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미술사학연구회 창립2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술사학연구회 창립2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미술사와 ‘지금 여기’ - Art History, ‘Here & Now’ >

□ 주최 : 미술사학연구회(회장 이인범, 한예종 한국예술연구소 수석연구원)
□ 후원 : 대우재단, 유영국미술문화재단


□ 일시 : 2006년 11월 3일(금), 4일(토) 9:30 - 18:00
□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SK텔레콤관 컨벤션홀


프로그램

제1일 : 2006. 11. 3(금)
접수(09:30-10:00)
개회(10:00-10:20) 사회 : 송희경(이화여대박물관)
개회인사 회장 : 이인범(한국예술연구소)
축사 전임회장 :임범재(홍익대 명예교수)
개막 특별 강연 (10:30-11:50) : <미술사의 토폴로지>
<‘예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사> 박이문(연세대 특별초빙교수)
<미술사와 미학> 권영필(전 한예종 교수)

점심식사 (11:50-13:10)

제1부 (13:10-14:30) : <한국 미술사학 20년 반성> 사회 : 송희경(이화여대박물관)
<최근 20년의 한국 미술사학-회화사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홍선표(이화여대)
<미술사학연구회 20년과 학술적 성과> 민주식(영남대)

제2부 (14:50-18:00) : 미술사의 방법, 그 다양한 가능성
<동양화에서 畵․圖․寫의 기원> 김기주(동덕여대)
<謙齋 鄭敾의 天文學 兼敎授 出仕와 ‘金剛全圖’의
易學的 解釋에 대한 再檢討> 강관식(한성대)
<초상화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 조인수(한예종)
<한국 근현대미술사와 구술사방법> 김주원(유영국미술문화재단, 상명대)
* 사회 : 문정희(한국미술연구소), 토론자 : 김용철(성신여대)

제 2일 : 2006. 11. 4(토)

자유발제 (09:30-10:00) 사회 : 이승건(상명대)
<다비드의 혁명기회화에 나타난 영웅의 죽음과 자유에의 열망> 박화선(숙명여대)

제3부 (10:10-12:20) 지금, 추상을 보는 새로운 관점
<추상미술과 유토피아> 윤난지(이화여대)
<이미지와 텍스트 : 추상미술과 미술학의 경계에서> 김승호(한예종)
<미술의 기능변환 : 러시아 구축주의 연구> 배수희(김종영미술관)
* 사회 : 이주영(서원대), 토론자 : 전영백 (홍익대)

점심식사 (12:20-13:30)

제4부 (13:30-15:40) 여기, 미술사 거점으로서의 민족국가
<근대국가의 '국기'라는 시각문화
-개항과 대한제국기 '태극기'를 중심으로> 목수현(직지사 성보박물관)
<근대기 ‘미술’ 개념의 수용과 그 문제점> 키다 에미코(일본 大谷대)
<미술사와 민족국가주의> 이인범(한국예술연구소)
* 사회 : 권행가(홍익대), 토론자 : 김영순 (홍익대)

포럼 (16:00-18:00) <‘미술사학’ 로드맵 그리기> 진행 : 이인범(한국예술연구소)
패널 강관식(한성대), 권영필(한예종), 김기주(동덕여대), 김영나(서울대)
김진엽(서울대), 민주식(영남대), 윤난지(이화여대), 이한순(홍익대)
조은영(원광대), 조선미(성균관대) _ (이상 본 학회 편집위원)

리셉션 파티 (18:00-20:00) 장소 : 이화여대 진관식당

제16회 슬로바키아 국제사진페스티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제16회 슬로바키아 국제사진페스티벌 FOTOFO 2006 의 Month of Photography, KOREA (포토포 사진의 달, 한국) 한국현대사진전 가 11월 2월부터 12월 3일 까지 슬로바키아 브라티스라바에서 진행된다.

본 페스티벌은 16년간 동구와 서구의 문화적 교두보 입지를 다져온 행사로서 사진의 달(Month of Photography) 이라는 제목하에 그 해에 주목할 만한 국가들을 선정하여 집중 조명합니다. 2006년 올해는 한국이 그 국가들 중 하나로 선정되었고 큐레이터 김민성씨가 기획한다.


