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0

[2016.05.21] [주말 가볼만한 공연ㆍ전시] 연애의 온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랑에 대한 전시 '연애의 온도'. 서울미술관 제공


각기 다른 예술세계를 갖고 있는 작가들을 ‘사랑’이라는 주제로 엮은 전시 ‘연애의 온도’가 서울 부암동 서울미술관에서 열린다. 서울미술관은 사람들이 가장 친근하게 느끼는 대중가요를 회화, 조각, 전시 등 129점과 접목해 대중에게 보다 친근하게 다가가고자 했다. 설렘과 사랑, 이별로 이어지는 연애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세 구역으로 나눠 작품을 전시한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화가로도 잘 알려진 가수 나얼과 배우 하정우의 작품도 만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7월 31일까지.


- 한국일보 2016.05.21

[2016.05.21]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광주박물관장 송의정


- 경향신문, 서울신문, 연합뉴스 2016.05.21

- 한겨레신문 2016.05.23

[2016.05.21] 새책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열린 건축 니시자와 류에 | 한울

2010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저자의 건축 에세이다. 일본의 대표적 현대건축가인 저자가 자신의 건축 철학으로 얘기하는 ‘열린 건축’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건축, 거리와 관계하는 건축, 들어가기 쉽고 나오기 쉬운 건축”이다. 니시자와가 설계한 미국 뉴욕의 뉴뮤지엄, 일본 가나자와시 21세기미술관 등에 관한 이야기도 담겨 있다. 강연진 옮김. 1만9500원


▲美침…김미영 | 이채

빈센트 반 고흐와 프리다 칼로, 이중섭과 백남준, 중광, 최북 등 화가 10명의 삶을 1인칭 자서전적인 관점으로 그린 미술에세이다. ‘미침’은 이들 10명의 삶에서 찾은 공통점이기도 하다. 저자는 “그림에 미치고, 자신의 인생에 미쳤던 화가들, 그들의 삶에는 그림 같은, 때로는 그림보다 더 많은 이야기가 있다”며 작가들의 삶과 작품 이야기를 풀어낸다. 1만5000원


- 경향신문 2016.05.21




■색깔 효과(한스 페터 투른 지음, 열대림 펴냄)= 색깔이라는 주제에 대한 새로운, 그러나 늘 반복되는 의문에 대한 답을 알려준다. 색들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어느 색에 관한 우화, 빈곤과 죽음의 색으로 여겨지는 회색에 대한 고찰, 색에 대한 관용과 금기, 색의 사회학적 분류, 색의 이중적 기능, 노란 조끼를 즐겨 입었던 칸트 이야기를 예로 들며 색깔을 어떻게 연출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까지 색에 대해 우리가 궁금해 했던 것이 모든 것이 담겨 있다. 1만6,000원


- 서울경제 2016.05.21




오래된 아름다움(김치호 지음, 아트북스, 3만원)=저자는 경제학 교수로 고미술 전문가는 아니지만 25년 넘게 고미술에 매료돼 수집활동을 벌였다. 이런 면모가 자유롭고 애정 가득한 시각과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책은 고미술의 아름다움을 찾아 헤맨 여정에서 얻은 사유와 체험의 기록이자 고미술을 매개로 더 많은 사람들과 대화한 기록이다. 고미술이 무엇이며, 컬렉션은 어떠한 속성과 매력을 지니고 있는지, 한국미의 원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대답을 찾아간다.


- 세계일보 2016.05.21

[2016.05.20] 새책 : 발칙한 예술가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발칙한 예술가들


우리 안에 숨은 창조성에 날개를 달아주는 법. 대중을 사로잡은 비밀은 평범한 우리에게 없는 능력이 아니었다. 창조성을 어떻게 자극하고 키워내는지, 창조성이 어떻게 풍요로운 삶의 단초가 될 수 있는지 유명 예술가들 이야기를 통해 살핀다. <비비시> 아트 디렉터 윌 곰퍼츠 지음, 강나은 옮김/RHK·1만4000원.


- 한겨레신문 2016.05.20

[2016.05.20] 알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굿소사이어티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함께 새달 22일 오후2시 역사박물관에서 '87년 체제의 성과와 한계 : 국가발전의 틀을 모색함'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


- 한겨레신문 2016.05.2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