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IC와 사업비 협의 완료
5개월째 공사가 중단된 '인천경제자유구역 아트센터(IFEZ Arts Center)' 건립 공사가 곧 재개될 전망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와 아트센터 건립 사업비 지원에 대한 협의를 완료함에 따라 올해 안으로 공사가 재개될 것이라고 8일 발표했다.
인천경제청과 NSIC는 쟁점사항이었던 주거단지 F블록의 개발이익금 규모를 2,610억원에 합의하고 2014년 송도국제업무지구 전체 사업의 손익을 분석해 개발이익금이 발생할 경우 6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총 3,468억원으로 추산되는 아트센터 건립 사업비는 NSIC가 주변 부지에 1,600여 가구의 아파트를 분양해 얻은 이익 등으로 충당된다.
아트센터 건설 공사는 지난 6월 지하층 골조공사를 진행하던 중 중단됐다. 인천경제청과 NSIC가 개발이익금의 규모를 놓고 이견을 보인데다 자금 조달을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성사되지 못한데 따른 것이다.
인천경제청은 2008년 9월 시작된 아트센터 건설 공사가 반년 가까이 중단됐지만 일단 당초 계획대로 2014년 6월 개관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트센터 건설사업은 송도국제도시 내 4만9,900㎡의 부지에 연면적 8만8,600㎡ 규모로 콘서트홀, 오페라하우스, 다목적홀 등을 짓는 사업이다.
- 서울경제 2012.9.14
"렌터카 번호판에는 '허'자가 붙어 있잖아요. 제주 길을 몰라 우물쭈물하는 '제주 허씨들'을 위한 제주도 안내서입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창비) 제7권 제주 편을 펴낸 유홍준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는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육지인이 제주 문화 속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길 희망하는 마음으로 책을 썼다"고 말했다.
그는 당초 제주를 답사기 한 편으로 쓸 자신이 없었다고 했다. "제주에 있는 친구들이 내 '빽'이 됐어요. 원고를 메일로 쏴 읽게 하면서 틀린 건 고치고 뺄 건 빼고 넣을 건 넣었습니다. 그분들이 없었다면 못 썼을 책입니다."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번 책은 제주도 동북쪽 모서리에 있는 조천·구좌를 출발해 와흘 본향당, 용천동굴, 하도리 해녀 불턱, 한라산 윗세오름, 하멜상선전시관, 대정 추사 유배지, 돈내코 등을 훑는다.
1993년 제1권 '남도답사 1번지'로 시작된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시리즈는 올해 인문서 최초로 300만부 판매 기록을 세웠다. 이번 책은 전자책으로도 동시 출간됐고 1~6권도 곧 전자책으로 나올 예정이다.
- 조선일보 2012.9.14
헤경 주최 2012 대한민국 문화경영대상
이영만 본사 대표, 26개 기업 시상
헤럴드경제가 주최하고 한국소비자경영평가원ㆍ한국호텔리조트학회ㆍ월간파워코리아가 후원한 ‘2012 대한민국 문화경영대상’ 이틀째 시상식이 11일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부산교대(총장 김상용ㆍ앞줄 왼쪽에서 네 번째)와 서울 송파구(구청장 박춘희ㆍ앞줄 왼쪽에서 여섯 번째) 등 26개 기업과 기관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다.
(주)헤럴드 이영만(앞줄 왼쪽에서 다섯 번째) 대표는 “시민ㆍ고객들과 교감하는 매개체가 문화와 예술이고, 문화는 신뢰ㆍ수익ㆍ사랑을 얻는 최고의 비결”이라면서 “(주)헤럴드는 오는 19~21일 코엑스에서 디자인포럼을 여는 등 문화경영 활성화에 진력하고 있으며, 우수기업 단체를 발굴해 알리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헤럴드경제 2012.9.13
제24회 경상남도서예대전(대회장 조유행)에서 강갑숙(창원)씨의 행초서작품 ‘무우락성장’이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우수상은 정지연(한글)씨의 ‘김부식선생 시’, 김일순(예서)씨의 ‘진도의강루에서’, 황옥자(문인화)씨의 ‘수세미’, 정옥춘(서각)씨의 ‘수산복해’등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대회에는 한글 116점, 전서 51점, 예서 98점, 해서 185점, 행초서 208점, 문인화 212점, 현대서예 14점, 서각 58점 등 총 942점의 작품이 출품됐으며 수상자는 대상 1명을 비롯해, 우수 4명, 특선 52명, 입선 410명 등 총 467명을 배출했다.
