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비엔날레재단은 ‘2013년 광주폴리’ 운영 업무를 담당할 기간제 근로자를 채용한다.
모집 인원은 3명으로 선발되면 1년간 광주폴리에 대한 홍보 프로그램 개발·이벤트 기획, 국내외 폴리 투어 및 견학 업무, 시설물 순찰, 안전점검, 훼손방지 활동 등 유지 관리를 맡게 된다.
원서 접수는 24일부터 26일까지로, 서류 전형 및 면접을 거쳐 28일 합격자를 발표한다. 문의 062-608-4212.
- 광주일보 2012.12.20
백제 청동 반가사유상과 통일신라∼고려 초의 철불이 일본에서 발견됐다.
불교미술사 전문가인 엄기표 단국대 교수는 “오사카와 교토, 나라 등지의 사찰과 박물관을 현지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은 한국 고대 불상 2점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엄 교수는 동북아역사재단이 지원하는 ‘일본 속의 고대 한일불교문화 조사연구’를 진행했다.
청동 반가사유상은 일본 천태종 총본산인 사가 현의 히에이(比叡) 산 엔랴큐사(延曆寺) 국보전(國寶殿)에서 발견됐다. 엄 교수는 “그 형식을 볼 때 백제가 만들어 일본에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철불은 나라 현 가쓰라기(葛城) 시 다이마사(當麻寺) 부속 박물관인 보물관에서 나왔다. 오른쪽 발목 위로 두툼한 옷주름 두 가닥을 걸쳤고 무릎에는 굵은 음각선으로 옷주름을 표현했으며 다리 앞쪽에 부채 모양으로 옷자락을 펼쳤다. 엄 교수는 “이런 옷주름은 통일신라부터 고려 초까지 만든 불상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한 기법이다. 통일신라 철불 양식을 담은 고식(古式)이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 동아일보 2012.12.19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제주도의 옛 공동묘지 터에서 온전하게 보존된 인골들이 무더기로 발굴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제주고고학연구소(소장 강창화)는 18일 제주도의 요청에 따라 7월부터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분묘유적을 발굴조사한 결과 널무덤(토광묘)으로 보이는 20기의 분묘와 돌덧널무덤(석곽묘)으로 추정되는 분묘 1기 등 21기에서 21구의 온전하게 보존된 유골이 발굴됐다고 밝혔다.
발굴된 인골 가운데 성인으로 추정되는 인골은 3~4구이며, 나머지는 영유아나 어린이로 추정된다고 연구소 쪽은 밝혔다. 발굴조사에서는 또 13~14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제 비녀와 청동 숟가락, 팔찌로 추정되는 구슬 9개, 각종 자기 조각도 출토됐다.
김재현 동아대 교수(고고미술사학)는 “이처럼 고려시대의 형질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인골이 나온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고려 말 조선 초에 해당하는 인골들이어서 이 시기의 형질적 연구의 공백을 메꾸는 의미가 있다”며 “이번 발굴은 제주민의 형질적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큰 단서이며, 제주사람과 몽골과의 관계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발굴조사에서는 11구의 인골과 함께 분청사기 대접과 접시, 청동 수저 등이 발굴됐으며,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묘역 조성의 중심시기를 14~16세기로 추정했다.
- 한겨레신문 2012.12.19
문화재청은 1994년 9월 1일 이래 세계자연유산 잠정목록에 올라 있는 설악산 지역 내 중요 10경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18일 말했다. 명승 예고 지역은 설악산 내에서 웅장하고 경관이 빼어난 외설악 6곳과 내설악 4곳이며 구체적으로는 비룡폭포 계곡 일원·토왕성 폭포·대승폭포·십이선녀탕·수렴동과 구곡담 계곡 일원·비선대와 천불동 계곡 일원·용아장성·공룡능선·울산바위·내설악 만경대 등이다. 설악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려 했지만 현지 주민 반발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
문화재청은 또 경기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율곡 이이 유적을 사적으로 지정 예고한다.
- 서울신문 2012.12.19
LG전자의 주력 스마트폰 ‘옵티머스 G’가 최근 독일 ‘2013 iF디자인 어워드(2013 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에서 제품 디자인 본상을 수상했다.
iF디자인 어워드는 미국 IDEA,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등과 함께 세계 3대 디자인 대회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옵티머스 G는 고품격, 미니멀리즘(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예술과 문화적인 흐름) 등으로 대표되는 LG전자의 디자인 전통에 세련미 등의 심미적 요소를 추가, 전문가와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옵티머스 G는 미국 컨슈머리포트에서 선정한 ‘올해 최고의 스마트폰’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옵티머스 G의 디자인에는 최신 공법들이 도입됐다.
LG전자는 세계 최초로 커버유리 완전 일체형 터치 공법을 도입, 화면의 경계가 사라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옵티머스 G 뒷면에 채택된 크리스털 리플렉션 공법은 보는 각도, 빛의 각도에 따라 디자인, 이미지를 다르게 보여준다. 또 레이저 커팅 공법으로 스마트폰 가장자리의 금속 라인을 깔끔하게 처리했다. LG전자는 이번 2013 iF디자인 어워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부문에서 옵티머스 G를 포함, 모두 7개의 스마트폰을 수상작으로 냈다.
- 문화일보 2012.12.18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