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15

[2012.10.06]모기홍 초대전, 9∼18일 까지 아트지앤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모기홍 초대전이 9일부터 18일까지 아트지앤지에서 열린다. 작가는 종이비행기를 테마로 한다. 종이비행기의 시각에서 바라본 도시의 빌딩 숲, 높은 산, 들판, 물 위를 종이비행기와 함께 그려내며 탁 트인 마음의 자유를 선사한다. 삼각형 모양의 날렵한 종이비행기는 현실 세계와 형이상학적 공간을 넘나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유 비행을 실현한다.

작가는 자연 풍경을 단순하고 간결하게 표현한다. 화면을 균질하게 처리해 산과 들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킨다. 작가가 그려낸 산은 파란 하늘과 대비돼 명상을 유도한다. 이번 전시에는 ‘마음의 자유’를 제목으로 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노란색 종이비행기와 짙푸른 녹색과 푸른색의 대비가 경쾌한 기분을 선사한다. 053)426-3080.


- 매일신문 2012.10.6

[2012.10.06]'물의 이미지' 공성환전…9∼14일 수성아트피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물을 주제로 오랫동안 작업해온 공성환의 전시가 9일부터 14일까지 수성아트피아 전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물’ 시리즈를 통해 물의 조형성에 집중하는 4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물은 예부터 많은 예술가들이 상상력을 가미해 흥미로운 대상으로 연결시켰고, 생명력의 원천인 물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용해왔다. 물에 대해 작가는 자신만의 해석을 덧붙인다. 작가는 일렁이는 물결에 투영된 빛을 리듬감 있는 곡선으로 표현해 물에 담긴 오묘한 정신세계와 숭고한 이념의 세계를 보여준다. 물이 빛을 만나 생겨나는 빛의 굴절 현상을 환상적인 이미지로 만들어내며 상상력을 자극한다. 작가는 물의 사실적 형태에만 의존하지 않고 인간의 감성을 움직이는 물의 근본 요소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한국인의 심성을 ‘물결’로 표현한 작품들이 잔잔한 감동을 준다. 053)668-1566. 최세정기자


- 매일신문 2012.10.6


[2012.10.05]수녀원 지하에 진짜 모나리자 유해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탈리아 수녀원 지하무덤서 발굴


진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걸작 ‘모나리자’ 모델의 유해일까?

영국 <인디펜던트>는 이탈리아 피렌체에 있는 옛 세인트우루슐라수녀원 지하무덤에서 발굴 작업을 벌이고 있는 팀이 최근 찾아낸 2구의 유골 중 하나가 모나리자의 모델이었던 리자 게라르디니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4일 보도했다. 16세기초 피렌체 지역 거상인 프란체스코 델 지오콘도의 아내였던 게라르디니는 이 수녀원에서 수녀생활을 하던 딸을 찾아와 노년을 보내다가 1542년 63살때 숨진 뒤 지하무덤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발굴팀을 이끄는 이탈리아 역사 문화유산 홍보 국가위원회의 실바노 빈센티 위원장은 “계획대로 진행되면 게라르디니의 지하실 아래 묻혀있을 유골의 나머지를 더 발견해내 첨단기술을 이용해 그의 얼굴을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복원 뒤 실제 작품과 비교해 그가 진짜 모델이었는지 가려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하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적잖다. 특히 게라르디니의 후손인 나탈리아 귀치아디니 스트로찌는 이런 발굴이 ‘신성모독적인 행위’라며 “유골을 찾아내는 게 모나리자의 매력과 무슨 상관이 있는가?”라고 비꼬기도 했다. 이탈리아 쪽은 유해발굴뿐 아니라 ‘모나리자’ 반환운동까지 나선 상태다. 이들은 최근 이탈리아 국민 15만명의 서명을 받아 프랑스 쪽에 작품 반환을 요청했지만, 루브르 박물관은 이미 거부의사를 밝힌 바 있다.




- 한겨레 2012.10.5


[2012.10.04]나치가 뺏은 '불상' 알고보니 외계서 떨어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930년대 나치가 강탈한 티베트 불상(사진)이 1만5000년 전 지구에 떨어진 희귀 운석을 조각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슈투트가르트대 연구팀에 따르면 ‘아이언 맨’으로 이름 붙여진 이 불상은 다량의 니켈을 함유한 철로 구성돼 있고 운석 중에서도 매우 희귀한 화산암 재질로 분류된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최근 보도했다. 이 운석의 잔해는 1913년 금 사냥꾼들이 처음 찾아내 세상에 알려졌지만, 아이언 맨은 그로부터도 수백 년 전인 11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언 맨은 길이 24㎝, 무게 10.6㎏으로 불교의 사천왕 가운데 북방을 수호하는 신으로 알려진 비사문천을 묘사했다. 나치 친위대는 제2차 세계대전 직전 아리아족의 기원을 찾기 위한 과학탐사활동 중 티베트에서 이 불상을 약탈했다. 아이언 맨의 배에 새겨진 만(卍)자가 나치의 표식과 비슷해 관심을 끈 것으로 보인다. 아이언 맨은 나치 패망 이후 종적을 감췄다가 2007년 경매에서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 중앙일보 2012.10.4


[2012.10.03]日 여성들의 韓 전통문화 사랑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결혼과 함께 한국에 온 뒤 인생 대부분을 한국에서 보낸 일본 여성들이 한국의 전통 문화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한국전통문화를 사랑하는 한국 및 재한 일본 여성들의 모임인 ‘산수회’는 오는 23~26일에 일본국대사관 공보문화원 실크갤러리(지하철 3호선 안국역 4번 출구)에서 ‘제9회 작품전 산수회’를 연다. 


전시회에는 회원 27명이 자수, 서예, 도예, 조각보, 민화, 오브제 등 80여점을 출품했다.


-매일경제 2012.10.0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