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2

[2015.09.23][미술단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김남용 씨의 개인전 ‘차이’가 10월 2일까지 서울 종로구 본화랑에서 열린다. 자작나무 합판으로 백색 배경을 만든 뒤 나뭇결과 빛깔의 원근감을 감안해 잘라낸 소나무 조각을 짜 맞춰 평면 위에서 입체 상자를 표현한 유리잔 그림 연작을 선보인다. 02-732-2366 

[2015.09.22] 바디프랜드, iF와 함께 디자인상 만든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디자인 프라이즈' 공모전헬스케어 전문기업 바디프랜드가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꼽히는 독일 iF 운영기관과 손잡고 글로벌 디자인상을 신설했다.


▲ 21일 바디프랜드 박상현(왼쪽) 대표와 독일 iF의 랄프 비그만 회장이 ‘바디프랜드 디자인 프라이즈(prize)’ 신설계획을 발표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김연정 객원기자바디프랜드 박상현 대표는 21일 서울 역삼동 본사에서 iF의 랄프 비그만(Wiegmann) 회장과 협약식을 맺고 '바디프랜드 디자인 프라이즈(prize)' 신설계획을 밝혔다. 전 세계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아이디어를 받아 실제 제품 양산(量産)·판매까지 지원하는 공모전이다.


총 상금은 1억원으로 국내 및 해외 디자인 전공 대학생 혹은 최근 2년 내 졸업자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모 분야는 건강·웰빙·미용 등과 관련한 제품, 앱·웹사이트·광고, 매장 인테리어 등과 관련한 디자인이다. 1, 2등 수상자에겐 제품 양산과 디자인 인턴십 기회를 제공한다. 다음 달 5일부터 내년 2월 11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 박순찬 기자



- 조선일보 2015.09.22



 


[2015.09.21] 김시습 탄생 580주년 전시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소종섭 매월당김시습기념사업회장은 오는 30일까지 서울 강서구 가양동 겸재정선미술관에서 ‘매월당 김시습, 겸재 정선을 만나다’ 전시회를 연다. 김시습 탄생 580주년을 기념한 이번 전시회는 서용선 전 서울대 미대 교수의 회화 작품을 비롯한 서예, 전각작품 50여 점을 선보인다. 02-2659-2206


-문화일보 2015.09.21

-매일경제 2015.09.23

[2015.09.21] 문화 소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생(生)의 고백, 춤의 기억' 아카이브 전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은 내년 1월 30일까지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아카이브 전시 '생(生)의 고백, 춤의 기억'을 연다. 궁중무용가 김천흥, 전통무용가 김수악, 현대무용가 정무연과 한국무용가 김백봉, 메리 조 프레슬리 등 무용가가 남긴 구술 기록을 통해 한국 고유의 춤 기억술, 구전심수(口傳心授·입으로 전하고 마음으로 가르침) 정신을 되살리자는 취지다. 다섯 무용가가 쓰던 소품과 육필원고 등의 자료가 전시된다. (02)760-4737


서양화가 김승의 개인展

불가리아 대사를 지낸 서양화가 김승의(70·한국국제교류재단 전 이사)씨가 23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 갤러리에서 6번째 개인전 '김승의 개인전'을 연다. 외교관으로 불가리아, 포르투갈, 독일, 콩고 등지에서 활동하며 얻은 이국적 영감을 화폭에 옮긴 유화 작품이 전시된다. (02)2105-8190


-조선일보 2015.09.21

[2015.09.21] 내달 25일까지 청주 공예비엔날레… 45개국 참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충북 청주시는 지난 16일 옛 청주연초제조창에서 '확장과 공존(HANDS+)'을 주제로 201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를 개막, 오는 10월 25일까지 행사를 이어간다.

올해 비엔날레에는 45개국 2000여 명의 작가가 다양한 주제와 차별화된 아이템으로 만든 작품 7500여 점으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한국·일본·미국·영국 등 12개국 46개 팀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열고,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철학자인 알랭 드 보통은 특별전의 예술감독을 맡아 국내 젊은 작가 15명과 함께 창작한 작품을 선보인다. 중국 공예 명인들의 도자 작품 50여 점과 비디오아트 창시자인 고 백남준의 초대형 작품도 만나볼 수 있다.


-조선일보 2015.09.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