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9월 13일 화제의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9월 13일 화제의 전시

‘재일’ 오병학씨 64년만의 귀국
◇…재일 원로화가 오병학(82)씨가 64년 만에 감회 어린 귀국전 무대를 서울 인사동 학고재에 차렸다. 평양 출신으로 1942년 일본에 건너간 이래 세잔풍의 심오한 풍경·인물화를 그려온 작가는 분단과 망향의 회한을 오직 그리기의 열정으로 삭여왔다. 탈춤(오른쪽), 백자 등의 민족적 감성이 점차 탄탄한 형상 구도에 융화하면서 발전해온 대가의 정물과 풍경 그림 등 여러 신구작들이 나왔다. 19일까지. (02)706-5881.

영화관에서 전위영상 깜짝 상영
◇…영상미술의 숨은 매력을 편안하게 만날 수 있는 마당이 곳곳에 생겼다. 서울대 미술관(02-880-9509)은 19일까지 구내 강당에서 해외 미공개 영상물과 다큐 영화 등을 상영하는 ‘시네 포럼 1’을 개설한다. 비디오아트 2세대 거장인 토니 아우슬러의 9·11테러 영상물과 70년대 전위작가 크리스 버튼의 충격적인 몸 학대 영상, 백남준·바버라크루거의 인터뷰 장면 등이 나온다. 기획사 로렌스제프리스(02-551-2741)도 30일까지 대형 영화 상영관인 씨지브이체인 산하 전국 37개관 280개 상영 공간에서 영화 시작 직전 30초 동안 작가 9명의 전위적인 영상 작업들을 틀어준다.

헤이리 크로스오버 ‘판페스티벌’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 문화마을에서 예술 장르간 경계를 가로지른 크로스오버 난장이 벌어지고 있다. 24일까지 15만여평의 헤이리 내 문화시설과 전시장, 야외공간 등에서 진행중인 ‘판(PAN)페스티벌 2006’은 미술, 무용, 연극, 국악, 문학과 영상 등이 한데 어우러진 복합 예술 축제다. ‘물티쿨티 크로스오바’ ‘디지털 소닉 카페’ 등 10여개의 전시행사와 마술 콘서트, 파노라믹 사중주, 키네틱 국악연주 등 30여차례의 퓨전 무대가 차려졌거나 열린다. (031)946-8551~3. 출처-한겨레 9.13

김희곤씨 안동독립기념관 초대관장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안동대 사학과 김희곤 교수가 내년 광복절께 완공되는 안동독립운동기념관 초대관장에 선임됐다. 취임식 26일.
△한국근현대사학회 감사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이사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편찬위원장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6집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6집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삶과꿈 | 299쪽 | 15,000원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6집(2006 상반기)이 발간됐다.

- 사진 속에 재현된 대한제국 황제의 표상- 고종의 초상사진을 중심으로 | 권행가
- 조선물산공진회와 일본화의 공적(公的) 전시 | 강민기
- 근대 한국 수채화의 전개 | 최은화
- 한국 근대 동양화와 몽롱체 화법 | 김용철

위 논문을 포함해 논문 8편이 수록되었다.

※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6집의 목차는 달진닷컴 미술자료실>색인자료에서 검색할 수 있다.

광주비엔날레 개막 초반부터 잡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귀빈 경호 내세워 출입 막아…관람객 당혹
개막 3일만에 15점이나 훼손 관리 미숙도

