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여수시-광주디자인센터 업무협약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남 여수시는 14일 "2012세계박람회 유치 및 도시 디자인 개발을 위해 광주시 산하 광주디자인센터(GDC)와 업무협약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16일 여수시청 상황실에서 오현섭 시장과 이봉규 광주디자인센터 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서 조인 및 교환식을 가질 예정이다.
협약과 함께 디자인센터측은 도시환경 디자인 분야 개발 및 기술교육, 컨설팅 지원을, 시는 이를 위한 행정적 지원을 하게 된다.

특히 시와 디자인센터는 세계박람회 유치 및 개최 기반 조성을 위한 홍보물, 광고탑, 전시시설 등 분야별 디자인 개발에 공동으로 참여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세계박람회 유치는 물론 향후 미항(美港) 여수를 새롭게 디자인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출처-연합뉴스 8.14

<문화소식> 갤러리 쌈지서 사진 소품 장터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일반인들이 쉽게 사진을 접하고 구매할 수 있는 대중적인 사진 장터가 마련됐다.사진판매 전문대행사인 로드앤스톡은 7월 한달간 신사동 아트앤드림 갤러리에서 젊은 사진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코리아포토페어 1부를 진행한데 이어 9일부터는 인사동 갤러리 쌈지에서 2부를 계속하고 있다.
권순평, 김수강, 김영길, 방명주, 이경문, 정은정, 조성연 등 비교적 젊은 작가 20명의 작품을 30만-80만원 정도에 판매하고 엽서 등 소품도 판다. 27일까지. ☎02-736-0088.

▲문경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토요(土窯)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도자공예가 김억주씨의 작품을 소개한 작품집 '김억주 도자예술'이 도서출판 바나리에서 출간됐다. 김억주씨는 10일부터 15일까지 중국 광저우에서 열리는 국제차엽박람회에도 작품 60여점을 출품했다. ☎02-3673-5634.

▲경기도 양평 닥터박 갤러리에서 파리에서 오래 활동했던 중견화가 권녕호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여백의 아름다움을 살린 화면 속에 은은한 색감으로 오브제들을 설치해 전원의 아름다움과 평화로움을 느낄 수 있다. ☎031-775-5600.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미술창작스튜디오에서 1년 장기 입주작가, 아시아초청 작가, 3개월 단기 입주작가 등 작가 25명이 참여하는 오픈 스튜디오 행사가 18-20일 열린다.작가들의 작업실을 개방하고 활동 내용을 담은 다큐멘터리 필름도 상영된다. ☎02-995-0995. 출처-연합뉴스 8.13

K옥션 18일 온라인 경매 실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술품 전문 경매회사 K옥션이 18일부터 25일까지 홈페이지(www.k-auction.com)를 통해 온라인 경매를 실시한다. K옥션이 처음 실시하는 온라인 경매로 경매기간 중에 K옥션 홈페이지에 접속해 등록만 하면 회원이 아니라도 참여할 수 있다. 최종낙찰자는 25일 오후 6시에 결정되며, 즉시낙찰가를 제시하면 경합없이 바로 낙찰받는 방식도 도입된다.

경매 품목은 김상유의 10호 크기 유화 '무심정'(추정가 1천400만-1천800만원), 이대원의 10호 크기 유화 '못'(1천800만-3천만원) 등과 장욱진, 최영림, 안병석의 회화, 김환기의 종이작품 2점, 백남준의 오브제 회화, 앤디 워홀의 판화 등 모두 90점이다. 경매품목은 18-25일 사간동 K옥션 전시장에서 전시된다. ☎02-2287-3620.

출처-연합뉴스 8.11

불국사삼층석탑(석가탑) 보륜 탈락부분 긴급보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경주 불국사 경내에 있는 국보 제21호 불국사삼층석탑(일명 석가탑)의 상륜부 보륜(寶輪 : 탑의 꼭대기에 있는 장식) 상단의 귀꽃(隅花 : 석탑, 석등 등 부재 끝에 꽃무늬를 새긴 장식) 일부분이 탈락된 것을 확인하고 국립문화재연구소로 하여금 긴급 보수토록 조치하였다.

1966년 석가탑을 해체보수 할 때 보륜이상은 남아있지 않았으나 당시 전라북도 남원시 소재 실상사삼층석탑(實相寺三層石塔) 상륜부(相輪部)를 모방하여 보륜(4개)을 새로 제작하여 복원하였는데, 이번에 보륜의 귀꽃 1개소(약13cm)가 떨어져 나가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보존처리 관계 전문가로 하여금 접착보수토록 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불국사삼층석탑의 원형보전과 안전관리를 위하여 1985년부터 매년 정기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는바, 2003년 4월 경주석탑보수정비사업단을 별도로 구성하여 상시계측시스템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향후 관계전문가 및 문화재위원회의 심의와 자문을 받아 2008년까지 종합적인 보존대책을 마련하여 보수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출처-문화재청 홈페이지

『중국고대도성조사보고서』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중국 고대도성에 대한 국내 최초의 현지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에서는 국내 최초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5차에 걸쳐 중국 고대도성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물인 『중국고대도성조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중국 고대도성이 서울 풍납토성, 부여 사비도성, 경주 신라왕경 등 삼국시대 도성유적의 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동안 국내에 중국 고대도성에 대한 전문자료가 소개된 바 없었다. 이번에 국내 최초로 중국 고대도성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서가 발간됨으로써 폭넓은 시각에서 한국 고대도성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5차에 걸친 현지조사 내용과 함께 중국 고대도성에 대한 최근 발굴자료와 연구성과를 정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중국 동주(東周)시대부터 수·당(隋·唐)시대에 이르는 중요 고대도성유적 11개소에 대하여 입지, 성벽, 판축기법과 성문, 궁성, 건물지, 도성내부 절터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관련 도면과 원색사진을 수록하여 중국 고대도성의 구조 및 발전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보고서 말미에는 양국 관계전문가의 특별 논고 7편을 수록하여 중국 고대도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번 보고서에 수록된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연하도(燕下都), 정한고성(鄭韓故城), 노국고성(魯國故城)은 도성입지, 규모, 성벽판축 등에서 서울 풍납토성의 축조방법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수당시대(隋唐時代)의 장안성(長安城)과 낙양성(洛陽城)은 경주 신라왕경의 내부구조 및 도성제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학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연구소에서는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와 공동으로 중국 내몽고지역 소재 요대(遼代) 왕릉과 도성조사 등을 실시할 계획이며, 서울 풍납토성 등 관련유적 발굴성과에 따른 양국간의 고대도성을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출처-문화재청 홈페이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