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09

[2016.01.28] [문화마당]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위대한 ‘예술경영자’ 셰익스피어/정재왈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올해는 영국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 서거 400주년이 되는 해다. 세계 곳곳의 극장과 극단들은 앞다투어 기념행사를 열고 있다. 우리 국립극단도 그의 말년 작품에 속하는 ‘겨울이야기’로 한 해를 시작했다. 극작가로서 셰익스피어의 위대성은 필설로 다 설명하기 어렵다. “어떤 사람도 현대인을 셰익스피어처럼 잘 그려 내지 못한다.” 국립극단 김윤철 예술감독이 설파하듯 인간의 욕망과 심리에 대한 통찰은 대단한 것이어서 동서고금을 통해 ‘영원히’(timeless) 현존하는 이유다. 역사가 토머스 칼라일은 “셰익스피어는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는 그 유명한 말로 영국의 국부(國富)적인 가치를 부여했다.

셰익스피어는 빼어난 지략과 강인한 리더십으로 영국을 강성 제국으로 만든 16세기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인물이다. 셰익스피어 외에 벤 존슨, 크리스토프 말로 등 극작가와 시인 에드먼드 스펜서, 사상가 프랜시스 베이컨 등 빼어난 문인들이 많이 등장해 영국의 르네상스가 꽃을 피운 시기다. 특히 연극을 좋아한 여왕은 배우들을 수시로 왕궁으로 초대했고 직접 관람도 즐겼다. 로즈극장을 무대로 펼쳐지는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를 보면 이런 행적이 잘 담겨 있다.

연극에 대한 절대군주의 애정은 셰익스피어에겐 주마가편이었다. 하지만 나중 극작가로서 인정을 받아 귀족과 서민의 중간 계급에 해당하는 ‘젠틀맨’이 된 그의 진면목은 다른 데서도 찾을 수 있다. 여기에서 ‘예술경영자 셰익스피어’를 부각하고 싶다. 그는 위대한 극작가 이전에 냉철한 현실주의자요 대중주의자였다.

첫째, 그는 대중 취향을 꿰뚫는 예민한 기획자였다. ‘오셀로’와 ‘맥베스’, ‘리어왕’ 등 궁중을 무대로 한 대표작들은 당시 튜더 왕조의 신물 난 권력 쟁투를 들여다보는 거울이었다. 서민들은 이 거울로 드러난 권력과 욕망의 허망함을 조롱하며 즐겼다. 당대 관점에서 보면 셰익스피어는 철저한 대중 통속 극작가였다. 불세출의 위대성은 오히려 후대가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그는 빼어난 극장 경영 전문가였다. 엘리자베스 시대 런던 외곽 템스 강변엔 공공극장들이 속속 들어섰고 이곳이 서민 대중 연극의 발신지였다. 셰익스피어는 글로브 극장을 근거지로 활동하면서 극장 붐을 이끌었다. 귀족들은 게으름과 전염병의 온상이라며 이곳의 연극을 경멸했으나 엘리자베스 여왕은 이를 그들을 견제하는 지렛대로 삼았다. 셰익스피어는 이런 관계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이용했다.

셋째, 그는 이재에 밝은 투자자이자 현장 전문가였다. 공연이 있는 날 셰익스피어는 극장 문 앞에서 일일이 관객의 표를 확인하던 수표인을 자처했으며, 주식회사 형태의 극장과 극단의 주주로서 수익 배분에도 철저해 나중에 큰돈을 벌었다. 너무 셈이 지나치다 보니 말년에는 수시로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

이런 셰익스피어를 보면 결국 그의 위대한 작품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란 생각에 이르게 된다. 그 자신이 선과 악, 성스러움과 세속적인 것을 두루 한 몸에 담고 있었으므로 인간의 원초적 속성을 냉혹하게, 절절하게 파고들 수 있지 않았을까. 그런 가식 없는 진정성으로 인해 시대를 초월해 사랑받고 있는 것이다. 이는 예술 작품을 평가하는 당대의 일방적 시각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이기도 하다. 예술에 터무니없는 급을 두어, 흔히 대중예술을 폄하하는 우리 사회의 편견도 그 일방적 시각의 하나란 교훈을 셰익스피어를 통해 얻는다. 그는 심지어 치밀한 장사꾼이기도 했던 것이다.


- 서울신문 2016.01.28

[2016.01.27] 부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호상(인천항업 회장)씨 별세ㆍ승정(인천항업 이사)씨 부친상ㆍ홍문기(한세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씨 장인상=26일 낮12시 분당서울대병원 발인 28일 오전8시 (031)787-1512


-한국일보 2016.01.27

[2016.01.27]2가지였던 무형문화재 7가지 분야로 확대된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올해 무형문화재 관련 제도가 대폭 확충된다.
 
문화재청은 26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2016년 주요업무계획을 설명하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오는 3월 28일 발효됨에 따라 ‘기능’ ‘예능’ 2가지였던 무형문화재 범주를 7가지로 확대하고, ‘전통지식’ ‘생활관습’ ‘구전전통 및 표현’ 등 새로 생겨난 분야에서 무형문화재를 집중 지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화재위원회와 별도로 무형문화재위원회도 설치된다.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규제도 풀린다. 현재 서울시 면적의 4배에 해당하는 2400㎢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으로 설정돼 각종 규제를 받고 있는데, 문화재청은 올해 말까지 이 지역에 대한 500여건의 규제를 손질해 전체 보존지역의 30% 정도가 규제 완화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2016.01.27

[2016.01.27]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인사] 연세대 ▲ 학술정보원장 이정우


- 매일경제, 한국일보 2016.01.27


[2016.01.26] 부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명화씨 별세, 옥철(안그래픽 대표) 부친상〓2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02)3410-6902


- 매일경제 2016.01.26

- 한국일보 2016.01.27


△박휴창 순천박씨중앙종친회8대회장 별세, 박성훈재능그룹회장·지훈학교법인재능학원사무처장·철훈재능유통상무·상훈의사 부친상, 안순모재능문화센터관장 시부상, 박종우재능교육대표이사 조부상 = 25일 21시28분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5시 02-3410-6929


△김영도씨 별세, 김한전외환은행부장·성수전현대건설부장·철영동통증클리닉원장·경빈중앙일보사진부차장 부친상, 구희성전서남대총장·강종일코맥스무역대표 장인상 = 25일 18시 광주역장례식장. 발인 27일 8시 062-264-4444


- 문화일보 2016.01.2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