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09

[2015.07.27] 세종로 '역사문화공간' 공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시는 국내외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세종대로 일대에 '역사문화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마스터플랜을 설계 공모한다. 공모에는 국내외 건축과 조경, 도시설계 등 관련 분야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다. 공모기간은 27일부터 9월 25일까지. 1등작에는 실시설계권이 주어진다.


-한국일보, 매일경제 2015.07.27

[2015.07.27] 이번주엔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른살’ 동네목욕탕이 전시장으로

30여년 묵은 서울 변두리 동네목욕탕이 전시장으로 깜짝 변신한다. 8월1~5일 양천구 목2동 영진목욕탕의 남탕·여탕 공간에서 펼쳐지는 젊은 작가 도저킴, 최석영씨의 동네 수집품 난장이다. 동네 주민들 얼굴과 사는 방을 찍은 사진, 이들이 쓰는 물품이 출품작들로 등장한다. (02)2642-5361.



의외의 즐거움 ‘미술관 콘서트’

‘헨릭 빕스코브- 패션과 예술, 경계를 허무는 아티스트’ 전시를 진행중인 대림미술관은 매주 토요일 야간 개관에 맞춰 ‘썸머 브리즈 콘서트’를 연다. 8월1일엔 3호선 버터플라이(사진)가, 8일에는 밴드 크랜필드가 나선다. 입장권은 온라인 인터파크로 예매하거나 당일 미술관에서 현장구매할 수 있다. (02)796-8166.


- 한겨레신문 2015.07.27

[2015.07.27] 알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전남 진도군은 27일부터 새달 16일까지 운림산방, 남도전통미술관, 소전미술관, 해양생태관 등의 개방 시간을 유관없이 저녁 7시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 한겨레신문 2015.07.27



◇ 상명대 박물관은 23일 부천문화재단 유럽자기박물관과 전시, 학술, 연구 등을 위한 상호업무협약을 맺었다.


- 한겨레신문 2015.07.27




[2015.07.27][문화필통] 이천 세라피아 '쉼, 흙길 걷다'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전시 

◇이천 세라피아 '쉼, 흙길 걷다'
 

한국도자재단은 경기도 이천 세라피아 세계도자센터에서 국립민속박물관과의 공동 기획전 '쉼, 흙길 걷다'를 오는 9월30일까지 연다. '쉼'을 찾아 자연을 거닐며 벗의 집으로 향하는 새벽부터 밤까지의 여정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쉼으로의 여행' '아침 숲 산책' '오후의 초대' '달빛 서정' 순으로 옛 생활 유물들과 현대 도자작품 들 100여점을 선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kocef.org)에서. 

◇국립현대미술관, 7월 '문화가 있는 날'  

국립현대미술관은 오는 29일 '7월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과천관과 서울관에서 문화행사를 연다. 과천관은 오후 3시 '최승천-시간의 풍경' 전시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열고, 오후 5시에는 음악회 '클래식 음악이 흐르는 미술관'에서 소나레 트리오의 아름다운 협주를 선보인다. 서울관에서는 오후 6시 30분~7시 20분 멀티프로젝트홀에서 중요무형문화재 제16호 거문고 산조 이수자 허윤정이 '허윤정의 거문고자리' 음악회에서 전통음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신작들을 연주한다.


-서울경제 2015.07.27

[2015.07.27]백남준의 '예술적 동반자' 부인 구보타 여사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세계적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1932~2006)의 부인 구보타 시게코(사진)씨가 미국 뉴욕의 한 병원에서 23일 저녁(현지시간) 별세했다. 향년 78세. 

경기도 용인에 있는 백남준아트센터 측은 26일 '생전의 백남준 선생과 작품활동을 함께했던 작가 등으로부터 구보타씨가 현지 병원에서 사망했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암 투병을 하던 구보타씨의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전해 들었다'고 밝혔다. 

도쿄교육대학에서 조각을 전공하고 국제적 전위예술 운동 ‘플럭서스’에 관여했던 고인은 자신 역시 비디오 아티스트로서 백남준의 예술적 동반자였다. 1963년 도쿄 소게쓰 회관에서 퍼포먼스를 하던 백남준을 처음 만난 그는 백남준을 따라 뉴욕으로 날아갔고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함께한 끝에 1977년 결혼에 성공했다. 


이후 도쿄와 뉴욕 현대미술관, 휘트니미술관 등에서 자신의 작품을 선보였다. 1996년 백남준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에는 자신의 예술 활동을 포기하고 남편을 돌봤다. 백남준 사후에도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 2010년에는 회고록 ‘나의 사랑, 백남준’을 출간하기도 했다.


-서울경제, 서울신문2015.07.2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