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학술/행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국내 창작스튜디오 기관 토론회, 경기도미술관

  • 일시2009-03-27 00:00:00
루트 앤 루트 Root & Route

● 취지
- 경기창작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
- 국내 창작스튜디오들 간의 연합과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네트워크 조성
- 국내 창작스튜디오의 운영현황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발전적인 운영 방향 수립

․ 경기도미술관(관장 김홍희)은 2009년 10월 경기창작센터 개관에 앞서 동 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타기관과의 네트워킹을 도모하기 위해 3월 27일(금)에 국 내 창작스튜디오 기관 간담회를 개최한다.

․ 안산시 단원구 선감도에 위치한 (구)경기도립직업전문학교를 리모델링한 경기창작센터는 국내외 작가들을 위한 창작과 연구의 공간, 활발한 국제 교류의 장, 다장르의 문화예술이 공존하는 복합문화센터로서 그 설립취지를 갖는다. 경기창작센터는 시각예술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 작가들의 창작활동과 비평가, 큐레이터, 이론가들의 연구활동을 통해 통섭적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한편, 레지던시/스튜디오, 교육, 작품창고, 예술공방. 국제 섬머 페스티벌 등 차별화되고 경쟁력있는 프로그램으로 경기도의 대표적 문화브랜드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적 창작센터로서 자리잡고자 한다.

․ 이번 토론회는 국내 창작스튜디오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과 제도적 방안을 논의하고 21세기 한국 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위한 자리로, 이를 통해 국내 창작스튜디오의 뿌리(Root)를 공고히 하고 국제적으로 뻗어나갈 길(Route)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국내 창작 스튜디오의 역사가 10년을 넘은 시점에서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작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미술계 내 자성의 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한 창작 스튜디오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몇 번의 시도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협의체가 존재하지 않아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경기창작센터는 한국미술의 실정에 맞는 한국 창작스튜디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과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본격적인 토론의 장을 마련한다.

■ 국내 창작스튜디오 기관 토론회 개요

□ 일시: 2009년 3월 27일 금요일
□ 시간: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 장소: 경기도미술관 강당
□ 형식: 발제 및 종합토론
□ 주제: 1. 국내 창작 스튜디오의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과 방안
2. 한국형 창작 스튜디오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 발제자: 심규환(고양 창작 스튜디오 프로그램 매니저)
백기영(대구문화창조발전소(가칭) 자문위원)
서진석(대안공간 루프 디렉터)
박찬응(스톤 앤 워터 디렉터)
□ 질의자: 홍순명(작가)
김희진(인사미술공간 큐레이터)
김윤환(서울문화재단 창작추진단 단장)
□ 주최: 경기도미술관 경기창작센터

■ 국내 창작스튜디오 기관 토론회 주제 및 발제자

□ Session 1: 국내 창작 스튜디오의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과 방안
① 국내 창작 스튜디오 네트워크의 부재요인과 필요성 및 협의체 구축을 위한 제도적 방안
- 발표자: 심규환
□ Session 2: 한국형 창작 스튜디오의 새로운 패러다임
② 창작스튜디오의 프로그램 현황과 문제점 극복을 위한 가능성 제안:
프로젝트형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발표: 백기영
③ 21세기 변화하는 현대미술 구조 속의 새로운 창작스튜디오
- 발표: 서진석
④ 한국 창작 스튜디오를 위한 대안적 프로그램의 제안:
유목적 레지던시 프로그램
- 발표: 박찬응

■ 발제자 약력

1. 심규환_국립 고양 창작스튜디오 프로그램매니저
<학력>
호주 RMIT University 미술학 (MFA) 석사
호주 RMIT University 미술학 (BFA) 전공
<주요 경력>
- 2004~현재 국립 고양 창작스튜디오 프로그램 매니저
- 2009 국립현대미술관 40주년 기념 기획전과 창작 스튜디오와의 연계 프로그램 준비 중

2. 백기영_대구문화창조발전소(가칭) 자문위원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디렉터
<학력>
독일 뮌스터 쿤스트 아카데미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 전공
<주요 전시경력>
1. 주요 개인전
- 2004 생명의 땅 프로젝트, 진흥아트홀, 서울
- 2003 정원&이주 프로젝트, 조흥갤러리, 서울
2. 주요 단체전
- 2005 APAP 안양 공공미술 프로젝트, 안양
- 2004 광주비엔날레
- 2002 예술공간 작은정원 2002, 작은정원협회, 뮌스터
3. 전시기획
- 2005 씨알+CR 비닐하우스 아카데미전, 갤러리 175, 서울
- 2004 안양천 프로젝트 F.L.O.W, 예술감독
- 2004 Light(明) & Darkness(暗) / 빛 예술전, 대전 문화예술의 전당, 대전

3. 서진석_대안공간 루프 디렉터 경원대학교 겸임교수
<학력>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석사
경원대학교 응용미술 전공
<주요 전시기획>
- 2009 Move on Asia 2009, 대안공간 루프, 서울
- 2008 확장된 감각: 한일 미디어아트 교류전, ICC, 일본, 대안공간 루프, 서울
- 2007 Circuit Diagram, 갤러리 Cell, 런던, 송원아트센터, 서울
- 2003 Out the Window, Japan Foundation, 일본
- 2002 광주비엔날레: Project 1, 광주

4. 박찬응_보충대리공간 스톤 앤 워터 관장
<학력>
세종대학교 회화 전공

<주요 전시기획>
- 2008 석수아트 프로젝트, 스톤 앤 워터, 안양
- 2005 안양천 프로젝트: Flow, 스톤 앤 워터, 안양
- 2003 리바이벌, 스톤 앤 워터, 안양
- 2002 리빙 퍼니처 & 퍼블릭 퍼니처, 스톤 앤 워터, 안양
이전글 목록 다음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