 전시 개요
1. 전시제목

2. 전시기간 및 장소
Bratislava (Slovakia 수도) DOME Umenia (exhibition hall)
2006. 11. 2 , 목 ~ 12. 3 일
3. 주최
포토포재단 (FOTOFO Foundation) www.sedf.sk
4. 한국전시 기획 및 코디네이터
큐레이터 : 김민성 mskim924@gmail.com
코디네이터 : 한성필
5. 후원
한국국제교류재단, 명지대학교 사진사 연구소, KINO2

 참여작가
Section 1 : Korean Photography of 2nd Half of 20th Century
한영수(1933-1999), 정해창(1907-1968), 임석제(1918-1994), 서순삼(1903-1973), 민충식(1890-1977), 현일영(1903-1975)
Section 2 :
강재구(1977), 고현주(1964), 김인숙(1978), 정은정(1972), 한성필(1972), 박형근(1973), 권순평(1966), 윤사비(1977), 권병준(1971), 이은종(1970)

권영우화백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 기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시립미술관(관장 하종현)은 지난 10월 19일 한국미술사의 한 맥락을 차지하고 있는 원로작가 권영우 화백(1926~)으로부터 작품 70점을 기증받기로 협약을 체결했다.

* 권영우 화백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미술대학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다.

예술로, 예술가 꿈꾸는 어린이 오세요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예술이 국가경쟁력인 시대다.
이 같은 추세에 부응하듯 예술적 경험을 통해 어 린이들에게 창조력과 표현력을 높여주는 방안에 대한 일반인 관심도 크게 높아졌다 . 최근 문화관광부는 어린이 예술가를 육성하기 위한 음악ㆍ미술ㆍ공연예술 사이트 ' 예술로(www.art.go.kr)'를 개설했다.

백화점 등 문화센터로 굳이 발걸음을 옮기지 않고도 가정에서 부모와 즐겁게 놀면서 예술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다 .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메뉴가 공개돼 있다 . 이 사이트가 제공하는'예술로 꿈동산'은 미취학 어린이들이 오감으로 예술을 체험 하고 즐기면서 감성과 정서 발달, 상상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부 지식정보 자원관리사업을 통해 구축된 메뉴다.

사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어린이 집중력과 호기심을 고려해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 재미있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효과를 더했다는 것이다.

신나는 예술게임, 검색토끼야 찾아줘, 내 방이 좋아 등 어린이들이 좋아할 만한 부 가 서비스들도 다양하다.

예술에 대한 생경함을 덜어주기 위해 생활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소재들을 채택했다.

콘텐츠마다 부모 활용 가이드를 첨부해 이를 참고로 응용한 놀이 활동을 집에서 직 접 따라해 볼 수도 있다.

부모들이 자녀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부모님 방' 도 선보였다.
-매일경제 2006.10.26

공공미술 또는 미술장식품 정책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공공미술 또는 미술장식품에 대한 이야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 소위원회에서 주관하는 2006 시각예술정책포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총 6차의 정책포럼 중 이제 4차에 이르렀습니다.

그동안 미술계의 주요현안들을 짚어온 시각예술정책포럼은 이번에도
상당수의 미술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공미술과 건축물미술장식법 문제를 토론의 장에 올려 놓습니다. 공공미술과 건축물미술장식법에 대한 미술계내의 다양한 입장들을 확인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융화시킬 방법 또한 모색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오는 10월 26일 '계류 중인 건축물 미술장식법 무엇이 문제인가?’
라는 주제로 열릴 4차 시각예술정책포럼에 대한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4차 시각예술정책포럼

주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 소위원회
일시 / 2006년 10월 26일 (목) 오후 2-5시
장소 / 아르코 미술관 3층 세미나실
주제 / 계류 중인 건축물 미술장식법 무엇이 문제인가?

사회자/ 박찬국(공공미술PD,밀머리미술학교 대표)

발제: 발표시간, 각 25분씩
지정질의: 토론, 질문시간 각 15분

* 발제1 / 건축물 미술장식법 개정 경과와 문제/ 박삼철 (아트컨설팅서울 소장)
* 지정질의: 전용석 (작가, 플라잉씨티 대표)

* 발제 2 / 계류 법안이 안고 있는 문제와 조정방안/ 윤태건 (The Ton 대표)
* 지정질의: 조관용(미술평론가)

* 발제 3 / 새로운 공공미술과 건축물 미술장식법/ 김준기(공공미술추진위원회 팀장)
* 지정질의: 박찬경 (작가, 미술평론가)

발제 후 토론 1시간

-행사장에 오시면 발표내용을 묶은 자료집(1-4차 포럼)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