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안산 대부도에 아시아 최고 미술 창작센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 안산 대부도에 국내외 예술인들이 자유롭게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창작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3일 대부도의 도립직업전문학교 안산 교정을 리모델링해 창작 스튜디오, 작가 작업실, 전시관, 작품 창고 등을 갖춘 아시아 최고 수준의 창작센터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도는 이에 따라 내년 6월부터 50억원을 들여 학교 건물(연면적 1만 6225㎡)의 개조 공사에 들어가 2009년 2월까지 창작센터를 열 계획이다.

가칭 ‘Studio In Gyeonggi’란 이름으로 문을 열 창작센터는 100여개의 창작공간이 마련돼 국내는 물론 해외 유명작가들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서울신문 2007.10.04

문경에 국내 첫 ‘측량박물관’ 오픈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모든 측량기기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측량박물관’이 오는 6일 전국 최초로 문을 연다.

경북 문경시 마성면 하내리 한성연수원내에 개관하는 이 박물관에는 일제 강점기 당시, 총독부가 세금을 정확하게 징수하기 위해 측량시 사용했던 수동식 거리측정기와 각도 및 고도측정기서부터 현대화된 모든 측량기기가 전시돼 있다. 또 천정에 달린 모형 인공위성을 이용, GPS로 현위치의 좌표를 알아볼 수 있는 시설도 있고 과거의 측량기기를 사용해 거리와 좌표를 측정해 보는 게임도 할 수 있다.

국민일보 2007.10.04

피카소 작품 2점 다음달 경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천재 예술가 파블로 피카소의 청동 조각 1점과 유화 1점이 다음달 7일 경매 물건으로 등장할 예정이라고 경매 중개업체 소더비가 2일 밝혔다. 소더비는 피카소가 1931년 연인 마리-테레즈 발터를 모델로 그린 초상화 '등불'(La Lampe)이 2천500만~3천500만 달러에, 피카소가 1941년 제작한 또다른 연인 도라 마르의 청동 두상이 2천만~3천만 달러에 각각 팔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 작품이 경매 시장에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2007.10.02

'아흔 청춘' 전혁림 화백 신작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아흔 청춘'을 자랑하는 원로화가 전혁림(1916-) 화백이 신작을 내놓았다. 경남 통영의 화가로 마티스를 닮은 색채와 추상적인 구도의 바다그림으로 잘 알려진 그가 2005년 11월 경기도 용인 이영미술관에서 '구십, 아직은 젊다'라는 대규모 개인전을 연 지 2년만의 신작전이다. 팔판동의 신생 갤러리 아이켐(ICAM)에서 선보이는 전 화백의 신작은 총 15점. 그 나이에 붓을 드는 것부터 놀라운 일이지만 여전히 꼿꼿한 붓놀림으로 한결 화사해진 신작을 그려냈다. 노무현 대통령이 2005년 이영미술관 전시를 관람한 후 청와대가 구입한 1천호짜리 '통영항'처럼 대작을 많이 그렸던 작가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중소품들이 많아 컬렉터가 소장하기 좋아졌다. 전시를 기획한 이영미술관의 김연진 부관장은 "전 화백의 신작들을 접하면 작가의 물리적 나이를 논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며 "전 화백의 작품세계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했다. 11-25일. ☎02-736-6611.


연합뉴스 2007.10.02

고성군 관광사진 공모전 개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남 고성군은 지역 관광자원을 전국에 알리기 위해 '관광고성 전국사진공모전'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고성군이 주최하고 고성문화원이 주관하는 이번 공모전은 전국 사진작가와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세계 3대 공룡화석지중 한 곳인 상족암군립공원과 당항포관광지, 공룡나라 축제 등 고성의 수려한 자연과 지역축제를 찍은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10월 한달간 접수하며 금상 1점에 상금 200만원, 은상 2점에 각각 100만원 등 금.은.동상과 가작, 입선작에 모두 1천2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문의는 고성군청 문화관광과(☎ 055-670-2201)로 하면 되고 합성이나 컴퓨터 그래픽 사진은 접수할 수 없다.

연합뉴스 2007.10.0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