2006광주비엔날레가 개막 초기부터 작품훼손 등 곳곳에서 문제점이 노출돼 ‘총체적인 부실’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지난 8일 개막한 광주비엔날레는 개막 4일 만인 11일 현재 3만여명의 관람객을 유치했으나 운영 및 홍보 부문에 있어서는 여전히 미숙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은 지난 8일 오전 개막행사에 참여한 귀빈들의 경호를 내세워 사전 통보도 없이 비엔날레 전시관 1층과 개막식장인 야외공연장 등에 검색대를 설치하고 일부 관람시설의 출입을 통제해 관람객들을 당황케 했다.
서울에서 관람온 ‘soj0352’라는 아이디의 한 네티즌은 “전날 광주에 도착해 하룻밤을 묵고 비엔날레 개막일 오전 10시에 맞춰 찾아갔지만 오후 2시까지 통제한다는 사실을 현장에서 일방적으로 통보받았다”며 “어찌 홈페이지에 공지사항 한 마디 없이 그럴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행사장에 편입된 시립민속박물관 입장료의 일률적인 징수에 대해서도 관객들의 불만은 이어지고 있다. 비엔날레 주전시관을 출입하지 않은 시립민속박물관 관람객도 오는 11월11일 비엔날레 행사가 끝날 때까지 비엔날레 입장권을 구입해야 한다. 평상시 시립민속박물관 입장료가 어린이 200원, 청소년 300원, 어른 500원인데 반해 비엔날레 입장료가 유치원생 1천원, 어린이 2천원, 청소년 5천원, 어른 1만2천원이라는 사실을 살펴보면 납득이 가지 않는 대목이다.
지난 9일 여수에서 광주를 찾은 한 학부모는 “초등생인 아이의 체험학습을 위해 박물관에 갔는데 비엔날레 입장료를 내도록 했다”면서 “사전 공지도 없었을 뿐더러 매표소 직원도 잘 모르는지 제대로 설명도 해주지 않아 그냥 돌아섰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개막 3일 만에 15개 작품이 도난당하거나 훼손되자 재단의 허술한 작품관리가 연일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개막일인 8일 오후에는 한 할머니가 장 후안(중국)의 ‘평화’를 관람하던 중 수평으로 매달린 인체 조각상을 밀어 옆에 설치된 종을 때리는 바람에 조각상 머리 부분 도금이 벗겨졌으며 10일 오후에는 이종상의 ‘원형상’의 병풍을 어린이가 막대로 치는 바람에 구멍이 뚫리기도 했다.

또 10일에는 4전시실에 있는 메샥 가바(네덜란드)의 ‘가발빌딩’ 작품 일부가 떨어졌으며 각 대륙에서 채취한 소금을 이용해 바닥에 설치한 도브 브래드쇼(미국)의 ‘6대륙’은 관람객들이 소금을 발로 밟아 수난을 겪었다.
이에 대해 광주비엔날레 관계자는 “도슨트와 운영요원 85명이 하루 관객 1만여명을 통제·안내하다보니 작품훼손 등의 문제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차후 조치를 고려 중에 있다”며 “또한 민속박물관 내 기획전시실에서 비엔날레 부대행사 및 기획전들이 열리고 있어 요금 일괄 징수는 불가피하다”고 해명했다.

진은주 기자 jinsera@
남도일보 입력시간 : 2006. 09.12. 00:00

광주미술, 국제화단이 주목한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비엔날레 동반전‘광주아트페어’
14~20 광주 예술의거리 일대서

침체 위기에 처해있는 광주미술의 활성화를 꾀하기 위한 ‘제1회 광주아트페어’가 마련돼 지역 화단은 물론 국제 미술계의 주목을 받고있다.
2006광주비엔날레의 동반전시 일환으로 광주미술협회(회장 박지택·서양화가)가 주최한 이 행사는 오는 14일부터 20일까지 광주 동구 예술의 거리 가나아트샵(062-236-2870)을 비롯해 나인갤러리(062-232-2328)·메트로갤러리(062-226-8057)·무등갤러리(062-236-2520)·원화랑(062-222-6547) 등 5개 화랑에서 열린다.

‘시민과 함께 하는 소통의 공간전’이란 테마로 광주미협 회원 265명이 참여하고 있는 이 전시회에는 서양화를 비롯해 문인화, 서예, 한국화, 조각·공예·판화 등 각 장르의 작품이 고루 출품돼 광주 미술의 현주소를 국제화단에 소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미술을 통해 건전한 문화담론을 형성하기 위해 작품 당 10만~30만원씩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 미술견본시장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는 게 주최측의 설명이다.

주최측의 설명대로 이번 아트페어전은 나름대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선 비엔날레라는 국제미술축제의 붐 조성을 위해 지역 작가들이 대거 동참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번 행사를 통해 지역 미술계의 화합은 물론 광주의 미술을 한 차원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고 있다.
박지택 광주미협회장은 “세계 비엔날레의 선두주자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광주비엔날레 기간에 광주지역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 기쁘다”면서 “이번 아트페어를 통해 미술문화운동의 흐름을 주도하고, 문화적 담론을 형성하는 공론의 장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진은주 기자 jinsera@
남도일보 2006. 9. 1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