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르누아르의 ‘로맨 라코 양의 초상’이 1위 반 고흐에서 피카소까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반고흐에서 피카소까지’전에서 두세기전 프랑스에 살다간 한 소녀가 최고 인기 스타로 떠올랐다
본지는 15일부터 17일까지 전시장을 찾은 20~30대 여성 관람객 중 5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해 ‘가장 인상 깊었던 작품’ 3점을 물었다. 한 사람이 3표씩 던지는 이 투표에서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로맨 라코 양의 초상’(1864년작)이 173표를 받아 1위를 했다. 푸른 빛 섞인 잿빛 눈동자가 또렷한 이 소녀는 상인의 딸이었다. 스물세 살 무명화가 르누아르는 라코 양 부모의 의뢰를 받아 이 그림을 그렸다. 자기 이름과 날짜를 써넣은 첫 작품이기도 하다. 그 이전 그림을 대부분 없앴던 르누아르가 습작 시대를 지나 이젠 화가로서 당당하게 그리겠다는 자신감을 화폭에 가득 담았다.

2위는 137표를 받은 빈센트 반 고흐의 ‘생 레미의 포플러’(1889년작), 3위는 113표를 받은 오귀스트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1880년경)이었다.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여인의 초상’(1917~1918년작)과 반 고흐의 ‘큰 플라타너스 나무’(1889년작)가 109표와 103표로 뒤를 이었다.

투표 결과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한국 미술팬의 독특한 감성이 드러난다. 지오반니 세간티니의 ‘소나무’(1897년쯤)는 19세기 후반 이탈리아에 살다 간 이 화가가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그린 작품중 하나다. 일반인에겐 다소 낯선 이 작품이 60표를 받아 6위를 했다.
클로드 모네의 ‘빨간 스카프를 쓴 모네 부인의 초상’(1868~1878년작)도 이번 전시의 화제작 중 하나다. 모네의 아내는 모네가 이 작품을 완성한 얼마 뒤 세상을 떴다. 창문 너머 서있는 창백한 아내를 그린 이 작품을 모네는 평생 남에게 팔지 않았다.
대가의 마음에 묻은 쓸쓸함은 세월과 공간을 훌쩍 뛰어넘어 한국 미술팬의 가슴까지 울렸다. 이 그림은 54표를 받아 7위를 했다.

조선일보 / 2007.01.20 / 김수혜기자

이원일씨, 사간동에 사무실 개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독립큐레이터 이원일씨가 사무실을 개소했다. 위치는 금호미술관에서 국제갤러리 쪽 옆거물로 갤러리온이 있는 건물이다.
서울 종로구 사간동 69 영정빌딩 2층 이즈미술연구소 T. 722-9973~4

지난해 2006년 상하이비엔날레 전시감독, 2006년 미디어시티 서울전시 총감독을 맡았고 주로 해외 일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년 6월부터 10월까지 열리는 독일 ZKM 10주년 기념 아시아현대미술전 총감독으로 사무실개소에는 ZKM 의 지원이 있었다.

제주미술의 살아있는 궤적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제주미술인작품집 발간...280여명 작가 수록

제주미술계의 태동과 현재를 조망하는 데 도움을 줄 「제주미술인작품집」이 발간됐다.

한국미술협회 제주도지회(지회장 김현숙) 주관으로 제주미술인작품집 발간위원회가 발행한 이 책자는 제주출신 미술인과 그들의 작품이 수록돼 제주미술의 발자취를 보여주고 있다.

‘제주미술의 시원(始原)과 현재’라는 부제를 단 이 책자에는 작고작가를 포함, 제주 출신미술인 280여명의 프로필과 작가의 창작경향, 대표 작품 등을 수록했다.

작고작가에 대한 내용은 서두에 배치, 현 제주미술의 초석을 다진 예술인들의 업적을 기렸다.

연농 홍종시, 해주 원용식, 수암 강용범, 남송 홍완표, 송영옥, 일석 장희옥, 박충검씨 등 세인들에게 제대로 알져지지 않았던 제주미술사에 길이 남을 작고작사들을 새롭게 발굴, 소개했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

현존작가들은 한국화, 서양화, 조소, 판화, 공예·디자인, 서예·문인화 등 분야별로 소개되고 있다. 제주지역은 물론 일본과 서울을 비롯한 모든 지역의 활동작가를 아울렀다.

이와 함께 김영호씨(중앙대 교수·미술사가)의 ‘제주 미술문화의 현상과 비전’, 김유정씨(미술평론가)의 ‘제주 현대미술의 태동과 전개’가 함께 실렸다.

한편 출판기념회는 오는 22일 오후 6시 제주시 탑동 팔레스호텔 연회장에서 미술인과 도내 문화예술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마련된다. 비매품.

제민일보 2007년 01월 18일 (목) 17:40:58 이영수 기자 opindoor@hanmail.net


대전시의회, 원로 예술인과 간담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대전=뉴시스】

대전시의회(의장 김영관)는 18일 의장실에서 대전출신의 저명한 원로 예술원 회원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금강 화가'로 유명한 기산 정명희씨(63.한국화)를 비롯해 민경갑씨(73.한국화), 이종상씨(68.한국화), 유희영씨(66.서양화), 최종태(74.조각) 작가 등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 활동 중인 대전출신 원로 예술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전시의 문화예술진흥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매년 10월 예술원 회원들의 작품을 서울에서 전시하고 11월께 지방에서 전시하고 있는것을 올해 대전시에서 유치해 시민들에게 고급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문제 등을 논의했다.

또 급증하고 있는 시민들의 문화예술수요에 비해 부족한 시립미술관의 전시공간을 시유지를 활용, 분관을 설치해 지역별로 인프라를 확대하는 방안 등 문화예술정책에 대해 심도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

예술원은 문학, 미술, 음악, 연극, 영화, 무용 등 각 분야별로 예술창작에 현저한 공이 있는 예술가를 우대.지원하고 예술창작활동 지원사업 발전에 이바지하게 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문화관광부 지원을 받고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 원로예술인 78명이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특히 미술분야는 19명의 예술원 회원 가운데 대전출신이 4명이나 돼 전국에서 최고로 많은 예술원 회원을 배출한 도시로서 시민들에게 '문화예술의 도시'라는 긍지를 갖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시의회는 "수준 높은 정책의회로 거듭나기 위해 분야별 지역의 원로들을 초청해 지역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구운서기자 wskoo@newsis.com

'환갑' 넘긴 부산 아파트 문화재 등록추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지은 지 60년을 넘겼으나 아직도 주민들이 살고 있는 부산의 오래된 아파트 2채를 아파트로는 국내 최초의 문화재로 지정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18일 부산시와 중구청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최근 부산시에 공문을 보내 부산 중구 남포동의 청풍장아파트와 소화장아파트를 등록문화재로 지정할 수 있도록 입주민들의 동의를 구해달라고 요청했다. 4층 높이인 이들 아파트는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초에 건립돼 조선도시경영회사의 관사로 사용됐다.

완공 이후 60년 이상이 지난 이들 아파트에는 현재 40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 아파트 2채의 정확한 건립시기 등에 대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은 상태다.

이들 아파트는 1996년 안전진단 결과, D등급을 받아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면적이 협소한데다 지리적인 이점이 떨어져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구청은 이에 따라 조만간 입주민들의 동의절차를 거칠 예정이지만 부동산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가 높아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고, 등록문화재로 지정될 경우 유지보수 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적극 홍보하며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1.1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