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학술/행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구소 제1회 심포지움

  • 일시2009-09-04 00:00:00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구소 제1회 심포지움

전통담론 구성의 역사
‣ 일시 : 2009년 9월 11일(금요일) 오후 1:30
‣ 장소 : 한국전통문화연수원 대강당
‣ 주관 :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구소

▌모시는 글

안녕하십니까?
더위가 한창입니다. 저희 전통문화연구소에서는 “전통담론 구성의 역사”라는 주제로 심포지움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담론으로서의 전통 논의가 어떠한 시대적 배경에서 ‘창조’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 심포지움을 통해 답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전통 논의가 보다 생산적인 전망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구소가 주관하는 이번 심포지움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여러분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뵈올 때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구소장 최 공 호


사회 : 이선(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1] 개회사 최공호(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구소장)

[2] 축사

[3] 발표자 및 토론자 소개

[4] 발표
1. 한국 근대가 세운 전통 표상 : 왕인(王仁)과 장보고(張保皐)의 경우
임형택(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2. 1900년대 초반 신채호의 ‘민족’, ‘국수’ 개념의 계보와 지역적 맥락
박노자(오슬로대학교 교수)
3. 조선조 성 풍속 담론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홍명희의 <임꺽정>을 중심으로
고미숙(고전평론가)
4. 한국전통미술 재발견의 의미: 1960~70년대를 중심으로
조인수(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5. 전통담론의 해체와 전망
진경환(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5] 종합 토론
좌장 : 유영대(고려대학교 교수)

최영성(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이혜경(서울대학교 HK 연구교수), 김풍기(강원대학교 교수), 박계리(한국전통문화학교 강사), 황정산(대전대학교 교수)

[6] 만 찬

▀ 심포지움이 끝난 후, 교내 유현당[한옥]에서 일박을 하고, 12일(토) 오전에는 부여 일대를 탐방할 예정입니다. 숙박 및 탐방에 참여하실 선생님들께서는 미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목록 다음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