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인 1920∼1930년대 그려진 노수현의 ‘신록(新綠)’과 이상범의 ‘초동(初冬)’, 이영일의 ‘시골소녀’, 배운성의 ‘가족도’, 김환기의 ‘론도(Rondo)’, 오지호의 ‘남향집’ 등 근대회화 작품 6건이 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청장 김찬)은 1920∼1930년대 작품 가운데 미술사와 예술적으로 가치가 있는 근대회화 작품 6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18일 밝혔다.
근대 화단의 대표적인 화가인 심산 노수현(1899∼1978)의 초기 작품인 ‘신록’(1920년대)은 우리나라 전통 산수화에서 근대적인 산수화로의 이행(移行)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초동’(1926년)은 청전 이상범(1897∼1972)이 1926년 제5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한 작품으로, 근대기 수묵채색화의 새로운 화풍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시골소녀’(1928년)를 그린 춘천 이영일(1904∼1984)은 1925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3등 상을 받은 이후 연속 7회에 걸쳐 특선을 차지했던 작가다. ‘가족도’(1930∼1935년)는 프랑스 파리 화단 등에서 활동한 배운성(1900∼1978)의 가족 초상화이며, ‘론도’(1938년)는 대중적인 사랑을 받아온 유화가 수화 김환기(1913∼1974)의 1930년대 후반 작품이다. 모후산인(母后山人) 오지호(1905∼1982)의 ‘남향집’(1939년)은 고목 한 그루가 서 있는 뒤로 문을 나서는 소녀와 뜰아래 누워 있는 개 한 마리가 평화롭게 그려진 풍경화다.
- 문화일보 2012.12.18
국민권익위원회가 멕시코 출신의 세계적 건축가 리카르도 레고레타의 유작인 제주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내 ‘카사 델 아구아’의 강제철거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카사 델 아구아 철거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제주도의회에서 권익위 임선주 조사관 등과 면담을 가진 결과 이 같은 입장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임 조사관은 면담에서 “민간이 기부채납하려는 것을 행정이 공유재산화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 강제철거하려고 나서는 것은 이해하기 힘든 이례적인 일”이라며 “이 건축물은 제주도민뿐만 아니라 전국적 관심사항인 만큼 문화적 측면의 가치를 인식하고 제주도가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카사 델 아구아 건축주인 (주)제이아이디는 “기부채납을 통해 공익적 목적으로 존치되길 희망한다”는 민원을 권익위에 접수했다.
- 경향신문 2012.12.18
국내 박물관과 미술관의 활성화를 위해 문화재 유물 미술품 등 소장품을 기증할 때 조세 감면 혜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술계와 법조계 인사 등으로 구성된 한국미술산업발전협의회는 최근 아트선재센터에서 세미나를 열고 세금을 미술품으로 대신 납부하는 내용을 포함한 소득세제 개편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협의회 정준모 실무위원장은 “자국의 미술관 박물관의 소장품 수준 향상을 위해 미국은 1917년부터 기증 활성화 제도를 만들었고 영국과 프랑스도 뒤이어 비슷한 제도를 마련했다”고 소개했다.
- 동아일보 2012.12.18
문화역서울 284 예술감독을 다음과 같이 공개 모집합니다.
접수기간 : 2012. 12. 17(월) ~ 12. 24(월), 18:00
http://www.kcdf.kr/news/notice_v.jsp?sBBS_CODE=1&sBBS_NMBR=809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