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09

[2015.09.01] 알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갤러리 숨은 지역을 넘는 소통의 기회를 갖고자 2~8일 서울 인사아트센터 JMA스페이스에서 ‘플랫폼(전주-서울)’을 기획, 전시한다. 이 전시회에는 14명의 전북 대표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된다. (063)220-0177.


- 한겨레신문 2015.09.01

[2015.08.31]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문화관광연구원◇승진 

▷선임연구위원 관광정책연구실 류광훈 

▷연구위원 문화예술연구실 문화기획·평가센터 양혜원

▷부연구위원 문화산업연구실 이용관

▷부연구위원 융합연구실 여가·민투센터 조광호.


- 이데일리 2015.08.31

- 세계일보, 국민일보, 서울경제, 매일경제 2015.09.01



■경성대학교  ▲문화홍보처장 겸 박물관장 양영철


- 매일경제 2015.09.01




■서울여자대학교  ▲박물관장 김정한


- 매일경제 2015.09.01


[2015.08.31] 조각가 고정수 개인전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인사동의 노화랑은 9월 2일부터 22일까지 조각가 고정수 개인전을 개최한다. 그동안 지극히 인간적이고 모성에 충만한 여인의 모습을 즐겨 조각해 온 작가는 이번 전시에 2014년부터 발표하기 시작한 ‘곰’을 주제로 한 작품(사진)들을 선보인다. 작가는 의인화된 곰 작품이 상처를 받은 사람에게 치유의 도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고 작가는 1966년 홍익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돌과 쇠와 망치와 정을 친구삼아 살아오는 불도저 같은 예술가의 삶을 살고 있다. 02-732-3558


리움 ‘세밀가귀’전 청소년 무료


삼성미술관 리움은 한국미술의 ‘세밀함’과 ‘정교함’을 조명한 ‘세밀가귀(細密可貴), 한국미술의 품격’ 전의 전시 종료일(9월 13일)까지 초, 중, 고, 대학(원) 재학생에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다. 또 청소년 동반 성인에게는 50% 할인된 4000원만 받는다. 전시는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국보 21점과 보물 26점 등 140여 점으로 구성됐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지에서 대여한 국보급 작품 40여 점이 포함되었다. 전 세계에 17점 정도밖에 없는 고려 나전 8점도 볼 수 있다. 02-2014-6900


- 문화일보 2015.08.31

[2015.08.31] [문화필통] 국악박물관 '국악, 박물관에 깃들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전시 

◇국악박물관 '국악, 박물관에 깃들다'
 

국립국악원은 10월 11일까지 국악박물관에서 개관 20주년 특별전 '국악, 박물관에 깃들다'를 진행한다. 국악박물관을 비롯해 국립대구박물관, 경북대박물관 등 주요 박물관에 소장 중인 국악 관련 유물 40여 점을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02)580-3130. 


-서울경제 2015.08.31

[2015.08.29] ‘큐레이터의 대모’ 박래경씨 팔순 기념 세미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의 1세대 큐레이터인 박래경 한국큐레이터협회 명예회장의 팔순기념세미나와 논총 봉정식이 29일 오후 3시 서울 대학로 서울문화재단 대학로다목적실에서 열린다.

박 명예회장은 대구 출신으로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독정부학술교류처(DAAD) 장학생으로 뮌헨대에서 미술사를 수학했다. 이후 한양대에서 응용미술학 박사학위를 받고, 세종대(전 수도여자사범대) 교수를 거쳐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사·학예실장을 지냈다. 미술관 등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독일현대조각’전(1987), ‘바우하우스’전(1989), ‘한국 해학의 현대적 변용’전(1998), ‘태극-순환 반전의 고리’ 전(2010) 등의 전시들을 기획했다. 미술관 퇴임 뒤에는 한국문화교류연구회 대표와 2007년 한국큐레이터협회 초대회장 등을 맡아 연구자, 실무자들의 교류에 힘써왔다.

이번 팔순기념세미나와 논총봉정식은 그를 따르는 후학들이 모여 올해초부터 준비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 한국전쟁, 산업화와 민주화, 문화다양성의 시대로 이어지는 현재까지 ‘큐레이터들의 대모’로 꾸준히 활동해온 박 회장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는 자리다. 세미나에서는 ‘한국현대미술사와 큐레이팅의 현장’을 주제로 김준기, 김종길, 양정애, 김동일씨 등 후배 기획자와 평론가들이 글을 발표한다. 세미나에 이어 이날 오후 5시부터 기념논총 봉정식도 열린다. (010)9263-7897.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한겨레 2015.08.2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