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미술협회 내년초 연감 발간
내달 8일까지 회원 작품접수
경북미술의 현주소를 총망라해 신진, 중진과 원로작가의 작품세계를 집대성한 ‘경북미술 연감’이 발간된다. 경북미술협회는 경북미술의 발자취와 역사, 현재의 경북미술을 총 정리해 미술사적인 중요 자료집으로 역할과 활용을 위해 내년 초 발간할 예정으로 자료수집에 나서고 있다.
경북미술 연감에는 한국화, 서양화, 조소, 디자인, 공예, 판화, 서예(한글, 한문), 문인화, 전, 서각 부문으로 나눠 작가의 대표작품과 인물사진, 개인경력 및 인적사항을 수록한다.
또한 경북미술연역과 경북도전의 수상작품 등 사업내용, 미술 단체 및 그룹을 소개하고, 경북미술에 대한 논문 (경북미술의 역사성, 경북미술의 오늘, 경북미술의 내일) 등 수록할 예정이다.
참가대상은 경북미술협회 회원으로,
오는 12월 8일까지 출품하면 된다.
제출자료는 출품서 양식 (약력 및 인물사진, 작품 내용 기재), 작품 슬라이드 및 사진 3매 (대표작품 1점 1 표기하고 2, 3 표기), 회비는 8만원이다. 문의 054-854-7400 경북미술의 현주소를 총망라해 신진, 중진과 원로작가의 작품세계를 집대성한 ‘경북미술 연감’이 발간된다. 경북미술협회는 경북미술의 발자취와 역사, 현재의 경북미술을 총 정리해 미술사적인 중요 자료집으로 역할과 활용을 위해 내년 초 발간할 예정으로 자료수집에 나서고 있다.
경북미술 연감에는 한국화, 서양화, 조소, 디자인, 공예, 판화, 서예(한글, 한문), 문인화, 전, 서각 부문으로 나눠 작가의 대표작품과 인물사진, 개인경력 및 인적사항을 수록한다.
또한 경북미술연역과 경북도전의 수상작품 등 사업내용, 미술 단체 및 그룹을 소개하고, 경북미술에 대한 논문 (경북미술의 역사성, 경북미술의 오늘, 경북미술의 내일) 등 수록할 예정이다.
참가대상은 경북미술협회 회원으로,
오는 12월 8일까지 출품하면 된다.
제출자료는 출품서 양식 (약력 및 인물사진, 작품 내용 기재), 작품 슬라이드 및 사진 3매 (대표작품 1점 1 표기하고 2, 3 표기), 회비는 8만원이다. 문의 054-854-7400 경북미술의 현주소를 총망라해 신진, 중진과 원로작가의 작품세계를 집대성한 ‘경북미술 연감’이 발간된다. 경북미술협회는 경북미술의 발자취와 역사, 현재의 경북미술을 총 정리해 미술사적인 중요 자료집으로 역할과 활용을 위해 내년 초 발간할 예정으로 자료수집에 나서고 있다.
경북미술 연감에는 한국화, 서양화, 조소, 디자인, 공예, 판화, 서예(한글, 한문), 문인화, 전, 서각 부문으로 나눠 작가의 대표작품과 인물사진, 개인경력 및 인적사항을 수록한다.
또한 경북미술연역과 경북도전의 수상작품 등 사업내용, 미술 단체 및 그룹을 소개하고, 경북미술에 대한 논문 (경북미술의 역사성, 경북미술의 오늘, 경북미술의 내일) 등 수록할 예정이다.
참가대상은 경북미술협회 회원으로,
오는 12월 8일까지 출품하면 된다.
제출자료는 출품서 양식 (약력 및 인물사진, 작품 내용 기재), 작품 슬라이드 및 사진 3매 (대표작품 1점 1 표기하고 2, 3 표기), 회비는 8만원이다. 문의 054-854-7400 경북미술의 현주소를 총망라해 신진, 중진과 원로작가의 작품세계를 집대성한 ‘경북미술 연감’이 발간된다. 경북미술협회는 경북미술의 발자취와 역사, 현재의 경북미술을 총 정리해 미술사적인 중요 자료집으로 역할과 활용을 위해 내년 초 발간할 예정으로 자료수집에 나서고 있다.
경북미술 연감에는 한국화, 서양화, 조소, 디자인, 공예, 판화, 서예(한글, 한문), 문인화, 전, 서각 부문으로 나눠 작가의 대표작품과 인물사진, 개인경력 및 인적사항을 수록한다.
또한 경북미술연역과 경북도전의 수상작품 등 사업내용, 미술 단체 및 그룹을 소개하고, 경북미술에 대한 논문 (경북미술의 역사성, 경북미술의 오늘, 경북미술의 내일) 등 수록할 예정이다.
참가대상은 경북미술협회 회원으로,
오는 12월 8일까지 출품하면 된다.
제출자료는 출품서 양식 (약력 및 인물사진, 작품 내용 기재), 작품 슬라이드 및 사진 3매 (대표작품 1점 1 표기하고 2, 3 표기), 회비는 8만원이다. 문의 054-854-7400
대구일보 2006.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