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덕수궁과 KBS이산가족찾기 영상 등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키로 했다.
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는 6일 덕수궁과 KBS이산가족찾기 영상, 주한미군부지 등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과 기록유산 등재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자료조사 및 관련기관과의 협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시는 덕수궁의 경우 19세기~20세기 말 조선시대의 전통미와 석조전의 현대미가 조화돼 문화의 융합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크다고 보고 있다. KBS가 1983년 6월 30일부터 11월 14일까지 453시간 45분 동안 생방송으로 방영한 KBS이산가족찾기 영상은 전쟁과 분단의 아픔을 보여주는 독창성 있는 기록물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이 외에도 ▲한성백제유적(풍납ㆍ몽촌토성) ▲관우신앙공간(동관왕묘) ▲정동 근대유산(프랑스ㆍ러시아ㆍ영국 공사관, 성공회 성당, 이화ㆍ배제 학당 등) 등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연등회 ▲발우공양 등은 세계무형유산으로, ▲동양 최고(最古)의 세계지도인'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일본 소재)는 세계기록유산으로 함께 등재를 추진키로 했다.
시는 9월까지 후보군에 대한 기초 조사 및 자료집을 발간한 뒤 10월 학술조사를 통해 등재 세부 로드맵 수립 및 관련 예산을 반영할 방침이다.
-한국일보 2013.03.07
멕시코 출신의 세계적 건축가 리카르도 레고레타의 유작인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Casa Del Agua)'가 결국 철거됐다.
서귀포시는 6일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위치한 '카사 델 아구아'에 대해 행정대집행 영장을 통보하고 곧바로 철거에 들어갔다. 스페인어로 '물의 집'이란 뜻인 카사 델 아구아는 지난 2009년 3월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 부속 호텔인 '앵커 호텔' 모델하우스로 지어졌다. 2층 건물인 '카사 델 아구아'의 전체 면적은 1279㎡이며 1층은 사무실 겸 갤러리로, 2층은 모델하우스로 사용됐다.
카사 델 아구아는 건축학계에서 가치를 인정받는 건물이지만, 가설 건축물로 지어져 존치 기한이 끝나면서 철거 여부를 놓고 논란이 계속됐다. 제주도는 철거를, 건축학계·제주도의회는 유지를 주장해 왔다.
제주도는 이 건물을 철거하는 대신 설계도 원본을 토대로 다른 곳에 원형 그대로 건물을 복원해 미술관 등 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레고레타는 세계 곳곳에서 예술적 건물을 60여개 설계해 전미건축가협회 금메달, 국제건축가연맹상 등을 받았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 심사위원을 10년 넘게 맡은 건축가다.
- 조선일보 2013.03.07
허영만(67) 화백이 ‘2013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 명예홍보대사에 위촉된다. 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조직위원회는 오는 8일 허 화백에게 명예홍보대사 위촉패를 전달할 예정이다.
조직위는 허 화백이 3월 중순부터 연재할 예정인 모바일 만화 ‘허허 동의보감’이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산청엑스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 명예홍보대사 위촉을 추진해왔다. 허 화백은 “16개월 이상 ‘동의보감’을 공부하면서 우리 한의학의 우수성을 많이 알게 됐다”며 “많은 사람들이 산청엑스포 행사장을 찾도록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 문화일보 2013.03.06
연세대는 제19회 용재학술상 수상자로 안휘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을, 용재석좌교수로 김광억 서울대 명예교수를 각각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용재상은 연세대 초대 총장인 용재 백낙준의 업적을 기리고자 제정된 상이다. 시상식은 8일 오후 4시 연세대 신촌캠퍼스 루스채플에서 열린다. - 문화일보 2013.03.06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지난해 말 시행된 예술인복지법에 따라 5일부터 예술인 취업지원교육과 창작준비금 지원 사업 대상자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취업지원교육은 고용보험 가입이 어려운 예술인의 고용안정과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것으로 2, 3개월 동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참여 예술인에게 훈련수당으로 월 20만원을 지급한다. 프로그램은 청년예술인 1인 창조기획자 양성, 중견예술인 역량강화 교육, 예술매개 사회갈등 조정자 양성, 장애예술인 사회희망 세우기, 수요자 맞춤 설계 교육 등이며 올 한해 2,350명에게 지원한다.
창작준비금지원 사업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예술인의 직업 활동을 보호하고 예술창작을 활성화하기 위해 5, 6개월 예술을 활용한 사회공헌 활동을 하면 월 45만~60만원의 창작준비금을 지원한다. 올해는 42억원의 예산을 들여 1,180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참여를 원하는 예술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운영하는 인터넷의 예술활동증명시스템(kawf.kr)을 통해 예술활동증명 등록을 마친 뒤 원하는 사업에 신청하면 된다.
-한국일보 2013.03.06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