이번 대회 대상 작품인 강갑숙씨의 ‘무우락성장’은 ‘가만히 앉아 푸른 홰나무를 보노라니/ 맑고 아름다운 것이 꽃을 보는 것 보다 좋네/ 그대여 우물 근처를 쓸지 말아라/ 가을 낙옆이 떨어져 쌓여만 간다’는 내용의 작품이다.
한편 이번 경남도 서예대전 심사는 1·2차 심사로 나눠 진행됐으며 수상권의 작품에 대해서는 당일 직접 휘호하게 해 참가자들의 근본적인 실력을 가늠해 출품된 작품과 대비, 심사의 공정성을 더했다.
특히 올해는 특선이상의 2차 심사에서 휘호 제를 달리해 직접 휘호케 함으로써 본인의 근본적인 실력을 가늠할 수 있었으며, 출품된 작품과 휘호한 작품을 대비시켜 심사의 공정을 기할 수 있게 했다.
휘호를 거친 특선 수상자로는 한글부문에 김영자, 최숙희, 김영표, 한복순, 노정입, 김순정, 백양숙, 여명화 8명, 해서부문은 정필주, 김동규, 안경복, 김병기, 오호석, 문덕희, 정상표, 문순녀, 차정상, 손환구, 하동환 등 11명, 문인화부문 공미순, 안미숙, 권선례, 우명희, 김계선, 임영희, 김선희, 임학표, 배무선, 정혜자 등 10명, 행초서부문 강인구, 유석길, 강태혈, 이병천, 김석현, 이영화, 노장섭, 이은우, 민영대, 이주희 등 10명, 예서부문 김현희, 송덕아, 이쾌숙, 이희재, 조경영 등 5명, 서각부문 이강희, 정도진, 정영호, 정진호 등 4명, 전서부문 김둘수, 김성열, 문근옥 등 3명, 현대서예부문은 이춘실 등이 수상했다.
심사위원들은 총평을 통해 “올해 전체 출품수가 1000점에 가까웠을 만큼 뜨거운 관심이었다”며 “경남의 서예가 항상 전국에서 선두적인 역할을 해온 만큼 더욱 많은 관심이 필요해보인다”고 강조했다.
이번 수상작 전시는 10월 18일부터 24일까지 경남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마련되며 시상식은 전시기간인 10월20일로 예정돼 있다.
자세한 수상자 명단은 경남도서예협회 홈페이지(www.knsh.kr)에서 확인하면 된다.
- 경남일보 2012.9.13
고 윤보선 전 대통령의 기록물과 유품이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옮겨져 관리된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은 13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윤 전 대통령 사저에서 장남 윤상구씨 등 유족과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통령 기록물과 유품 약 1만 3462건에 대한 위탁관리협약을 체결한다.
위탁되는 기록물은 문서 950건, 간행물 10건, 책자 316건, 시청각 자료 1만 323건, 박물 1863점 등 1만 3462건이다. 이들 기록물은 그동안 사저에 보존돼 있었으나 보존 환경이 열악해 영구 보존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윤 전 대통령 기록물은 대통령 재직 시 기록뿐 아니라 퇴임 후의 활동까지 생생히 담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대통령 재임 시 기록물로는 백낙준 참의원 의장 명의의 1960년 8월 12일자 제4대 대통령 당선 통지문 원본, 대통령 취임 선서문, 대통령 공보실에서 나온 대통령 재임기 활동 사진 등이다. 퇴임 후 기록물은 1970~80년대 민주화운동 관련 각종 성명서와 서신 등이 포함돼 있다.
또 생전에 착용했던 모자와 안경, 서랍 등 관련 유품은 대통령의 일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이번 협약을 통해 관련 기록물이 첨단 시설을 갖춘 경기 성남시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돼 안전하게 후대에 전승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 서울신문 2012.9.13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