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8

화제의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중국산 ‘모란화’ 60여점 만개
중국 낙양박물관장 왕시우 모란화 초대전. 5일부터 14일까지 다보성갤러리(02-737-2382). 부귀천향(富貴天香)을 상징하는 모란화 60여 점. 작가는 중국의 1급 미술가. 송-명-청 옛 그림을 꿴 바탕에 전통회화와 유화 기법을 융합한 모란화는 30여년 완숙함이 배었다.


■ ‘돌담길’ 작가 양승예 첫 화랑전
양승예씨의 일곱번째 개인전. 토포하우스(02-734-7555)에서 9일까지. 충청도 친정 가는 길 동구밖 소나무 둥치, 건조실 벽돌의 거칠거칠한 질감에 필이 꽂혔다. 큼지막한데다 시원한 구도가 남성적이다. 지금껏 덕수궁 돌담길에서 전시를 하다가 화랑 전시는 처음이다.


■ 분청사기에 새긴 ‘시간의 무늬’

최은숙 도예전 ‘시간의 무늬를 찾아서’. 9일까지 가나아트스페이스(02-734-1333). 상감, 인화, 박지, 역박지 등 다양한 기법의 연, 물고기, 학, 모란문 분청사기 20여점 전시. 10여년 연마한 전통 도예기술 손맛이 그대로 배어 기형이 원만하고 문양이 맛깔스럽다.


■ 김원숙이 들려주는 사랑 설화
재미화가 김원숙 개인전. 예화랑(02-543-5543), 5일부터 25일까지. 달무리 연못물의 퍼짐, 폭포 강물 바람의 흐름이 가득한 가운데, 꽃과 나무, 나신 물고기 학 등이 어울어져 몹시 설화적이다. 일기 쓰듯 독백 하듯 형상화한 사랑 이야기가 내밀하다.


■ 사진으로 가득한 ‘논’의 사계
최수연 사진전 ‘논’. 3일부터 9일까지 갤러리나우(02-725-2930). 농촌 출신인데다 농민일보사 <전원생활>인 터라 자연스럽게 논에 시선이 갔다. 연두, 초록, 황금빛 논의 사계는 물론, 논두렁의 조형성, 묵정논에 얽힌 농촌의 형편 등이 읽힌다. 첫 개인전.


한겨례신문 2007.10.05

[부고] 서예가 장전 하남호 선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원로 서예가 장전(長田) 하남호 선생이 4일 오전 10시50분 전남 진도군 임회면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81세.

하 선생은 소전 손재형(1903~1981)에게 글씨를 배웠으며 예서와 행서에 발군의 실력을 보였다. 국전 초대작가와 심사위원,한국서가협회 공동회장을 지냈다.13,15,16,17회 국전에 입선했으며 18~21회 국전 특선,보관문화훈장,세계평화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89년부터 후학양성을 위해 고향 진도에 남진미술관을 개관,운영해 왔다.빈소는 광주 무등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발인은 7일 오전 9시,장지는 진도군 임회면 삼막리 선영이다.

유족으로는 부인 박순진(81)씨와 영규씨 등 3남4녀가 있다. 062-515-4488.

중앙일보 1007.10.05

신간 <미술 첫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미술 첫발(정명숙 글·조행희 그림, 문공사 펴냄) 미술의 역사와 사조에 관해 쉽게 풀어놓은, 초등생을 위한 미술 입문서.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사물에 담긴 미술의 원리부터 미술의 역사와 다양한 사조, 표현 기법까지 친근한 형식으로 소개돼 있다.8800원.

서울신문 2007.10.05

[전시회산책] 안국동 사비나미술관, 김창겸씨의 ‘거울’전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안국동 사비나미술관에서 김창겸(46)씨의 ‘거울’전이 열리고 있다. 첨단 영상매체를 이용한 미디어아트 작품임에도 복잡한 기술보다는 회화와 조각의 세계를 추구한다. 명상적인 분위기도 풍긴다. 예컨대 커다란 물그릇에 비친 사계절의 변화를 영상물로 보다가 영상이 사라지면 물그릇을 흉내낸 석고 오브제만 남는 식이다. 14분짜리 ‘물그림자-사계’(사진)를 비롯한 가상현실 작품들은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두 가지 다른 ‘현실’을 체험할 수 있게 한다. 31일까지. 02-736-4371.

◆중국 베이징 중앙미술학원의 2000~2007년 졸업생 우수작품전이 서울 안국동 동덕아트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2001년 졸 업생 쟝천추의 작품 ‘노무(老茂 ·사진)’를 비롯해 21명의 작품 36점(중국화 12점, 판화 14점, 유화 10점)을 선정해 가져왔다. 중앙미술학원은 중국 최고이자 교육부 직속의 유일한 종합미술대학이다. 이번 전시는 동덕여대 회화과와 베이징 중앙미술학원간의 협약에 따른 국제교류전의 하나다. 9일까지, 02-732-6458.

중앙일보 2007.10.05

옛 전남지사 공관 전시관으로 거듭난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옛 전남도지사의 공관이 다목적 전시관으로 새롭게 태어날 전망이다.
광주시는 서구 농성동에 위치한 옛 전남지사 공관을 다목적 전시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리모델링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시는 공관 본관과 부속건물 등 건축 전체면적 1천830㎡인 2개 동에 사업비 18억 원을 투입, 미술품과 공예품, 수석 등 장르별 전시 용도에 맞게 개조해 내년 4월 개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 4월부터 공관 부지 내에 추진 중인 산책로와 쉼터, 잔디광장 등 상록근린공원 조성사업을 이달 중 완료할 예정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다목적 전시관이 완성되면 공원을 찾는 시민들의 정서함양은 물론 지역작가들의 전시 창작 활동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옛 전남지사 공관은 문민정부 출범 이후 전남도립국극단 공연장으로 이용되다 아파트 부지로 연금관리공단에 매각됐으나 광주시가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기 위해 2004년 공무원연금관리공단으로부터 191억 원에 매입했다.
-광주일보 10.5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