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가 오세영(사진) 화백이 5일 별세했다. 61세. 1955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86년 만화잡지 ‘만화광장’에 단편을 실으며 데뷔했다. 토속적이고 사실적인 그림체를 바탕으로 한 사회성 있는 작품을 주로 창작했으며 『부자의 그림일기』 『남생이』 『월북작가 순례기』 등을 남겼다. 2007년에는 고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을 극화한 『만화 토지』(1~7권)를 그려내 원작자인 박 선생의 극찬을 받기도 했다. 이런 공을 인정받아 대한민국출판 만화대상(99년), 고바우 만화상(2009년) 등을 받았다. 빈소는 경기도 용인 ‘평온의 숲’. 발인은 7일 오전 7시다. 031-329-5900.
- 한겨레신문,중앙일보,서울신문,경향신문 2016.05.07
- 부산일보 2016.05.08
1960~1980년대 한국 도시공간의 변천사를 담은 사진과 1980년대 이산가족 상봉을 다룬 사진으로 알려진 원로 사진작가 홍순태씨가 3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4세. 빈소는 서울 강동경희대병원에 마련됐고, 발인은 5일 오전 5시. (02)440-8921
- 경향신문 2016.05.05
⊙ 양혜규(설치미술 작가)씨는 최근 재개관한 독일 함부르크 쿤스트할레에서 개인전 <의사(擬似)-이교적 연쇄>를 내년 4월30일까지 연다. 짚풀 공예 연작을 중심으로 신작 17점을 선보인다.
-한겨레 2016.05.0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전(7월 24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난 30여년간 한국현대미술 속에서 미술의 언어로서의 사진매체가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는 자리다. 88서울올림픽 이후 해외여행 자유화 등 사회적 유연성이 확장되기 시작한 시기를 기점으로 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매체 확장작업도 왕성해졌다. 사진 매체에 대한 실험의 시작은 1980년대 개념미술(conceptual art) 작가들의 작품에서 시작되었다. 전시에서는 성능경의 첫 사진작업인 'S씨의 반평생'(1977)과 이승택이 1980년 초반에 시도한 '지구 위의 드로잉'(Drawing on Earth)을 대형 실사 출력한 사진작품이 소개된다. 박불똥의 포토몽타주 작업도 볼 수 있다. 대중문화 속의 사진 매체를 조명하기 위해 패션사진 특별전도 함께 선보인다. (02)3701-9500
리우 웨이 전(8월 14일까지 플라토 미술관)
2000년대 부상한 중국의 차세대 대표작가. 서구의 시각에 길들여진 중국의 이미지에 반대해 온 작가는 자기 반성적 시각으로 중국사회를 바라보는 작업을 통해 중국의 급격한 정치·사회·문화적 변화와 그로 인해 사라져 가는 것들을 작품 소재로 삼고 있다.도시의 이미지를 색으로 단순화 시킨 신작 '파노라마'도 볼 수 있다. (02)2014-6550
- 세계일보 2016.05.06
한국기독교서예협회(회장 홍덕선 장로)는 ‘제8회 대한민국 기독교서예전람회’ 작품을 공모한다. 부문은 서예(한문·한글), 문인화다. 내용은 기독교적이어야 하며, 미발표된 작품으로 사회적 통념과 미풍양속에 부합해야 한다. 작품규격은 전지(70×135㎝). 국적 관계없이 국내외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1인 3점 이내 미표구 상태로 출품하면 된다.
접수는 7월 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접수처는 백악미술관(서울 종로구 인사동9길 16)이며 출품료는 5만원. 대상 1명과 우수상 2명에게는 각각 100만원, 50만원의 상금을, 특선과 입선자에게는 상장이 수여된다. 심사 발표는 7월 12일이다. 수상작은 8월 4∼9일 백악미술관에서 전시된다(02-2642-1495).
- 국민일보 2016.05.05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