근 발간했다. 박물관이 2002년부터 5년 동안 총 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편찬한 ‘한국세시풍속사전’엔 280명의 집필진이 3600여권의 참고문헌을 통해 조사한 세시풍속 자료가 담겨있다.
이번 전자사전은 기존에 나온 한국세시풍속사전 전체를 전자책 형태로 수록한 것은 물론, 사전에 담지 못했던 다양한 사진자료와 음원, 동영상 자료까지 수록해 세시풍속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검색 기능도 강화해 한국세시풍속사전의 총 2267개 표제어와 본문을 따로 검색할 수 있게 하고 ‘가나다’ 검색도 추가, 방대한 세시풍속 자료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지’ 등 3종의 세시기(歲時記)도 영인본과 번역문, 원문을 함께 수록했다.

- 문화일보 1. 29 (화)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