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중요무형문화재 2명 선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함완식씨(50)와 안용충씨(68)를 각각 중요무형문화재 송파산대놀이(49호)와 예천통명농요(84-나호) 보유자로 인정했다고 16일 밝혔다.

함씨는 송파산대놀이에서 가장 어렵다는 12박 염불 장단의 춤인 삼진삼퇴, 용트림 등 거드름 계통의 춤들을 능숙하게 추어 송파산대놀이의 뛰어난 연희자로 인정받고 있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또한 예천통명농요 보유자로 인정된 안씨는 농사일을 병행하며 30여년간 전수교육에 힘써오고 연마한 기량이 원숙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점 등이 높게 평가됐다. 출처-경향신문 8.17

이현세 문화콘텐츠 전문교육과정 대표교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현세 문화콘텐츠 전문교육과정 대표교수는 17일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열리는 문화콘텐츠 전문교육과정 입학설명회에 참가,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한류가 없는 이유'라는 주제로 특강할 예정이다. 출처-연합뉴스 8.16

울산 '세계옹기엑스포' 추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울산시가 2009년 '세계 옹기엑스포(EXPO)' 개최를 추진한다.
울산시는 울주군 온양읍 외고산 옹기마을이 국내 최대 규모인 데다 2000년부터 매년 이곳에서 열리고 있는 옹기축제가 전국은 물론 일본과 동남아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어 2009년 세계 옹기엑스포 개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오는 17일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내년 1월까지 타당성 조사와 경제성 분석 등을 마친 뒤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세부계획을 수립하는 등 본격 준비에 들어갈 방침이다. 출처-매일경제 8.15


여주에 명성황후 동상건립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 여주군 문화재관리사업소는 여주읍 점봉리 명성황후 생가 진입로 입구에 명성황후 동상을 내년 상반기중에 건립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명성황후 동상은 좌대 4m, 좌상 4m 크기로 제작되며 동상 설계는 궁중유물박물관에 소장된 명성황후 진영을 토대로 작품 공모와 문화관광부 영정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출처-한국일보

[신간]聖書 출판 2천년 역사를 논한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크리스토퍼 드 하멜의 '성書의 역사'

성경.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도입된 이래 어떤 텍스트보다 많이 제작되고 매년 전 세계 베스트셀러 목록에 이름을 올리는 인류 역사상 최고의 베스트셀러.
성서 출판의 역사는 그대로 유럽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당대의 역사, 언어, 문학, 미술 등 사회의 다양한 면들을 반영한다. 따라서 성서 판본의 변화를 살피는 작업은 단순히 출판물의 역사가 아닌, 인류 역사의 흐름을 되짚는다는 의미가 있다. 케임브리지 코르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연구직 사서로 일하는 크리스토퍼 드 하멜이 펴낸 '성書의 역사'(미메시스 펴냄)는 성서의 다양한 판본을 중심으로 2천년에 걸친 성서의 기술적, 문화적, 역사적 변천 과정을 재구성한다. 저자는 옥스퍼드대 등에서 고문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25년 간 런던 소더비 경매장에서 중세 채색 필사본 경매를 담당한 채색 필사본 및 고문서 분야의 권위자. 그는 종교적이거나 교조적 관점을 배제한 채 역사가의 관점에서 명징하고 철저한 고증을 거친 자료에 근거해 성경의 판본의 변화가 야기하는 다양한 사회현상에 주목한다.

예컨대 13세기에 이르면 커다란 자이언트 성경 대신 휴대용 성서가 주류를 형성하고 역사 속 언어가 돼버린 라틴어 대신 일상 언어로 성서를 번역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기존 교회는 이런 움직임을 엄격히 제지한다. 특히 잉글랜드에서는 위클리프 성서라고 불리던 영어 번역본은 이단으로 간주돼 책을 소유한 사람들은 모두 화형된다. 그 밖에도 15세기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의 발명으로 성서가 대량 인쇄되면서 종교개혁이 촉발되는 과정, 성경이 유럽 열강 식민주의의 첨병 역할을 해나가는 과정 등을 생생한 성경 삽화를 곁들여 흥미진진하게 전개해 나간다. 이종인 옮김. 352쪽. 4만5천원.

출처-연합뉴스 8.1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