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그릴 때는 통증을 잊어버려요. 빠져드니까….”
제33회 근로자 미술제에서 ‘해금강 우령바위’(사진)로 은상을 수상한 성낙후(58)씨에게 그림은 자신이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그는 1985년 공사장에 가스 안전점검을 나갔다 트럭에 치여 5m 아래로 추락, 사지가 마비돼 장해1급 판정을 받은 중증장애인이다.
실의에 빠진 그에게 인생의 전환점이 찾아온 것은 8년 전 충북의 한 복지관에서 그림을 추천하면서부터. 처음에는 별 생각 없이 시작했지만 지금은 매일 1시간가량 붓을 입에 물거나 손에 묶은 채 그림을 그리며 삶에 대한 의지를 다진다.
성씨가 그린 해금강 우령바위는 금강산에 가고 싶은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10년 전 속초에서 쾌속선을 타고 금강산에 가보려 했지만 장애인 시설이 없다는 이유로 가지 못했다. 대신 지인이 찍어온 사진을 보며 2년 동안 심혈을 기울여 그림을 그렸다.
성씨의 꿈은 전시회를 여는 것이다. 그는 “제 그림이 장애인이나 어려운 사람들에게 희망이 됐으면 좋겠다”면서 “지금까지는 저를 위한 도전이었지만 앞으로는 더 많은 사람들을 도와주고 싶다”고 말했다.
- 국민일보 2012.9.11
미술협회 전주시지부(지부장 김삼열) 주최 제8회 온고을미술대전 종합대상은 공예도자 부문에 '흑단 어문 대발'을 출품한 김태희씨(28·군산·사진)에게 돌아갔다. 또 환경조형부문 대상은 박광현씨(전주)가 'HUG' 작품으로 차지했다.
심사위원회(위원장 조윤출)는 김씨의 대형 주발 작품에서 정진성고 성실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미술대전을 상징할 만한 훌륭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8개 부문에 걸쳐 이루어진 이번 미술대전에는 지난해와 비슷한 419점(한국화 64점, 서양화 50, 수채화 58, 서예 47, 문인화 98. 조소 10, 공예 82, 디자인 10점)
수상작은 20일까지 전북예술회관 전시실에서 만날 수 있다.
△최우수상= 장현경(서양화) 이은정(한국화) 전숙자(문인화)
△우수상=추정란(서양화) 배기순(한국화) 정해숙(문인화) 이석훈(공예) 김성수(환경조형) 김낙범(서예) 조숙(수채화)
- 전북일보 2012.9.11
▲근로복지공단(이사장 신영철)은 11~16일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 있는 서울메트로 미술관에서 '제33회 근로자 미술제' 수상작품을 전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전시회에는 회화ㆍ서예ㆍ공예ㆍ사진 등 수상작 89점이 전시되며, 관람료는 무료다. 자세한 사항은 공단 복지진흥부(☎ 02-2670-0466)에 문의하거나 희망드림 근로복지넷 사이트(http://www.workdream.net)을 참조하면 된다.
- 연합뉴스 2012.09.10
최근 발간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2012 문화정책논총 - 제26집 2호에서 논문 두편
국외 미술품의 전람회 활성화를 위한 미술품 압류금지법에 관한 연구
-공적 문화향유권과 사적 소유권의 경합을 중심으로-
주저자 : 이주형(단국대학교 연구교수)
교신저자 : 추민희(중앙대학교 박사과정)
Ⅰ. 서론
공적 문화향유권과 사적 소유권의 경합이 일어나는 미술계의 사건들을 유형화하고 국외의 국가들은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진행
활발한 문화교류와 국민의 문화향유권 보전을 위하여 어떠한 방안을 마련하면 좋을지에 대한 고민을 사적 소유권의 제한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제안
Ⅱ. 유형별 분석을 통한 사례
1. 소유권을 주장하는 제3자로부터의 반환 청구
1) 판 라에르 작품의 반환청구사건
2) 마티스 앙리 작품의 반환청구사건
3)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의 반환청구사건
2. 채권자에 의한 압류
1) 피카소 등 작품의 압류사건
3. 범죄 수사를 위한 합수 등
1) 말레비치 작품의 반환청구사건
2) 에곤실레 작품의 반환청구사건
Ⅲ. 미술품압류금지법의 필요성과 한계
1. 미술품압류금지법의 필요성
2. 미술품압류금지법의 한계
1) 도난․약탈의 예방 및 반환을 위한 국제적 경향
2) 소유권의 제약
Ⅳ. 비교법적 고찰
1. 미국연방법상의 압류방지법
1) 제정 이유
2) 미국연방법 제22편
2. 미국 뉴욕주법상의 압류방지법
1) 제정이유
2) 예술 및 문화법
3. 프랑스법상의 압류방지법
1) 제정 이유
2) 경제 및 재정에 있어 제 규정에 관한 법률
4. 영국법상의 압류방지법
1) 제정 이유
2) 행정심판소, 법원 및 강제집행법 제6부
5. 일본법상의 압류방지법
1) 제정 이유
2) 해외 미술품 등의 공개촉진에 관한 법률
Ⅴ. 도입을 위한 고려
1. 의의
2. 목정
3. 실체적 요건
1) 대상 미술품의 범위
2) 임대인(소유권자)의 요건
3) 임차인 및 전람회 개최 장소의 요건
4. 절차적 요건
1) 대상 미술품의 지정 신청 및 지정
2) 대상 미술품 등 지정의 공시
5. 효력
1) 강제집행
2) 가압류
3) 가처분
4) 행정법상 강제집행
5) 형사상 압류
6. 적용 예외
Ⅵ. 결론
우리도 전람회를 위해 임차한 미술품 등에 압류 등을 요구하는 청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사태를 예방하고 국제적인 미술품 등의 교류와 국민의 문화향유를 촉진하기 위해서 국내법 정비를 검토하는 것에 큰 의의가 있을 것
----------------------------------------------------------------------------------------------------------
문화예술교육정책 안에서 미술영재의 선발현황과 개선방향
-교육청 주도 미술영재교육을 중심으로-
김건희(수원대학교 한국화과 전임강사)
Ⅰ.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미술에서의 영재성과 영재성 분별을 위한 행동특성
1. 영재성과 미술영재성의 정의
2. 미술영재성 발현
3. 미술영재의 행동특성
Ⅲ. 교육청 주도 초등미술영재의 선발현황 및 개선방향
1. 교육청 영재선발의 정책방향
2. 교육청 중심의 초등미술영재 선발 현황
3. 교육청 주도 초등 미술영재 선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Ⅳ. 결론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