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2007 대구 사진비엔날레 심포지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희중 대구사진비엔날레 조직위원회 위원장(상명대 석좌교수)은 4일 오후 2시 대구 엑스코(EXCO)회의실 314호에서 '디지털시대:사진의 길을 묻다'란 주제로 2007 대구사진비엔날레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2007.12.03 조선일보

광주비엔날레 예산 20% 삭감 80억원으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내년 제7회 광주비엔날레는 지난 행사보다 20% 삭감된 80억원의 예산으로 치러진다.
광주비엔날레 재단은 오는 12월5일 열리는 제104차 이사회에서 재단에서 자체 편성한 제7회 비엔날레 행사 예산안 80억원을 최종 심의, 의결할 방침이다.
재단은 기존 100억여원을 투입했던 비엔날레의 예산이 방만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예산을 긴축 편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사회는 이날 오쿠이 엔위저 총감독이 보고하게될 제7회 광주비엔날레 기획안과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비엔날레 기획자(큐레이터)를 확정, 발표한다.
이날 이사회에는 이순인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도 참석, 2007광주디자인비엔날레 결산보고회를 갖는다.

-광주일보 11.30

잊혀진 인천의 근대건축풍경 재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술의 역할은 감상뿐 아니라 재현이란 몫을 지녔다. 풍경이나 인물이 그렇다. 바라보이는 대상을 그리지만 그것은 재현이란 기초 위에 작가의 성정이 담겨져 있다. 궁중 도화서의 그림은 왕실행사를 다뤘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 당시 풍속을 잘 알 수 있는 역사적 사료다.
시대가 바뀌면서 그 역할은 사진이 대신했다. 이어 캠코더, CD, 컴퓨터 등 다양한 기록매체들의 등장으로 조금씩 주도권은 넘어갔다. 가장 원초적인 기록매체는 미술이다. 잊혀진 것을 되살려 새롭게 재인식시키는 것도 간과할 수 없다.
김재열 작가는 사진을 토대로 인천의 근대 건축풍경을 담았다. ‘인천근대건축 풍경드로잉’이란 주제로 4일부터 11일까지 11번째 개인전을 마련했다. 1990년대 이후 인천의 풍경을 그려왔던 그는 현존하지 않거나 소실된 근대건축물들을 되살려 냈다.
작가는 무채색과 브라운을 주조로 펜과 수채물감을 사용했으며 1909년 건축된 돔 형태의 지붕을 지닌 붉은 벽돌 형태의 ‘오례당’과 한국 성당 중 가장 오래된 서구식 근대 건축물 ‘답동 성당’, 최초의 스팀난방 시설을 도입한 ‘존스톤 별장’, 그리고 개항 직후인 1884년 준공된 독일인들의 숙소 ‘세창양행사택’ 등을 담았다.
특히 ‘오례당이 보이는 제물포 시가’는 1920년대 청관 쪽에서 바라본 중앙동과 관동 지역의 주거지 모습이 펼쳐진다. 이 작품에는 일본국립제일은행과 18은행, 58은행의 지붕 모습, 일본 영사관의 경찰서와 일본 여관 아사오까를 만날 수 있다.
작가는 홍익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교수, 인천시 미술초대작가회 이사장, 한국수채화협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경기일보 12.3

故 이일교수 10주기 추모 학술세미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2월 8일(土) 故 이일 교수 10주기 추모 학술 세미나가 열린다.

일시: 2007년 12월 8일 토요일 2:00 ~ 6:00 pm
장소: 홍익대학교 조형관(E동) 103호

주최: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동문회

<차례>

1부 : 발표 / 질의 - 사회 : 박천남(부산시립미술관)
발표 1 : 이일 선생의 전위예술론 - 서성록(안동대)
질의 1 : 남인숙(한국예술종합학교)

발표 2 : 이일 선생의 서양미술사론:1966~72년까지의 추상화론을 중심으로-서영희(중앙대)
질의 2 : 이선영(미술평론가)

발표 3 : 이일 비평의 방법적 언어들- 박남희(홍익대학교)
질의 3 : 공주형(홍익대)

2부 : 종합토론 - 사회 : 윤진섭(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




서울아트가이드 12월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아트가이드 12월호가 발간되어 배포되었다. 이번 12월호 주요 콘텐츠는

*오광수 미술칼럼(24) 신사실파 60주년 기념전
* 정중헌의 문화칼럼(44) 이중섭ㆍ박수근 위작 누가 그렸는지도 밝혀내야
* 지금 한국미술의 현장(20) 제 2회 안양공공예술 프로젝트 _ 김승덕(르 콩소르시움, 국제 기획 디렉터/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
* 한국미술계의 과제(31) 이제는 미술공간인가? _ 김용민(갤러리쿤스트독 큐레이터)
* 미술시장(3) 2007년 미술시장 결산, 2008년 전망 _ 서진수(강남대 교수, 미술시장연구소 소장)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