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한애규 ‘테라코타 조각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애규 ‘테라코타 조각전’,꽃을 든 우람한 여성 꿋꿋한 주체성 강조


“꽃은 삶에 대한 열정, 사랑, 열망의 상징이다. 꽃을 든다는 것은 세상과의 소통을 생각하는 것이고, 나는 누군가에게 이 거대한 열망의 꽃을 전하고 싶다.”

흙을 빚어 굽는 테라코타 조각가 한애규(54)씨가 ‘꽃을 든 사람’이라는 타이틀로 4일부터 20일까지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개인전을 연다. 작가는 그동안 보여준 당차고 우람한 체구의 여성들에게 꽃을 들게 했다. 꽃이란 남자가 여자에게 주는 것만이 아니라 여자들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 고양시 삼송리 작업실에서 직접 흙을 반죽하고 가마에 불을 지피는 과정을 거쳐 탄생시킨 ‘꽃을 든 사람’들은 퉁퉁한 몸집과 둥글둥글한 얼굴로 푸근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왠지 모를 고민에 빠져 있는 듯한 표정들이다. 그것은 작가가 줄곧 염두에 둔 작품 메시지와 연결돼 있다.

서울대 응용미술과를 나온 한씨는 1980년대 억압된 여성의 주체적인 자각 의지를 담아낸 작품들을 선보였으며, 90년대에는 여성이 느끼는 분노와 체념, 번민과 같은 복합적인 감정을 전하는 작품들을 만들었다. 2000년대에는 여성의 본능인 모성과 생명의 근원인 자연과 땅 사이의 연관성을 모색했다. 이번 작품은 꽃을 든 모습을 통해 꿋꿋한 여성들의 주체성을 강조하려는 의도를 담았다.

테라코타는 흙 속에 공기가 조금만 들어가도 망치기 쉽다. 가마불을 땔 때도 상당한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 “이젠 어느 정도 숙달이 돼 흙을 만지다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는 작가는 휴대전화도 없이 스스로 ‘집순이’라고 부를 만큼 도시에서 비껴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순수하면서도 토속적인 그의 심성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작품 50여점이 출품된다(02-736-1020).

- 국민일보 1. 2 (수)

[잠깐갤러리] 전통과학·예술 체험프로그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잠깐갤러리] 전통과학·예술 체험프로그램

○…삼성어린이박물관(서울 신천동)은 1월 한 달 동안 ‘전통 직업 속 과학과 예술’이란 주제로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측우기·해시계 만들기, 탈춤놀이, 병풍 만들기, 사물놀이 등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36개월 이상 어린이 6000원. (02)2143-3600

- 경향신문 1. 2 (수)

[잠깐갤러리]놀이체험 ‘방방 숨은그림 찾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잠깐갤러리]놀이체험 ‘방방 숨은그림 찾기’

○…국립현대미술관은 아이들에게 친근한 ‘방’이라는 개념을 이용, 방마다 돌아다니며 일상의 공간인 집과 기구들이 변용된 작품들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방방 숨은그림찾기’ 전을 열고 있다. 황혜선씨의 설치작품 ‘현실이라 부르는 꿈’ 등 회화, 설치미술, 미디어아트 부문에서 활동하는 작가 19명의 작품 22점이 전시된다. 2월10일까지. 입장료 성인 1000원, 아동 및 청소년 무료. (02)2188-6000

- 경향신문 1. 2 (수)


개성파3인 전시회…감춰진 것과 드러난 것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개성파3인 전시회…감춰진 것과 드러난 것


개성파 작가 3명이 감추어진 것과 드러난 것 사이를 넘나드는 작품을 선보인다.

박희섭 변웅필 장형선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우리가 보는 그대로인가를 끊임없이 자문하는 작업활동을 해왔다.

천연 재료에서 직접 추출하고 물들인 한지에 전통 공예의 소재인 자개를 이용해 대자연을 묘사하는 박희섭은 소나무 숲 풍경을 통해 보이지 않는 우리 신체 속의 소우주를 성찰케 한다. 소나무 숲은 우리 몸의 중심인 척추와 그것을 오고 가는 신경줄기들의 형상이며 물과 별, 나무 등 대자연은 대우주의 일부분으로서 우리 신체와 매우 닮은 모습임을 작가의 예리한 눈에 포착되고 있다.

변웅필은 옷은 물론 머리카락과 눈썹까지 배제시킨 자화상을 그려냄으로써 인간의 정체성에 질문을 던진다. 옷, 머리 스타일, 소품 등 인물의 배경 요소를 통해 초상화를 그리는 일반적인 작업과 달리 작가는 우리 자신을 감싸고 있던 장치들을 벗어던진 발가벗겨진 인간을 그림으로써 편견이 넘치는 세상을 당당히 응시하고 있다.

장형선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단절된 관계와 그것이 야기하는 충돌이 가득한 세상을 만화 형식과 이미지를 차용해 위트 있게 그려낸다.

전시는 오는 9~25일 삼청동 리씨 갤러리에서 열린다.

(02)3210-0467

- 매일경제 1. 2 (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 전문가들과의 만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오는 1월 11일(금), 미술관 강당에서 미술관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의 직업 세계를 소개하는 행사를 마련하였다.

미술계로의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전문가들의 생생한 경험과 직업으로서의 미술관 전문가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일시: 2008년 1월 11일(금) 오후 2시 ~ 4시
장소: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강당

프로그램 세부내용:
미술관의 꽃, 전시기획자 큐레이터14:00 - 14:20
미술 교육의 장을 여는 에듀케이터14:20 - 14:40
미술을 소통시킨다, 메디에이터14:40 - 15:00
휴식 시간15:00 - 15:10
미술품에 날개를 다는 아트 딜러15:10 - 15:30
미술품 전문주치의, 컨서베이터15:30 - 15:50
미술관 기념품 증정15:50 - 16:00

신청방법: 이메일접수, mistica2@mct.go.kr (이름, 성별, 나이, 핸드폰번호, 이메일주소를 남겨주세요)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