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비디오아티스트 백남준(1932∼2006·사진)의 삶을 보여주는 ‘백남준기념관’이 10주기를 맞아 유년시절을 보낸 서울 종로구 창신동 생가 터에 들어선다.
서울시립미술관은 백남준기념관이 백남준의 생일인 7월 20일에 맞춰 개관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백남준의 생가 터 주소는 창신동 197-33번지다. 생전 살던 집은 1950년대에 헐렸고 이 자리에는 붉은색 벽돌의 개량 한옥이 들어서 음식점 등으로 사용됐다. 서울시는 여기에 기념관을 짓기로 하고 지난해 8월 이 건물과 부지(154㎡)를 약 10억원에 매입해 내·외부 리모델링 작업을 해왔다.
김홍희 관장은 “백남준기념관은 그의 작품을 기획·전시하는 경기도 용인의 백남준기념센터와 성격을 달리할 것”이라며 “구술자료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독일에서의 플럭서스 활동 등 예술가로서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꾸며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백남준기념관은 서울시가 소유하고 서울시립미술관이 운영을 맡는다. 부유한 포목상의 막내아들로 태어난 백남준은 18세까지 창신동에 살다가 홍콩으로 유학을 갔다.
-국민일보 2016.01.19
국립공주박물관은 백제 금속공예의 뛰어난 상감기법을 보여주는 ‘한국의 고대 상감: 큰 칼에 아로새긴 최고의 기술’ 특별전을 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선 천안 용원리 출토 ‘용봉무늬 고리자루칼’과 공주 송산리 29호분 출토 ‘금상감 고리자루칼’ 등 유물 70점을 선보인다. ‘용봉무늬 고리자루칼’은 봉황의 머리와 용의 몸을 함께 표현해 5세기 백제의 화려한 금속공예를 엿볼 수 있다. 백제 상감기법과 낙랑에서 출토된 상감 유물을 비교하는 전시도 마련됐다. 다음 달 28일까지. 041-850-6362
-동아일보 2016.01.19
개인전 ‘멋의 맛’을 열고 있던 조각가 조성묵 씨가 18일 오전 폐기종으로 향년 76세로 별세했다. 이 전시는 예정대로 6월 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02-2188-6000)에서 계속된다. 의자의 형상을 변용한 ‘메신저’, 발포 우레탄을 불꽃에 그슬려 제작한 ‘빵의 진화’(사진) 연작 등 대표작 90여 점을 선보인다. 원로 예술가를 재조명하는 현대미술작가 시리즈 13번째 기획전으로 지난해 12월 1일 시작했다. 대전에서 출생한 조씨는 홍익대 조소과에서 수학했고 1960년 국전에서 특선을 수상한 후 한국 현대조각의 전위적인 흐름을 이끌어 왔다. 유족은 화가인 부인 하호숙(69), 아들 용진(46)·항진(41)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적십자병원(02-2002-8444), 발인은 20일 오전 6시.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국경제, 서울신문, 경향신문 2016.01.19
안산문화재단 대표이사로 강창일 전 오산문화재단 상임이사가 취임했다.
강창일 대표는 18일 오전 제종길 이사장(안산시장)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재단의 대표이사로서의 공식적인 업무를 시작했다.
강 신임 대표는 국립중앙극장 공연운영과 근무를 비롯해 A&C코오롱/문화예술TV 편성제작국 문화사업팀 제작PD(부국장), 고양문화재단 문예감독·사업본부장, 오산문화재단 상임이사(대표) 등을 역임했다.
강 대표는 특별한 취임행사는 생략하고 실무적으로 부서별 직원들과 인사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 경기일보 2016.01.19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